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8월 18th, 2025

엑셀에서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특정 패턴을 찾아내거나 반복되는 규칙에 따라 작업을 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이때 ‘나머지 값’은 생각보다 훨씬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숫자 ‘나머지’는 단순히 나눗셈 후 남는 값이 아니라, 주기성, 반복성, 그리고 특정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힌트를 제공하죠.

오늘 우리는 엑셀의 숨겨진 보석 같은 함수, MOD 함수를 파헤쳐 보겠습니다. 이 함수 하나로 여러분의 엑셀 작업이 얼마나 편리하고 스마트해질 수 있는지, 그 모든 활용법을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


1. MOD 함수란 무엇인가요? (정의와 기본 문법)

MOD 함수는 지정된 숫자를 다른 숫자로 나눈 후 나머지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우리가 초등학교 때 배웠던 ‘몫과 나머지’의 바로 그 나머지입니다!

  • 문법: MOD(number, divisor)
    • number (필수): 나눗셈을 할 숫자 (피제수)입니다.
    • divisor (필수): number를 나눌 숫자 (제수)입니다. 이 값은 0이 될 수 없습니다.

예시:

  • =MOD(10, 3) 의 결과는 1입니다. (10을 3으로 나누면 몫은 3이고 나머지는 1입니다.)
  • =MOD(7, 2) 의 결과는 1입니다. (7을 2로 나누면 몫은 3이고 나머지는 1입니다. 홀수/짝수 구분 시 유용하죠!)
  • =MOD(12, 4) 의 결과는 입니다. (12를 4로 나누면 나머지가 0이므로 12는 4의 배수입니다.)

2. MOD 함수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음수 및 0 처리)

MOD 함수는 일반적인 나눗셈의 나머지 개념과 유사하지만, 음수를 다룰 때나 제수가 0일 때 특별한 규칙을 가집니다.

2.1. 양수와 음수의 나머지 셈 셈법

엑셀의 MOD 함수는 결과 값의 부호가 제수(divisor)의 부호를 따릅니다. 이 점은 일반적인 수학적 나머지 연산(유클리드 나눗셈)과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예시 1: 제수(divisor)가 양수일 때

    • =MOD(10, 3)1 (10 = 3 * 3 + 1)
    • =MOD(-10, 3)2 (-10 = 3 * -4 + 2)
      • 설명: -10을 3으로 나눌 때, 몫을 -4로 하면 -12가 되고, 여기에 2를 더해야 -10이 됩니다. 제수 3이 양수이므로 결과도 양수 2가 됩니다.
  • 예시 2: 제수(divisor)가 음수일 때

    • =MOD(10, -3)-2 (10 = -3 * -4 – 2)
      • 설명: 10을 -3으로 나눌 때, 몫을 -4로 하면 12가 되고, 여기에 -2를 더해야 10이 됩니다. 제수 -3이 음수이므로 결과도 음수 -2가 됩니다.
    • =MOD(-10, -3)-1 (-10 = -3 * 4 – 1)
      • 설명: -10을 -3으로 나눌 때, 몫을 4로 하면 -12가 되고, 여기에 -1을 더해야 -10이 됩니다. 제수 -3이 음수이므로 결과도 음수 -1이 됩니다.

헷갈리시죠? 간단히 기억하세요: 나누는 값(divisor)의 부호가 최종 결과의 부호를 결정한다!

2.2. 제수(divisor)가 0일 때

divisor 인수에 0을 입력하면 #DIV/0! 오류가 발생합니다. 어떤 숫자도 0으로 나눌 수 없기 때문입니다. 🚫


3. MOD 함수 실전 활용 예시 (나머지 값의 마법 🪄)

이제 MOD 함수가 실제 엑셀 작업에서 어떻게 빛을 발하는지 다양한 예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3.1. 홀수/짝수 행 또는 열 구분 및 서식 지정 🎨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MOD 함수의 활용법입니다. 데이터 시트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홀수 행과 짝수 행에 다른 색상을 적용할 때 유용합니다.

  • 문제: 데이터 테이블의 홀수 행에는 연한 파란색을, 짝수 행에는 연한 회색을 적용하고 싶습니다.
  • 해결: 조건부 서식과 MOD 함수를 사용합니다.

    1. 서식을 적용할 범위를 선택합니다. (예: A2:Z100)
    2. 탭 → 스타일 그룹 → 조건부 서식새 규칙을 클릭합니다.
    3. 수식을 사용하여 서식을 지정할 셀 결정을 선택합니다.
    4. 홀수 행 서식 (연한 파란색):
      • 수식 입력란에 =MOD(ROW(), 2) = 1 을 입력합니다.
      • 서식 버튼을 클릭하여 원하는 채우기 색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확인을 눌러 규칙을 적용합니다.
    5. 짝수 행 서식 (연한 회색):
      • 위 2~3단계 반복 후, 수식 입력란에 =MOD(ROW(), 2) = 0 을 입력합니다.
      • 서식 버튼을 클릭하여 다른 채우기 색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확인을 눌러 규칙을 적용합니다.
    • ROW() 함수는 현재 행 번호를 반환합니다. ROW()를 2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홀수 행, 0이면 짝수 행이 됩니다.
    • 열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려면 COLUMN()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MOD(COLUMN(), 2)=1

3.2. 특정 주기(요일, 월)별 작업 관리 🗓️

MOD 함수는 특정 주기로 반복되는 작업을 식별하거나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 문제: 매 3일마다 반복되는 작업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시작일: 2024년 1월 1일)

  • 해결: 날짜 차이와 MOD 함수를 결합합니다.

