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8월 15th, 2025

엑셀에서 날짜를 다루는 것은 매우 흔한 일입니다. 입사일로부터 근속 연수를 계산하거나, 특정 프로젝트의 남은 기간을 파악하거나, 우리 아이의 정확한 나이를 알고 싶을 때 등, 날짜 계산은 필수적인 기능이죠. 단순히 날짜끼리 빼서 ‘일’ 수를 얻는 것은 쉽지만, ‘몇 년 몇 개월 몇 일’처럼 정확한 정보를 얻으려면 머리가 아파오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엑셀에는 이러한 날짜 계산을 아주 쉽고 정확하게 해주는 ‘숨겨진 보석’ 같은 함수가 있습니다. 바로 DATEDIF 함수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DATEDIF 함수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따라오세요! 💪


📆 DATEDIF 함수란? (Date + Difference)

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기간을 특정 단위(년, 월, 일 등)로 계산해주는 함수입니다. 놀랍게도 이 함수는 엑셀의 공식 도움말이나 함수 자동 완성 기능에서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마치 숨겨진 이스터 에그처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만 작동하죠. 하지만 그 기능만큼은 매우 강력합니다!

기본 구문: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 시작일 (Start_date): 계산을 시작할 날짜입니다.
  • 종료일 (End_date): 계산을 종료할 날짜입니다.
  • 단위 (Unit):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의 기간을 어떤 단위로 계산할지 지정하는 문자열입니다. 이 단위 인자가 DATEDIF 함수의 핵심이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 ‘단위’ 인자 자세히 알아보기

DATEDIF 함수의 마법은 바로 이 ‘단위’ 인자에 있습니다. 어떤 문자를 입력하느냐에 따라 계산 결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각각의 단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예시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

예시 기준:

  • 시작일: 2020년 1월 15일 (A1 셀)
  • 종료일: 2023년 7월 20일 (B1 셀)
단위 설명 예시 (함수) 결과 비고
"Y" 두 날짜 사이의 완전한 연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Y") 3 2020.01.15 ~ 2023.07.20 -> 3년 경과
"M" 두 날짜 사이의 완전한 개월 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M") 42 3년 6개월 5일 = (3*12) + 6 = 42개월
"D" 두 날짜 사이의 총 일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D") 1282 총 1282일 경과
"YM" 연수를 제외한 남은 개월 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YM") 6 3년 6개월 5일 중 ‘6개월’만 반환
"YD" 연수를 제외한 남은 일 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YD") 187 3년이 지난 후 2023.01.15 ~ 2023.07.20 까지의 일수
"MD" 연수와 개월 수를 제외한 남은 일 수를 계산합니다. =DATEDIF(A1, B1, "MD") 5 2020.01.15 ~ 2023.07.20 중 ‘5일’만 반환

💡 실생활 예시로 DATEDIF 마스터하기

이제 DATEDIF 함수를 실제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정확한 나이 계산하기 🎂

누군가의 생년월일만 있다면 현재 날짜 기준으로 정확한 나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TODAY()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항상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나이가 자동 업데이트됩니다!

  • 시나리오: A1 셀에 ‘1995-03-25’가 입력되어 있다면, 현재 나이는?
  • 함수: =DATEDIF(A1, TODAY(), "Y")
  • 결과: (2024년 5월 15일 기준) 29
  • 설명: 태어난 날짜부터 오늘까지 만 나이를 계산해줍니다.

💡 더 나아가기: ‘XX세 YY개월’로 표시하고 싶다면?

  • =DATEDIF(A1, TODAY(), "Y") & "세 " & DATEDIF(A1, TODAY(), "YM") & "개월"
  • 결과: 29세 1개월 (2024.03.25 ~ 2024.05.15)

2. 직원의 근속 연수 계산하기 👨‍💼👩‍💻

직원이 회사에 입사한 날부터 현재까지의 근속 연수를 계산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시나리오: B2 셀에 입사일 ‘2018-08-01’이 입력되어 있다면, 근속 연수는?
  • 함수: =DATEDIF(B2, TODAY(), "Y")
  • 결과: (2024년 5월 15일 기준) 5
  • 설명: 2018년 8월 1일부터 현재까지의 만 년수를 반환합니다.

💡 더 나아가기: ‘X년 Y개월’로 자세히 표시하고 싶다면?

  • =DATEDIF(B2, TODAY(), "Y") & "년 " & DATEDIF(B2, TODAY(), "YM") & "개월"
  • 결과: 5년 9개월 (2018.08.01 ~ 2024.05.15)

3. 프로젝트 남은 기간 계산하기 ⏳

프로젝트 시작일과 종료일이 있을 때,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남은 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 C3 셀에 프로젝트 종료일 ‘2024-12-31’이 입력되어 있다면, 남은 일수는?
  • 함수: =DATEDIF(TODAY(), C3, "D")
  • 결과: (2024년 5월 15일 기준) 230
  • 설명: 오늘부터 프로젝트 종료일까지 남은 총 일수를 보여줍니다.
  • 주의: 만약 종료일이 오늘보다 이전이라면 음수 값이 나올 수 있으니, 이 경우 IF 함수를 활용하여 “종료됨” 등으로 표시하거나 ABS 함수로 절대값을 표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결혼기념일, D-Day 등 특정 기념일까지 남은 기간 계산 💖

결혼기념일, 생일, 시험일 등 특정 중요한 날짜까지 몇 일이 남았는지, 또는 몇 년 몇 개월이 지났는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시나리오: D4 셀에 결혼기념일 ‘2022-10-22’가 입력되어 있다면, 현재까지 몇 년 몇 개월이 지났을까?
  • 함수: =DATEDIF(D4, TODAY(), "Y") & "년 " & DATEDIF(D4, TODAY(), "YM") & "개월 " & DATEDIF(D4, TODAY(), "MD") & "일"
  • 결과: (2024년 5월 15일 기준) 1년 6개월 23일

⚠️ DATEDIF 사용 시 주의사항

  • 숨겨진 함수: 엑셀의 함수 자동 완성 목록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직접 DATEDIF라고 철자를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오타가 나면 #NAME? 오류가 발생합니다.
  • 시작일 < 종료일: 반드시 시작일종료일보다 이전 날짜여야 합니다. 만약 시작일이 종료일보다 이후 날짜라면 #NUM! 오류가 발생합니다.
  • 날짜 형식: DATEDIF 함수는 유효한 엑셀 날짜 형식을 인식합니다. 셀에 날짜가 아닌 일반 텍스트가 입력되어 있다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TODAY() 함수의 활용: TODAY() 함수는 매일 자동으로 현재 날짜로 업데이트되므로, 나이, 근속 연수 등 '오늘'을 기준으로 하는 계산에 매우 유용합니다.

✨ 마무리하며

DATEDIF 함수는 엑셀의 숨겨진 보석과도 같습니다. 조금만 익숙해지면 복잡해 보였던 날짜 계산을 아주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나이 계산, 근속 연수 파악, 프로젝트 진행률 확인 등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분의 엑셀 작업을 훨씬 더 스마트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이제 더 이상 엑셀 날짜 계산 때문에 머리 싸맬 필요 없겠죠? 오늘 배운 DATEDIF 함수를 여러분의 엑셀 파일에 바로 적용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다음에도 유용한 엑셀 팁으로 찾아오겠습니다! Happy Excelling! 😊 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