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복적인 수작업으로 지쳐있는 모든 분들을 위해, 오늘은 데이터 자동화의 강력한 솔루션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 와 n8n 의 환상적인 조합인데요. 이 두 가지 도구를 함께 사용하면, 매일매일 우리를 괴롭히던 지루하고 반복적인 데이터 작업을 눈 깜짝할 사이에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서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n8n을 연동하여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안내해 드릴 거예요. 여러분의 시간을 절약하고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마법 같은 팁들을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
💡 왜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n8n을 함께 사용해야 할까요?
수많은 데이터 자동화 도구 중에서 왜 하필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n8n의 조합이 특별할까요? 몇 가지 핵심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 1. 압도적인 효율성:
- 수작업으로 몇 시간 걸리던 작업이 단 몇 초 만에 자동으로 완료됩니다. ⏱️
- 예를 들어, 웹사이트 문의 내역을 매일 수동으로 스프레드시트에 입력하던 작업을 n8n으로 자동화하면, 문의가 들어오는 즉시 스프레드시트에 기록되고, 특정 조건에 따라 담당자에게 알림까지 보낼 수 있습니다.
- 2. 뛰어난 정확성:
- 사람이 하는 작업은 실수의 여지가 있지만,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정확하게 작동합니다. 💯
- 데이터 오입력이나 누락 걱정 없이 일관된 품질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3. 무한한 확장성:
- n8n은 구글 스프레드시트 외에도 수백 가지의 다른 서비스(Slack, Notion, CRM,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등)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
- 단순한 데이터 입력/읽기를 넘어,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까지 자동화하여 워크플로우를 무한히 확장할 수 있습니다.
- 4. 비용 효율성 (특히 n8n):
- n8n은 오픈소스 기반으로, 직접 호스팅할 경우 추가 비용 없이 강력한 자동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버전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됩니다.) 💰
- 유료 자동화 툴의 높은 구독료 부담 없이 고성능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 n8n은 무엇인가요?
n8n은 로우코드/노코드(Low-code/No-code) 자동화 플랫폼 입니다. 코드를 거의 또는 전혀 작성하지 않고도 다양한 서비스와 앱을 연결하여 복잡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구축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시각적인 워크플로우 빌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노드(Node)를 연결하여 데이터 흐름을 직관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강력한 통합 기능: 구글 스프레드시트, Slack, Notion,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CRM 등 수많은 웹 서비스와 쉽게 연동됩니다.
- 유연한 배포 옵션: 데스크톱 앱,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직접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 시작하기: n8n과 구글 스프레드시트 연동하기
이제 실제로 n8n과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연동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Google Sheets API 및 서비스 계정 설정 (가장 중요! 🚨)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n8n이 접근하려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PI를 활성화하고, n8n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계정”을 생성해야 합니다.
-
Google Cloud Platform 접속:
- Google Cloud Console 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기존 프로젝트를 선택합니다. (프로젝트가 없으면 기본적으로 생성됩니다.)
-
Google Sheets API 활성화:
- 좌측 메뉴에서
API 및 서비스
->라이브러리
로 이동합니다. - 검색창에 “Google Sheets API”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Google Sheets API
를 클릭하고사용 설정
버튼을 눌러 API를 활성화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
서비스 계정 생성:
- 좌측 메뉴에서
API 및 서비스
->사용자 인증 정보
로 이동합니다.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고서비스 계정
을 선택합니다.- 서비스 계정 이름(예:
n8n-sheets-automation
), 서비스 계정 ID를 입력하고만들고 계속하기
를 클릭합니다. 역할 선택
단계에서프로젝트
->편집자
(혹은소유자
또는서비스 계정 사용자
)를 선택합니다. 최소 권한 원칙에 따라,Google Sheets API
만 접근하는 계정이라면Google Sheets
->Google Sheets Editor
또는Google Sheets Viewer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여기서는 편의상편집자
로 진행하겠습니다.계속
을 클릭하고완료
를 클릭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
서비스 계정 키 생성 (JSON 파일):
- 생성된 서비스 계정 목록에서 방금 만든 계정을 클릭합니다.