    • A2 셀에 날짜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 =IF(MOD(A2 - DATE(2024,1,1), 3) = 0, "작업일", "")
    • 설명: A2 - DATE(2024,1,1) 은 기준일로부터 경과된 일수를 계산합니다. 이 일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즉, 3의 배수일이면) “작업일”이라고 표시합니다.
  • 응용: 매주 월요일을 표시하고 싶다면, WEEKDAY 함수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 =MOD(WEEKDAY(A2, 2), 7) = 1
      • WEEKDAY(A2, 2)는 월요일을 1로, 일요일을 7로 반환합니다. 월요일(1)을 7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월요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또는 단순히 WEEKDAY(A2, 2) = 1을 사용해도 됩니다. MOD 함수는 7일 주기처럼 순환적인 값을 다룰 때 더욱 빛을 발합니다. 예를 들어 1주일에 2번 하는 일이 특정 요일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때 유용합니다.

3.3. 특정 배수 찾기 ✅

특정 숫자의 배수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것은 MOD 함수의 가장 기본적인 활용 중 하나입니다.

  • 문제: 목록에 있는 숫자 중 5의 배수만 ‘YES’로 표시하고 싶습니다.
  • 해결:
    • B2 셀에 숫자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 =IF(MOD(B2, 5) = 0, "YES", "NO")
    • 설명: B2 값을 5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5의 배수이므로 “YES”를, 그렇지 않으면 “NO”를 반환합니다.
    • 이 기능을 조건부 서식에 활용하여 5의 배수 셀에만 특정 색상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3.4. 시간 계산 (분 -> 시/분 변환) ⏰

총 분 단위로 기록된 시간을 시와 분으로 분리하여 표시해야 할 때 MOD 함수가 유용합니다.

  • 문제: A2 셀에 총 분(예: 130분)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이를 “시 분” 형식으로 변환하고 싶습니다.
  • 해결:
    • 시간 계산: =INT(A2 / 60) 또는 =QUOTIENT(A2, 60)
      • (130분 / 60분 = 2.166… 에서 정수 부분인 2를 가져옵니다.)
    • 분 계산: =MOD(A2, 60)
      • (130분을 60으로 나눈 나머지, 즉 10을 가져옵니다.)
    • 결합하여 표시: TEXT(INT(A2/60), "0") & "시간 " & TEXT(MOD(A2, 60), "0") & "분"
      • 130분 → “2시간 10분”으로 표시됩니다.
      • TEXT 함수를 사용하여 숫자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원하는 형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3.5. 데이터 그룹화 및 순환 ♻️

특정 개수만큼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거나, 특정 순서대로 반복되는 값을 할당해야 할 때 MOD 함수가 큰 도움이 됩니다.

  • 문제: 5명의 팀원(A, B, C, D, E)에게 작업을 순서대로 배정하고 싶습니다. (A-B-C-D-E-A-B-C…)
  • 해결:
    • A2 셀부터 작업 목록이 시작된다고 가정합니다.
    • B2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로 채웁니다.
    • =CHOOSE(MOD(ROW()-ROW($A$2), 5)+1, "팀원 A", "팀원 B", "팀원 C", "팀원 D", "팀원 E")
    • 설명:
      • ROW()-ROW($A$2): 현재 행 번호에서 시작 행 번호($A$2)를 빼서 0부터 시작하는 순번을 만듭니다. (예: 0, 1, 2, 3, 4, 5…)
      • MOD(..., 5): 이 순번을 5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예: 0, 1, 2, 3, 4, 0, 1…)
      • +1: CHOOSE 함수는 인덱스가 1부터 시작하므로 나머지에 1을 더합니다. (예: 1, 2, 3, 4, 5, 1, 2…)
      • CHOOSE(...): 이 인덱스에 따라 뒤에 나열된 값들(“팀원 A”, “팀원 B” 등)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이렇게 하면 5명에게 순차적으로 작업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4. MOD 함수 사용 꿀팁! 🍯

  • 다른 함수와의 조합: IF, AND, OR, ROW, COLUMN, TEXT, CHOOSE 등 다양한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 절대 참조 활용: 나누는 값(divisor)이 고정된 값이라면, $A$1과 같이 절대 참조를 사용하여 수식을 복사할 때 오류가 나지 않도록 합니다.
  • 음수 처리 유의: 위에서 설명했듯이, 음수 값을 다룰 때는 제수(divisor)의 부호가 결과의 부호를 결정한다는 점을 항상 기억하세요.

5. 자주 하는 실수 및 문제 해결 🚧

  • #DIV/0! 오류: MOD(number, 0) 과 같이 제수(divisor)를 0으로 설정했을 때 발생합니다. 나누는 값이 0이 아닌지 확인하세요.
  • 결과 값이 예상과 다를 때 (음수): MOD 함수는 제수의 부호를 따릅니다. 만약 항상 양수의 나머지를 얻고 싶다면, MOD(MOD(number, divisor) + divisor, divisor) 와 같은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MOD(MOD(-10, 3) + 3, 3)MOD(2 + 3, 3)MOD(5, 3)2 (음수 입력에도 항상 양수 결과)
  • #VALUE! 오류: numberdivisor 인수에 숫자가 아닌 텍스트 값이 입력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셀에 올바른 숫자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결론 🚀

MOD 함수는 엑셀에서 단순히 나머지를 계산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의 패턴을 파악하고,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며, 시트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홀수/짝수 구분부터 주기적인 이벤트 관리, 시간 계산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범위는 무궁무진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엑셀 작업에 MOD 함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 처음에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 연습하다 보면 그 편리함에 놀라게 될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