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평균 소득 현황 및 동향 분석 보고서 I. 서론 본 보고서는 대한민국 국민의 평균 소득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히 특정 수치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가구 소득, 개인 소득, 국민 소득 등 다양한 지표를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소득 동향, 소득원별 변화, 그리고 소득 불평등 현황을 최신 통계(주로 2023년, 2024년, 2025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다.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국민들의 경제적 삶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평균 소득’이라는 개념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구 구성, 소득원, 자산 보유 여부, 지역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단일 지표만으로는 국민들의 실제 경제 상황을 온전히 파악하기 어렵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복합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소득 지표를 상호 연관 지어 분석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보고서는 가구 소득, 개인 및 국민 소득 지표, 가처분소득 및 소비지출,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심화 요인, 그리고 결론 순으로 구성된다. 각 섹션에서는 관련 최신 데이터를 제시하고, 통계청, 한국은행, KDI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심층적인 분석과 함께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 II. 가구 소득 현황 및 동향 대한민국 가구의 소득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변동성을 나타내며 가계의 실질 구매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득의 구성 요소별 변화는 경제 환경 및 정부 정책의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최신 가구당 월평균 소득 분석 (2024년 분기별) 2024년 4/4분기 기준 전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21만 5,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3.8% 증가했다. 물가 상승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2.2% 증가하여, 명목 소득 증가가 어느 정도 실질 구매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분기별 동향을 살펴보면, 2024년 1/4분기 월평균 소득은 512만 2천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4% 증가했으며 , 2/4분기에는 496만 1천원으로 3.5% 증가했으나 실질소득은 0.8% 증가에 그쳤다. 3/4분기에는 525만 5천원으로 4.4% 증가하며 , 연중 소득 증가율이 변동성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2/4분기의 낮은 실질소득 증가율은 해당 시기의 물가 압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음 표는 2024년 분기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및 주요 소득원별 증감률을 보여준다. 주: 각 소득원별 증감률은 전년 동분기 대비 명목 증가율임. 일부 분기 데이터는 제시된 자료에 명시되지 않아 공란으로 표기됨. 소득원별 상세 분석 근로소득은 2024년 1/4분기에 329만 1천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1% 감소하며 일시적인 하락을 보였으나 , 3/4분기에는 332만 9천원으로 3.3% 증가하고 , 4/4분기에는 324만 1천원으로 2.3% 증가하며 다시 회복세를 나타냈다. 2025년 1/4분기에는 3.7% 증가가 예상되어 , 고용 시장의 안정화와 임금 상승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사업소득은 2024년 1/4분기에 87만 5천원으로 8.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으나 , 3/4분기에는 98만 7천원으로 0.3% 증가에 그쳤고 , 4/4분기에는 109만 1천원으로 5.5% 증가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다. 2025년 1/4분기에는 3.0% 증가가 예상되어 , 자영업 및 소상공인 부문의 경기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전소득은 2024년 1/4분기 81만 8천원(+5.8%) , 3/4분기 78만 4천원(+7.7%) , 4/4분기 70만 9천원(+5.6%) 으로 꾸준히 높은 증가율을 유지했다. 특히 2025년 1/4분기에는 7.5%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이전소득의 지속적인 증가는 정부의 다양한 복지정책과 연금 지급 확대 등 공적이전소득의 증가(2024년 4/4분기 7.3%, 2024년 2/4분기 7.2%)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사회 안전망 확충을 통해 가계 소득을 보강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실제 소득 지표에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의 변동성에 비해 이전소득의 꾸준한 증가는 가계의 소득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간 가구 평균 소득 및 가구원 수별 동향 2023년 가구의 연간 평균 소득은 7,185만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다. 이는 2022년 평균 소득 6,762만원(+4.5%)에 이어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간 것이다. 