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혹시 반복되는 수동 작업에 지쳐 있거나, 여러분만의 데이터를 외부 시스템과 연결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코딩 지식이 많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API를 만들고 서비스처럼 운영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가 바로 n8n입니다! 오늘은 n8n을 활용하여 여러분의 워크플로우를 살아있는 API 서비스로 탈바꿈시키는 방법을 A부터 Z까지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n8n 최신 버전의 기능들과 배포 전략까지 함께 살펴볼 테니,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
1. 왜 n8n으로 커스텀 API를 구축해야 할까요? 🎯
n8n은 코드를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Low-Code/No-Code)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할 수 있는 강력한 자동화 도구입니다. 여기에 “커스텀 API” 기능이 더해지면 그 활용도는 무한대로 확장됩니다!
주요 장점:
- ⚡️ 놀라운 속도: 복잡한 API를 처음부터 코딩할 필요 없이, 몇 분 안에 워크플로우 형태로 API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 뛰어난 유연성: 수백 가지의 내장 노드(Node)를 활용하여 외부 서비스(Slack, Google Sheets, CRM, 데이터베이스 등)와 손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 💰 비용 효율성: 개발 인력을 투입하지 않고도 내부 프로세스를 외부 서비스로 노출하거나, 파트너사 연동을 위한 전용 API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 확장 가능성: 작은 워크플로우에서 시작하여 필요에 따라 기능을 추가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주요 활용 사례:
- 고객 문의 챗봇 백엔드: 특정 키워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회하고 응답하는 API를 만들어 챗봇에 연동합니다. 🤖
- 맞춤형 데이터 변환 서비스: 특정 형식의 데이터를 받아서 다른 형식으로 변환 후, 외부 시스템에 전송하는 API를 만듭니다. (예: CSV를 JSON으로 변환) 📊
- 내부 관리 시스템 API: Google Sheets, Airtable 등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사내 전용 API를 구축합니다. 👩💻
- 서드파티 서비스 연동: 외부 파트너사가 여러분의 서비스 데이터를 가져갈 수 있도록 특정 데이터를 노출하는 API를 만듭니다. 🤝
2. n8n 커스텀 API의 핵심 개념 이해하기 ⚙️
n8n에서 API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핵심 노드(Node)는 단 두 가지입니다!
2.1. Webhook Trigger 노드: API의 진입점 🚪
- 역할: 외부에서 들어오는 HTTP 요청(GET, POST, PUT, DELETE 등)을 감지하고 워크플로우를 시작하는 트리거 역할을 합니다. 마치 문지기처럼 외부의 호출을 기다리는 것이죠.
- 설정:
- HTTP Method: 어떤 종류의 요청을 받을지 선택합니다. (GET, POST 등)
- Path: API 엔드포인트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예:
/my-api
,/users
) - Authentication: API 키, 베이직 인증 등을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Respond to Webhook: 여기서 “Immediately” 또는 “When last node finishes”를 선택하는데, API 구축 시에는 보통 워크플로우의 모든 처리가 끝난 후 응답을 보내는 “When last node finishes”를 사용합니다.

n8n 공식 문서의 Webhook Trigger 노드 예시 이미지 (실제 n8n 화면에서 유사한 노드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2.2. HTTP Response 노드: API의 응답 📤
- 역할: 워크플로우의 처리 결과를 외부 요청자에게 다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API의 최종 아웃풋을 결정하는 노드입니다.
- 설정:
- Response Data: 응답으로 보낼 데이터를 지정합니다. 주로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보냅니다.
- Status Code: HTTP 상태 코드(예: 200 OK, 400 Bad Request, 500 Internal Server Error)를 설정하여 요청의 성공/실패 여부를 알립니다.
- Headers: 추가적인 HTTP 헤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n8n 공식 문서의 HTTP Response 노드 예시 이미지 (실제 n8n 화면에서 유사한 노드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3. 실전! n8n 커스텀 API 구축 단계 🛠️
이제 실제로 간단한 API를 만들어보면서 각 단계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1. 사전 준비: n8n 설치 또는 클라우드 사용 ☁️
- n8n Cloud (추천): 가장 빠르고 쉽게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n8n 공식 웹사이트에서 계정을 생성하고 바로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 관리 걱정 없이 바로 API 구축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Self-Hosted (Docker 추천): 직접 서버에 n8n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Docker를 이용하면 몇 가지 명령어만으로 쉽게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Docker 설치 후 docker run -it --rm --name n8n -p 5678:5678 -v ~/.n8n:/home/node/.n8n n8nio/n8n
위 명령어로 실행 후,
http://localhost:5678
로 접속하면 n8n UI를 볼 수 있습니다.
