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의 세계에서 행렬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여러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거나, 선형 대수 계산을 수행할 때 행렬 곱셈은 필수적으로 사용되죠. 하지만 엑셀에서 복잡한 행렬 곱셈을 수동으로 계산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이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로 이때 엑셀의 강력한 배열 함수인 MMULT
가 빛을 발합니다! MMULT
함수는 Matrix MULTiplication의 약자로, 두 개의 행렬을 곱하여 그 결과를 한 번에 반환해주는 마법 같은 함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MMULT
함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실제 엑셀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MMULT 함수란 무엇인가요?
MMULT
함수는 두 개의 행렬(또는 배열)을 곱한 결과를 반환하는 엑셀의 수학 및 삼각 함수입니다. 수학에서 행렬 곱셈의 규칙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선형 대수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다면 더욱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문법:
=MMULT(배열1, 배열2)
- 배열1: 곱할 첫 번째 행렬 또는 배열입니다.
- 배열2: 곱할 두 번째 행렬 또는 배열입니다.
💡 MMULT 함수 작동 원리 (핵심 이해하기!)
MMULT 함수는 일반적인 숫자의 곱셈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행렬 곱셈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규칙이 있습니다:
-
차원 일치 규칙 (Dimension Matching):
배열1
의 열 개수와배열2
의 행 개수가 반드시 같아야 합니다.-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MMULT
함수는#VALUE!
오류를 반환합니다. - 예: (A행 x B열) * (B행 x C열) ➡️ 결과는 (A행 x C열)
-
결과 행렬의 차원:
- 결과 행렬은
배열1
의 행 개수와배열2
의 열 개수를 가집니다. - 예: 2×3 행렬 * 3×4 행렬 = 2×4 행렬
- 결과 행렬은
-
계산 방식:
- 결과 행렬의 각 요소는
배열1
의 해당 행과배열2
의 해당 열에 있는 요소들을 쌍으로 곱한 다음, 그 곱들을 모두 더한 값입니다.
- 결과 행렬의 각 요소는
🤔 예시를 통해 이해하기: 두 행렬 A와 B를 곱하여 행렬 C를 만든다고 가정해봅시다.
행렬 A:
[ a11 a12 ]
[ a21 a22 ]
행렬 B:
[ b11 b12 ]
[ b21 b22 ]
결과 행렬 C (A x B):
[ (a11*b11 + a12*b21) (a11*b12 + a12*b22) ]
[ (a21*b11 + a22*b21) (a21*b12 + a22*b22) ]
이렇게 각 요소는 배열1
의 행과 배열2
의 열이 “만나는” 지점에서 계산됩니다.
🚀 MMULT 함수 사용법: 따라하기 (매우 중요!)
MMULT 함수는 결과를 여러 셀에 동시에 뿌려주는 “배열 수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함수 입력 방식과는 조금 다릅니다. 이 점이 MMULT 사용 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단계별 사용법:
-
데이터 준비: 먼저 엑셀 시트에 곱셈할 두 개의 행렬을 입력합니다.
-
배열1 (A1:B2): A B 1 1 2 2 3 4 -
배열2 (D1:E2): D E 1 5 6 2 7 8
참고:
배열1
은 2행 2열,배열2
는 2행 2열입니다.배열1
의 열 개수(2)와배열2
의 행 개수(2)가 같으므로 곱셈이 가능합니다. 결과는 2행 2열 행렬이 됩니다. -
-
결과를 표시할 셀 범위 선택: 결과 행렬의 차원(위 예시에서는 2행 2열)에 맞춰, 결과가 표시될 빈 셀 범위를 미리 선택해야 합니다.
- 위 예시의 경우,
G1:H2
(2행 2열) 셀 범위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 위 예시의 경우,
-
수식 입력: 범위가 선택된 상태에서 수식 입력줄에
MMULT
함수를 입력합니다.=MMULT(A1:B2, D1:E2)
-
⚡ 배열 수식으로 마무리 (Ctrl + Shift + Enter): 수식 입력 후 그냥 Enter 키를 누르지 마세요! 반드시 키보드에서
Ctrl
+Shift
+Enter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성공적으로 입력되면, 수식 양쪽에 중괄호
{}
가 자동으로 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MMULT(A1:B2,D1:E2)}
- 선택했던
G1:H2
범위의 모든 셀에 행렬 곱셈 결과가 한 번에 채워집니다.
결과 (G1:H2): G H 1 19 22 2 43 50 계산 과정 검증:
- G1 = (15) + (27) = 5 + 14 = 19
- H1 = (16) + (28) = 6 + 16 = 22
- G2 = (35) + (47) = 15 + 28 = 43
- H2 = (36) + (48) = 18 + 32 = 50
- 성공적으로 입력되면, 수식 양쪽에 중괄호
⚠️ MMULT 사용 시 주의사항 및 팁
MMULT 함수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팁과 흔히 발생하는 오류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
Ctrl + Shift + Enter
는 생명! 🚨 가장 흔한 실수입니다.Ctrl+Shift+Enter
를 누르지 않으면 첫 번째 셀에만 결과가 나타나거나#VALU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셀 365 버전부터는 동적 배열 기능이 도입되어 그냥 Enter만 눌러도 대부분 작동하지만, 하위 버전 호환성 및 배열 수식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Ctrl+Shift+Enter
를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VALUE!
오류의 원인:- 차원 불일치:
배열1
의 열 개수와배열2
의 행 개수가 다를 때 발생합니다.- 💡 해결: 행렬의 크기를 다시 확인하고 올바르게 조정합니다.
- 비숫자 데이터: 배열 내에 숫자 이외의 텍스트나 오류 값이 포함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 💡 해결: 배열 내의 모든 데이터가 숫자인지 확인합니다. 빈 셀은 0으로 간주됩니다.
- 차원 불일치:
-
빈 셀 처리:
MMULT
함수는 배열 내의 빈 셀을 자동으로으로 처리하여 계산합니다. 이는 편리할 수도 있지만,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이름 정의 활용: 복잡한 행렬을 다룰 때는 각 행렬 범위에 이름을 정의하여 사용하면 수식을 훨씬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예:
A1:B2
를MatrixA
로,D1:E2
를MatrixB
로 정의한 후=MMULT(MatrixA, MatrixB)
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
선형 방정식 풀이 등 응용:
MMULT
함수는MINVERSE
(역행렬) 함수와 함께 사용하여 연립 선형 방정식을 푸는 등 복잡한 수학적 문제 해결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결론: 엑셀 MMULT로 행렬 계산의 달인이 되세요!
엑셀의 MMULT
함수는 단순한 계산을 넘어 데이터 분석, 공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행렬 기반의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처음에는 배열 수식의 개념과 Ctrl+Shift+Enter
입력 방식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의 연습을 통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MMULT 함수를 통해 복잡한 행렬 계산을 손쉽게 처리하고, 엑셀 활용 능력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