가구원 수별 소득을 살펴보면, 2024년 기준 3인 이하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7,205,312원, 4인 가구는 8,578,088원 등으로, 2023년 대비 약 1% 내외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준 중위소득 (복지정책 기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기초생활 보장제도 및 각종 복지 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으로 활용된다. 2025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7,773원으로 2024년 대비 6.42% 인상되었으며, 1인 가구는 2,392,013원으로 7.34% 인상되었다. 이는 정부의 복지 정책이 물가 상승률과 소득 증가 추세를 반영하여 취약 계층의 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질소득 증가율의 변동성 및 물가 압력 가구의 명목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실질소득 증가율은 이에 미치지 못하거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24년 4/4분기 명목 소득이 3.8% 증가했을 때 실질소득은 2.2% 증가했으며 , 2025년 1/4분기에는 총소득이 4.5% 증가했지만 실질소득은 2.3% 증가에 그쳤다. 특히 2024년 2/4분기에는 명목 소득 3.5%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질소득 증가율이 0.8%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2024년 한국의 실질임금은 명목임금 2.5% 증가와 인플레이션 2.3% 증가를 감안할 때 0.3% 증가에 불과했다. 이러한 명목 소득과 실질 소득 간의 괴리는 지속적인 물가 압력이 가계의 실제 구매력을 약화시키고 있음을 나타낸다. 가계는 통계적으로 소득이 늘어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생활비 부담이 커져 체감하는 경제적 여유는 크게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가계 예산에 부담을 주고 소비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물가 상승을 고려하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실제 국민들의 경제적 삶을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III. 개인 및 국민 소득 지표 가구 소득 외에도 개인의 소득 수준과 국가 전체의 경제력을 나타내는 국민 소득 지표는 대한민국 경제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다. 1인당 국민총소득 (GNI) 및 국내총생산 (GDP) 2024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4,995.5만원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으며,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36,62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5,000만원을 돌파했다는 보도와도 일치한다 (5,012만원, 전년 대비 6.1% 증가). 달러 기준으로는 2년 연속 일본을 앞섰다는 분석도 있다. 2024년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2.0% 성장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은 2,549.1조원으로 6.2% 성장했다. 2024년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 6천 달러대에 진입한 것으로 추산되며, 2025년에는 3만 7천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총소득(GNI)은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 소득을 의미하며, 국내총생산(GDP)은 국내에서 생산된 총 부가가치를 의미한다. GNI가 GDP보다 높게 나타나거나 성장률이 더 높은 경우, 이는 해외로부터의 순 요소 소득(해외 투자 수익, 해외 근로 소득 등)이 증가했거나 교역 조건이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2024년 데이터에서 1인당 GNI의 견조한 성장은 한국 경제가 대외 경제 활동을 통해 안정적인 소득 흐름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2023년 기준) 2023년 12월 기준 임금근로일자리에서 일한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363만원으로 전년 대비 2.7%(10만원) 증가했으며, 중위소득은 278만원으로 4.1%(11만원) 증가했다. 이는 평균 소득보다 중위 소득의 증가율이 높아 소득 분포의 중간 부분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조직 형태별로 보면 회사법인(413만원)이 가장 높았고, 개인기업체(218만원)가 가장 낮았다. 전년 대비 개인기업체(4.2%)와 회사법인(3.2%) 순으로 증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593만원), 비영리기업(349만원), 중소기업(298만원) 순으로 소득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소기업(4.3%)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성별 평균소득은 남자(426만원)가 여자(279만원)의 1.5배 수준이었으며, 전년 대비 남자는 3.0%, 여자는 2.8% 각각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451만원)가 가장 높았고, 19세 이하(5.0%)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임금근로소득의 세부 분석은 노동 시장 내의 구조적 특성을 보여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남성과 여성 간의 임금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이는 노동 시장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개인기업체의 낮은 소득 수준은 영세 자영업자 및 소상공인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IV. 