3.2. 기본 워크플로우 만들기: “Hello, [이름]!” API ✍️
가장 기본적인 “Hello World” API를 만들어 봅시다. 사용자가 이름을 보내면 “Hello, [이름]!”이라고 응답하는 API입니다.
- 새 워크플로우 생성: n8n 대시보드에서 “New Workflow”를 클릭합니다.
- Webhook Trigger 노드 추가:
- “Add first node”를 클릭하고
Webhook
을 검색하여 추가합니다. Mode
를Test
로 설정합니다. (개발 중에는 Test 모드를 사용하고, 배포 시Production
으로 변경합니다.)HTTP Method
를GET
으로 설정합니다.Path
에/hello
라고 입력합니다.- 이제 Webhook Trigger 노드 아래에 있는
Webhook URL
을 복사해 둡니다.
- “Add first node”를 클릭하고
- Set 노드 추가 (선택 사항 – 데이터 가공):
- Webhook Trigger 노드 다음(오른쪽)에
Set
노드를 추가합니다. - 이 노드는 응답할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Value
필드에Hello, {{$json.query.name}}!
이라고 입력합니다.{{$json.query.name}}
은 Webhook으로 들어오는 쿼리 파라미터name
의 값을 가져오는 n8n 표현식입니다.Property Name
은message
등으로 설정하여 응답 데이터의 키로 사용합니다.Keep Only Set
은true
로 설정하여 이전 노드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고 이 노드에서 생성된 데이터만 다음 노드로 전달되게 합니다.
- Webhook Trigger 노드 다음(오른쪽)에
- HTTP Response 노드 추가:
- Set 노드 다음(오른쪽)에
HTTP Response
노드를 추가합니다. Response Data
를JSON
으로 설정합니다.JSON Body
에{{$json}}
이라고 입력합니다. 이는 Set 노드에서 생성된{ "message": "Hello, [이름]!" }
객체를 그대로 응답으로 보내겠다는 의미입니다.Status Code
를200
으로 설정합니다.
- Set 노드 다음(오른쪽)에
- 워크플로우 저장 및 테스트!
- 워크플로우를 저장합니다.
- 워크플로우 우측 상단의
Activate
토글을 켜서 워크플로우를 활성화합니다. - 이제 복사했던 Webhook URL에
?name=김앤서
와 같이 쿼리 파라미터를 붙여 웹 브라우저나 Postman 등으로 접속해 보세요.- 예시 URL:
https://[여러분의-n8n-주소]/webhook-test/hello?name=김앤서
- 예시 URL:
- 결과:
{"message": "Hello, 김앤서!"}
가 응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3. 입력값 처리: Query, Body, Header 📦
API는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 Query Parameters (GET 요청): URL 뒤에
?key=value&key2=value2
형태로 전달됩니다.- n8n에서 접근:
{{$json.query.key}}
- 예시:
http://your-n8n.com/api/users?id=123
->{{$json.query.id}}
- n8n에서 접근:
- Body (POST/PUT 요청): JSON, FormData 등의 형태로 요청 본문에 담겨 전달됩니다.
