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8월 10th, 2025

안녕하세요!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두 가지 현상이 서로 관련이 있을까?”라는 궁금증을 가질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광고비를 늘리면 매출이 늘어날까? 📈 학습 시간이 길어지면 시험 점수가 올라갈까? 📚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통계적으로 찾아줄 수 있는 강력한 엑셀 함수가 바로 CORREL 함수입니다.

오늘은 엑셀의 CORREL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간의 선형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을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데이터 분석 능력이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1. 상관관계란 무엇인가요? 🎯

CORREL 함수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상관관계’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상관관계는 두 변수(데이터 묶음)가 얼마나 강하고 어떤 방향으로 함께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통계적 척도입니다. 주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며, 이 값은 항상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 +1에 가까울수록 (양의 상관관계): 한 변수가 증가할 때 다른 변수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예: 학습 시간 증가 ➡️ 시험 점수 증가) 📈
  • -1에 가까울수록 (음의 상관관계): 한 변수가 증가할 때 다른 변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예: 운동량 증가 ➡️ 체지방량 감소) 📉
  •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 없음): 두 변수 사이에 선형적인 관계가 거의 없음을 의미합니다. (예: 신발 사이즈 ➡️ 지능 지수) 🤷‍♀️

상관관계 해석 가이드:

상관계수 값 해석
+0.7 ~ +1.0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
+0.3 ~ +0.7 강한 양의 상관관계
+0.1 ~ +0.3 약한 양의 상관관계
-0.1 ~ +0.1 거의 상관관계 없음
-0.3 ~ -0.1 약한 음의 상관관계
-0.7 ~ -0.3 강한 음의 상관관계
-1.0 ~ -0.7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

💡 중요: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판매량과 익사 사고가 모두 여름에 증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보일 수 있지만, 아이스크림이 익사를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아이스크림 판매량 증가 ↔ 여름 날씨 ↔ 익사 사고 증가)


2. 엑셀 CORREL 함수 기본 이해 📊

CORREL 함수는 두 데이터 집합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계산합니다.

  • 함수명: CORREL

  • 구문 (Syntax): =CORREL(array1, array2)

    • array1: 첫 번째 데이터 집합이 있는 셀 범위입니다.
    • array2: 두 번째 데이터 집합이 있는 셀 범위입니다.
  • 주의사항:

    • array1array2동일한 개수의 데이터 포인트를 포함해야 합니다.
    • 데이터는 숫자여야 합니다. 텍스트, 논리 값, 또는 빈 셀이 포함된 경우 해당 셀은 계산에서 무시됩니다.
    • 두 배열 중 하나라도 유효한 데이터가 없거나, 모든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CORREL 함수 사용 방법 🚀

CORREL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단계별 설명:

  1. 데이터 입력: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싶은 두 변수의 데이터를 엑셀 시트에 나란히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A열에 ‘광고비’, B열에 ‘매출액’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함수 입력: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싶은 비어있는 셀을 선택합니다.
  3. 수식 입력: 선택한 셀에 =CORREL(를 입력합니다.
  4. 범위 지정:
    • 첫 번째 데이터 범위(예: A2:A11)를 드래그하여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 쉼표(,)를 입력합니다.
    • 두 번째 데이터 범위(예: B2:B11)를 드래그하여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합니다.
  5. 괄호 닫기: 닫는 괄호 )를 입력합니다.
  6. Enter: Enter 키를 눌러 결과를 확인합니다.

예시 수식: =CORREL(A2:A11, B2:B11)


4. CORREL 함수 활용 예시 ✨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CORREL 함수를 어떻게 적용하고 해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시 1: 광고비와 매출액의 상관관계 (양의 상관관계) 📈

회사의 광고비 지출이 매출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광고비 (만원) 매출액 (백만원)
1월 100 1,000
2월 120 1,150
3월 110 1,080
4월 150 1,400
5월 130 1,250
6월 160 1,550
7월 170 1,600
8월 180 1,700
9월 140 1,350
10월 190 1,800
  • 광고비 데이터 범위 (array1): B2:B11
  • 매출액 데이터 범위 (array2): C2:C11

엑셀 수식: =CORREL(B2:B11, C2:C11)

결과:0.98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

해석: 이 결과는 광고비 지출이 늘어날수록 매출액도 함께 늘어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회사는 광고 지출 전략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예시 2: 학습 시간과 시험 점수의 상관관계 (양의 상관관계) 📚

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시험 점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학생 학습 시간 (시간) 시험 점수 (점)
A 5 70
B 8 85
C 6 75
D 10 90
E 4 65
F 7 80
G 9 88
H 3 60
  • 학습 시간 데이터 범위 (array1): B2:B9
  • **시험 점수 데이터 범위 (array2): C2:C9

엑셀 수식: =CORREL(B2:B9, C2:C9)

결과:0.97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

해석: 학습 시간이 증가할수록 시험 점수도 함께 높아지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학습 시간이 시험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예시 3: 커피 소비량과 수면 시간의 상관관계 (음의 상관관계) ☕️😴

커피 소비량과 수면 시간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해 봅시다.

사람 하루 커피 소비량 (잔) 전날 수면 시간 (시간)
1 1 8
2 3 6
3 0 9
4 2 7
5 4 5
6 1 7.5
7 5 4.5
8 2 6.5
  • 커피 소비량 데이터 범위 (array1): B2:B9
  • 수면 시간 데이터 범위 (array2): C2:C9

엑셀 수식: =CORREL(B2:B9, C2:C9)

결과:-0.92 (매우 강한 음의 상관관계)

해석: 커피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수면 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커피 섭취가 수면 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5. CORREL 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 💡

  • 선형 관계만 측정: CORREL 함수는 오직 선형적인 관계만 측정합니다. 만약 데이터가 곡선 형태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CORREL 값은 0에 가깝게 나올 수 있지만, 실제로는 강한 비선형 관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산점도(Scatter Plot)를 그려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상치(Outlier)의 영향: 데이터에 극단적인 값(이상치)이 포함되어 있으면 상관계수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에 이상치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원인과 결과’가 아님: 위에서 강조했듯이, 상관관계는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A와 B가 함께 움직인다”는 것이 “A가 B의 원인이다”는 아닙니다.
  • 데이터의 크기: 데이터 포인트의 수가 너무 적으면 상관계수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있을 때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 🎉

엑셀의 CORREL 함수는 두 데이터 간의 선형 관계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광고 효율 분석, 학생 성적 관리, 또는 단순히 일상생활의 데이터 패턴을 이해하는 데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CORREL 함수를 통해 여러분의 데이터가 숨기고 있는 흥미로운 관계들을 발견하고,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Happy Analyzing! 📊✨ 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