리눅스를 처음 사용할 때 가장 낯선 부분 중 하나가 파일시스템 구조입니다. 윈도우의 C:\
드라이브와 완전히 다른 체계로 되어 있어 헷갈리기 마련인데요. 오늘은 트리 구조로 이루어진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핵심 디렉토리와 역할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 파일시스템이란?
파일과 디렉토리를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리눅스는 모든 것이 파일로 관리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일반 파일: 문서, 이미지 등
- 디렉토리: 폴더
- 장치 파일: 하드웨어(프린터, 마우스 등)
- 심볼릭 링크: 바로가기
> 💡 리눅스 vs 윈도우 차이
> 윈도우: C:\Users\사용자\Documents
> 리눅스: /home/사용자/Documents
> 루트(/)에서 시작해 경로를 표기합니다.
🌳 2. 리눅스 파일시스템 구조 (트리 형태)
모든 디렉토리는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 에서 시작합니다.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3. 필수 디렉토리 7가지
📌 /
(루트)
모든 디렉토리의 시작점. C:\
와 비슷하지만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진 않음.
📌 /bin
(Binaries)
기본 명령어 도구들이 모여 있음
ls
, cp
, mv
, rm
등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는 필수 프로그램.
📌 /etc
(Configuration Files)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소
- 네트워크 설정
- 사용자 계정 정보
- 프로그램 설정 파일
$ cat /etc/hosts # 호스트 이름 설정 확인
📌 /home
(사용자 공간)
개인 작업 폴더. 윈도우의 Users
폴더와 동일
/home/유저명/Documents
/home/유저명/Downloads
📌 /var
(Variable Data)
변동되는 데이터 저장
- 로그 파일(
/var/log
) - 웹 서버 데이터(
/var/www
) - 메일 큐(
/var/mail
)
📌 /dev
(Devices)
하드웨어 장치 파일
/dev/sda
: 첫 번째 하드디스크/dev/mouse
: 마우스 장치
📌 /usr
(User Programs)
응용 프로그램 설치 위치
/usr/bin
: 사용자 프로그램/usr/lib
: 프로그램 라이브러리/usr/local
: 사용자가 직접 설치한 프로그램
⚙️ 4. 실습: 주요 명령어
$ pwd # 현재 위치 확인
$ cd /etc # /etc 디렉토리 이동
$ ls -l # 파일 상세 정보 출력
$ tree -L 1 / # 루트 디렉토리 구조 보기 (tree 패키지 필요)
💡 5. 팁: 외우기 쉬운 연상법
> “리눅스는 베트맨(Bin)이 에트(Etc) 집(Home)에서 바(Var)느라 사용자(Usr)를 개발(Dev)한다”
> /bin
→ /etc
→ /home
→ /var
→ /usr
→ /dev
❓ 6. 자주 묻는 질문
Q: 윈도우처럼 파티션이 나뉘어 있나요?
A: 네! 하지만 /home
, /var
등 디렉토리 단위로 파티션을 분리합니다.
(예: OS는 /
, 개인 파일은 /home
에 별도 파티션 할당)
Q: 파일 경로가 너무 긴데 단축할 방법이 있나요?
A: ~
(홈 디렉토리), .
(현재 디렉토리), ..
(상위 디렉토리)로 간략화 가능
$ cd ~/Documents # /home/사용자명/Documents 이동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 마무리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체계적인 디렉토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각 디렉토리의 역할을 이해하면 오히려 윈도우보다 논리적이라는 걸 느끼게 될 거예요! /home
에서 개인 작업을, /etc
에서 설정을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면 서버 관리도 쉬워집니다.
> 🐧 오늘의 한줄:
> “리눅스는 길(/)이 보이면 시작하라, 집(home)에 가고 싶을 때”
이 글을 마치기 전에 터미널을 열고 ls /
명령어를 입력해보세요. 이제 보이는 디렉토리 이름들이 친숙하게 느껴질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