- n8n에서 접근:
{{$json.body.propertyName}}
(JSON 경우) - 예시:
{"username": "JohnDoe", "email": "john@example.com"}
->{{$json.body.username}}
- Tip: Webhook 노드의 “Run Test Webhook” 기능을 사용하면 Postman 등으로 실제 요청을 보내면서
body
데이터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n8n에서 접근:
- Headers:
Authorization
,X-API-Key
등 메타데이터나 인증 정보 전달에 사용됩니다.- n8n에서 접근:
{{$json.header['header-name']}}
(헤더 이름은 소문자로 변환될 수 있습니다.) - 예시:
Authorization: Bearer mytoken123
->{{$json.header.authorization}}
- n8n에서 접근:
3.4. 데이터 처리 및 외부 연동 예시 🤝
n8n의 진정한 힘은 여기에서 나옵니다. 입력받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고 외부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 외부 API 호출 (HTTP Request 노드):
- 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른 외부 API(예: 날씨 API, 번역 API)를 호출하고 그 결과를 가공하여 응답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날씨 정보 제공 API:
Webhook Trigger
(GET,/weather?city=Seoul
)HTTP Request
(OpenWeatherMap API 호출,city
파라미터 전달)Set
(응답받은 JSON에서 필요한 날씨 정보 추출)HTTP Response
(가공된 날씨 정보 반환)
- 데이터베이스 연동 (Postgres, MySQL, MongoDB 등 노드):
- 사용자 ID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조회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업데이트하는 API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예시: 사용자 정보 조회 API:
Webhook Trigger
(GET,/users?id=123
)Postgres
(DB에서id=123
인 사용자 정보 조회)HTTP Response
(조회된 사용자 정보 반환, 없을 경우 404)
- 조건부 로직 (IF 노드):
- 입력값에 따라 다른 워크플로우 분기 또는 다른 응답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유료/무료 사용자 응답 분리:
Webhook Trigger
Set
(사용자 등급 정보 가져오기)IF
(등급이 ‘Premium’인지 확인)HTTP Response
(Premium 워크플로우) 또는HTTP Response
(Basic 워크플로우)
- 데이터 변환 (Function, Code 노드):
- 복잡한 데이터 변환이나 커스텀 로직이 필요할 경우 JavaScript 코드를 직접 작성하여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
3.5. 에러 처리 및 상태 코드 관리 ⚠️
안정적인 API를 위해서는 에러 처리가 필수입니다.
- HTTP Response 노드 활용:
Status Code
: 성공은200 OK
, 요청 오류는400 Bad Request
, 인증 실패는401 Unauthorized
, 리소스 없음은404 Not Found
, 서버 내부 오류는500 Internal Server Error
등을 적절히 사용합니다.JSON Body
: 에러 발생 시{ "error": "Invalid input", "code": "ERR_001" }
와 같이 상세한 에러 메시지를 포함하여 응답합니다.
- Try/Catch 노드:
- 특정 작업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워크플로우 전체가 중단되지 않고, 에러를 잡아서 별도의 에러 처리 로직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외부 API 호출 실패 시, 에러 로그를 남기고 사용자에게는 친절한 에러 메시지를 반환합니다.
4. 고급 활용 팁: 인증, 로깅, 그리고 더 나은 API 🔑
- 인증 및 보안 강화:
- API Key: Webhook Trigger 노드에서
Authentication
을API Key
로 설정하고, 요청 헤더(X-API-Key
등)에 API 키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 Basic Auth: 마찬가지로 Webhook Trigger 노드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OAuth/JWT: n8n 자체로는 복잡한 OAuth 서버 기능을 제공하지 않지만, OAuth2 Client 노드를 사용하여 외부 OAuth 제공자와 연동하거나, Webhook에서 전달받은 JWT를 검증하는 커스텀 로직을
Code
노드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입력값 검증:
IF
노드나Code
노드를 사용하여 필수 입력값이 누락되었는지, 형식이 올바른지 등을 검증하고, 유효하지 않을 경우400 Bad Request
로 응답합니다.
- API Key: Webhook Trigger 노드에서
- 로깅 및 모니터링:
- n8n의 실행 로그(
Executions
)를 통해 각 API 호출의 성공/실패 여부, 처리 시간, 입출력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og Node: 특정 지점에서 데이터를 외부 로깅 서비스(예: Slack, Google Sheets, Sentry)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n8n 자체 모니터링 툴 또는 Prometheus, Grafana 등과 연동하여 서버 리소스 및 API 응답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n8n의 실행 로그(
5. 배포 전략: 워크플로우를 서비스로! 🌐
API를 만들었다면 이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배포해야 합니다.
5.1. n8n Cloud를 통한 배포 (가장 쉬움) ☁️
- 장점: 서버 관리, 업데이트, 스케일링 등을 n8n 측에서 모두 알아서 처리해줍니다. 복잡한 설정 없이 워크플로우 활성화만으로 바로 AP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과정:
- n8n Cloud 계정 생성 및 로그인.
- 워크플로우 생성 및 테스트.