- 상단의
키
탭으로 이동합니다. 키 추가
->새 키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키 유형으로
JSON
을 선택하고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 JSON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됩니다. 이 파일은 n8n에서 사용될 중요한 인증 정보이므로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2단계: 스프레드시트 공유하기
생성된 서비스 계정이 여러분의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 스프레드시트 열기: n8n과 연동할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엽니다.
- 공유 설정: 우측 상단의
공유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메일 주소 추가: 다운로드한 JSON 파일에 있는
client_email
값을 복사합니다. (이메일 주소는[서비스 계정 이름]@[프로젝트-ID].iam.gserviceaccount.com
형식입니다.) -
권한 부여: 복사한 이메일 주소를
사용자 및 그룹과 공유
입력란에 붙여넣고, 권한을편집자
로 설정한 뒤공유
또는보내기
를 클릭합니다. ✅- 🚨주의사항:
client_email
은 JSON 파일 내에 있으며, 이 이메일 주소로 공유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헷갈려 합니다!
- 🚨주의사항:
3단계: n8n에서 Google Sheets 노드 설정하기
이제 n8n 워크플로우에서 Google Sheets 노드를 추가하고 위에서 생성한 서비스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
n8n 워크플로우 생성: n8n에 접속하여 새로운 워크플로우를 생성합니다.
-
Google Sheets 노드 추가:
+
버튼을 클릭하거나 검색창에 “Google Sheets”를 입력하여Google Sheets
노드를 추가합니다. -
Credential 설정:
- Google Sheets 노드를 클릭하고
Credential
드롭다운에서새 Credential 추가
를 선택합니다. Authentication
유형으로Service Account JSON
을 선택합니다.- 이름을 입력하고, JSON 파일의 모든 내용을 복사하여
Service Account JSON
필드에 붙여넣습니다.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Google Sheets 노드를 클릭하고
-
Google Sheets 노드 설정:
- Spreadsheet ID: 연동할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ID를 입력합니다. 스프레드시트 URL에서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
다음에 오는 긴 문자열이 Spreadsheet ID입니다. - Sheet Name: 데이터를 처리할 시트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Sheet1
,데이터베이스
) - Operation: 수행할 작업을 선택합니다.
Append Row
: 새 행 추가Read Data
: 데이터 읽기Update Row
: 특정 행 업데이트Delete Row
: 행 삭제Clear Data
: 데이터 지우기Create New Spreadsheet
: 새 스프레드시트 생성- …등 다양한 작업 선택 가능.
- Spreadsheet ID: 연동할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ID를 입력합니다. 스프레드시트 URL에서
🌟 실제 자동화 워크플로우 예시
이제 위에서 설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업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자동화 워크플로우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예시 1: 웹사이트 문의 내역 -> Google Sheets 자동 기록 📝
- 시나리오: 웹사이트에 새로운 문의가 접수되면, 해당 내용을 즉시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기록하고, 동시에 담당자에게 Slack 알림을 보냅니다.
-
워크플로우:
- Webhook Trigger 노드: 웹사이트 문의 폼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을 Webhook URL을 생성합니다. (폼 제출 시 이 URL로 데이터를 POST 요청으로 보냅니다.)
- Google Sheets 노드 (Append Row):
Credential
은 위에서 설정한 서비스 계정 Credential을 선택합니다.Spreadsheet ID
와Sheet Name
을 입력합니다.Value
에 웹훅으로 받은 문의 내역(이름, 이메일, 내용 등)을 매핑합니다. (예:{{ $json.body.name }}
,{{ $json.body.email }}
)
- Slack 노드 (Send Message):
Credential
에 Slack 연동 Credential을 설정합니다.Channel
을 선택하고,Text
에 스프레드시트에 기록된 문의 내역을 포함하여 메시지를 작성합니다. (예:새로운 웹사이트 문의 도착! 이름: {{ $json.name }}, 이메일: {{ $json.email }}
)
- 결과: 폼 제출 ➡️ 스프레드시트 자동 업데이트 ➡️ Slack 알림 📬
예시 2: 주기적인 데이터 추출 -> 이메일/Slack 보고 📊
- 시나리오: 매주 월요일 아침 9시에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특정 데이터를 읽어와 요약하고, 이를 이메일 또는 Slack으로 팀원들에게 보고합니다.