- 워크플로우 상단의
Activate
토글을 켜서 활성화합니다. - Webhook Trigger 노드의
Webhook URL
을 복사하여 사용합니다. (이 URL은 n8n Cloud의 도메인을 사용합니다.)
5.2. Self-Hosted 환경에서의 배포 (Docker & Reverse Proxy 추천) 🛡️
직접 서버에 n8n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 안정적인 API 서비스를 위해 몇 가지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
n8n 실행 (Docker):
- 가장 안정적이고 권장되는 방법입니다. Docker Compose를 사용하여 설정 파일을 관리하면 편리합니다.
docker-compose.yml
예시:version: '3.8' services: n8n: image: n8nio/n8n restart: always ports: - "5678:5678" # n8n UI 및 Webhook 포트 environment: # production 모드 설정 - N8N_EDITOR_BASE_URL=https://your.domain.com/ - WEBHOOK_URL=https://your.domain.com/webhook/ - N8N_BASIC_AUTH_ACTIVE=true # 관리자 UI 접근 보안 강화 - N8N_BASIC_AUTH_USER=admin - N8N_BASIC_AUTH_PASSWORD=your_secure_password volumes: - ~/.n8n:/home/node/.n8n # n8n 데이터 영구 저장 # 기타 필요한 환경 변수 (예: DB 연결) # - DB_TYPE=postgres # - DB_POSTGRES_HOST=db # ...
docker-compose up -d
명령으로 n8n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합니다.
-
리버스 프록시 (Nginx/Caddy):
http://your_server_ip:5678
과 같은 직접적인 IP/포트 대신,https://api.yourdomain.com
과 같은 깔끔한 도메인으로 API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SSL/TLS 인증서: Let’s Encrypt 등을 통해 무료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HTTPS를 적용해야 합니다. (API 보안의 필수!)
-
Nginx 설정 예시 (
/etc/nginx/sites-available/your-domain.com
):server { listen 80; listen [::]:80; server_name your.domain.com; return 301 https://$host$request_uri; # HTTP를 HTTPS로 리다이렉트 }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listen [::]:443 ssl http2; server_name your.domain.com; # Let's Encrypt SSL 설정 (certbot으로 발급 후 자동 추가됨) ssl_certificate /etc/letsencrypt/live/your.domain.com/fullchain.pem; ssl_certificate_key /etc/letsencrypt/live/your.domain.com/privkey.pem;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5678; # n8n이 실행되는 포트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set_header X-Real-IP $remote_addr;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set_header X-Forwarded-Proto $scheme; proxy_buffering off; proxy_http_version 1.1; proxy_set_header Upgrade $http_upgrade; proxy_set_header Connection "upgrade"; proxy_read_timeout 86400; # 웹훅 처리를 위한 충분한 시간 } }
- Nginx 설정을 적용하고 재시작합니다.
-
Webhook URL 변경:
- n8n의
Webhook Trigger
노드에 표시되는 URL이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https://your.domain.com/webhook/your-api-path
형식으로 자동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수동 설정이 필요하다면, n8n 환경 변수WEBHOOK_URL
을 올바르게 설정해야 합니다. - 워크플로우를
Production
모드로 전환해야만webhook
경로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webhook-test
는Test
모드 전용입니다.)
- n8n의
5.3. 배포 시 고려 사항 🧐
- 스케일링: API 호출량이 많아질 경우, n8n 인스턴스를 여러 개 띄우고 로드 밸런서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AWS ECS, Kubernetes 등)
- 모니터링: API의 응답 시간, 에러율, 서버 자원 사용량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백업: n8n 데이터(워크플로우, 자격 증명 등)는 정기적으로 백업해야 합니다.
6. 결론: 워크플로우, 이제 서비스가 되다! 🌈
n8n을 활용하면 코딩 없이도 복잡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강력한 API 서비스로 만들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다룬 기본적인 구축 방법부터 고급 활용 팁, 그리고 배포 전략까지 차근차근 따라 해보신다면,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반복적인 수동 작업은 n8n에게 맡기고, 여러분은 더욱 창의적이고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세요! 지금 바로 n8n을 시작하여 여러분만의 “워크플로우를 서비스로!” 만들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n8n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하여 더욱 깊이 탐구해 보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자동화 되세요!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