-
워크플로우:
- Cron Trigger 노드:
Mode
를Every Week
로 설정하고Weekday
를Monday
,Time
을09:00
으로 설정합니다. - Google Sheets 노드 (Read Data):
Credential
,Spreadsheet ID
,Sheet Name
을 설정합니다.Range
를 설정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읽어오거나,Read All
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 Code 노드 또는 Aggregate 노드: 읽어온 데이터를 원하는 형식으로 요약하거나 가공합니다. (예: 총 매출 계산, 특정 필터링 등)
- Email Send 노드 또는 Slack 노드 (Send Message):
- 가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고서 내용을 구성하여 이메일 또는 Slack 메시지를 보냅니다.
- 결과: 매주 월요일 9시 ➡️ 스프레드시트 데이터 추출 ➡️ 보고서 자동 생성 ➡️ 팀원들에게 자동 발송 📧
- Cron Trigger 노드:
예시 3: E-commerce 주문 처리 -> 재고 업데이트 및 알림 🛍️
- 시나리오: 쇼핑몰에 새로운 주문이 들어오면 (Shopify, WooCommerce 등),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재고를 업데이트하고, 재고가 부족할 경우 담당자에게 알림을 보냅니다.
-
워크플로우:
- Webhook Trigger 노드: 쇼핑몰 플랫폼의 ‘새로운 주문’ 웹훅을 수신하도록 설정합니다.
- Google Sheets 노드 (Read Data – 재고 확인):
- 주문된 상품의 현재 재고를 스프레드시트에서 읽어옵니다. (상품 ID 기준으로 검색)
- Code 노드 (재고 계산): 현재 재고에서 주문 수량을 차감하여 새로운 재고를 계산합니다.
- Google Sheets 노드 (Update Row – 재고 업데이트):
- 상품 ID를 기준으로 해당 상품의 재고를 새로운 재고 값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IF 노드 (재고 부족 확인):
- 새로운 재고 값이 특정 임계치(예: 10개) 미만인지 확인하는 조건을 설정합니다.
- Slack 노드 (재고 부족 알림 – IF 노드 True 분기):
- 재고가 부족할 경우 “OOO 상품의 재고가 부족합니다!” 메시지를 담당 채널로 보냅니다.
- (선택) Email Send 노드 (주문 확인 메일 발송 – IF 노드 True/False 모두):
- 고객에게 주문 확인 이메일을 발송합니다.
- 결과: 새 주문 발생 ➡️ 스프레드시트 재고 확인/업데이트 ➡️ 재고 부족 시 자동 알림 ➡️ 고객 주문 확인 메일 발송 📦
✨ 효과적인 자동화를 위한 팁 & 베스트 프랙티스
- 오류 처리 (Error Handling): 워크플로우에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노드를 추가하세요. 예를 들어, 구글 시트 업데이트에 실패했을 경우 관리자에게 알림을 보내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유효성 검사 (Data Validation): 스프레드시트에 입력될 데이터의 형식을 미리 정하고, n8n 워크플로우에서 데이터가 올바른지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하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충분한 테스트: 워크플로우를 실제 운영에 적용하기 전에 반드시 충분한 테스트를 거쳐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특히 엣지 케이스(예외적인 상황)를 중점적으로 테스트해야 합니다.
- 워크플로우 모듈화: 복잡한 워크플로우는 여러 개의 작은 워크플로우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Execute Workflow
노드를 사용하여 다른 워크플로우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서비스 계정 JSON 파일과 같은 민감한 정보는 안전하게 보관하고, n8n의 Credential 설정 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맺음말 🌈
구글 스프레드시트와 n8n의 연동은 단순히 데이터를 옮기는 것을 넘어, 여러분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반복적이고 지루한 수작업에서 벗어나, 더 중요하고 창의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거예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만의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직접 구축해보세요. 처음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번 시작하고 나면 그 편리함에 놀라게 될 것입니다. 자동화의 마법을 경험하고, 여러분의 업무 효율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행복한 자동화 생활 되세요!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