가처분소득 및 소비지출 가처분소득은 가계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소비와 저축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가처분소득의 증가는 소비 여력 확대로 이어지지만, 실제 소비 지출 동향은 가계의 경제 심리와 불확실성 인식을 반영한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 및 총량 동향 2024년 4/4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20만 7,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4.0% 증가했다. 2024년 1/4분기에는 404만 6천원으로 1.4% 증가했으며 , 3/4분기에는 418만 8천원으로 5.5%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에는 4.5% 증가하며 7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2023년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5,864만원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처분가능 개인소득 총량은 2023년에 역대 최고치인 2,438,286.40억원을 기록했으며, 2025년 말까지 2,500,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는 2026년 2,800,000억원, 2027년 3,000,000억원으로 추이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가계의 재정적 여유가 점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소비지출 동향 및 평균소비성향 2024년 4/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 8천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3.0% 증가했다. 2024년 1/4분기에는 290만 8천원으로 3.0% 증가했으며 , 3/4분기에는 290만 7천원으로 3.5%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 가계 소비지출은 주거·수도·광열, 식료품 등을 중심으로 전체 1.4% 증가에 그쳤다. 이는 소득 증가율(4.5%)의 절반 수준으로, 가계가 소비보다는 저축을 늘리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평균소비성향은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을 나타낸다. 2024년 1/4분기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전년 동분기 대비 1.2%p 상승했으나 , 3/4분기에는 69.4%로 1.3%p 하락했다. 4/4분기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55.0%로 2.8%p 하락했다. 가계수지 (흑자액) 가계수지 흑자액은 가처분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금액이다. 2024년 1/4분기 흑자액은 113만 8천원으로 2.6% 감소했으나 , 3/4분기에는 128만원으로 10.2%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 흑자액은 12.3% 증가하며 4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성향 하락 및 저축 증가 경향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성향이 하락하거나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는 가계가 소득 증가분을 소비하기보다는 저축하거나 부채를 상환하는 데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에 대한 가계의 신중한 태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고금리 환경에서 부채 부담을 줄이거나, 미래에 대한 대비(예: 은퇴 자금, 자녀 교육비, 주택 마련 등)를 위해 자산을 축적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단기적인 소비 진작에는 제약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인 가계 재무 건전성 강화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계의 자산 운용 방식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난다. 가구소득 증가 및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가 53.3%로 가장 높았고, ‘부동산 구입’이 22.7%로 뒤를 이었다. 이는 가계가 단순히 소득을 늘리는 것을 넘어, 자산 축적을 통한 재산 증식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계의 선택은 소비 활성화 측면에서는 도전 과제를 제기하지만, 동시에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통해 미래의 소비 여력을 확보하려는 합리적인 경제 행위로 볼 수 있다. V. 소득 불평등 현황 및 심화 요인 대한민국의 소득 불평등은 다양한 지표를 통해 분석되며, 최근에는 일부 지표에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국민이 체감하는 불평등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괴리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복합적인 요인들에서 비롯된다. 주요 소득분배지표 및 동향 소득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 소득 5분위배율, 상대적 빈곤율은 다음과 같다. 2023년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323으로 전년 대비 0.001 감소했다. 소득 5분위배율은 5.72배로 전년 대비 0.04배p 감소했으며 , 상대적 빈곤율은 14.9%로 전년과 동일했다. 소득 5분위배율 감소는 소득 1분위의 증가율(9.3%)이 5분위(8.6%)보다 높게 나타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OECD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14.9%)은 미국(18.1%)에 비해 낮지만, 영국(11.8%), 스웨덴(8.4%), 핀란드(6.7%) 등보다는 높다. 이는 한국의 소득 불평등 수준이 OECD 평균과 유사하거나 일부 선진국보다는 높은 수준임을 보여준다. 소득분위별 소득 동향 2024년 4/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21만 3,000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3.0% 증가했으며, 처분가능소득은 103만 7,000원으로 4.6% 증가했다. 반면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19만 9,000원으로 3.7% 증가했고, 처분가능소득은 891만 2,000원으로 4.9% 증가했다. 2025년 1/4분기에는 1분위를 제외한 2~5분위에서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1분위의 경우 사업소득(-7.7%) 및 이전소득(-1.0%) 중심으로 소득이 감소했다. 이는 저소득층의 소득 개선이 여전히 취약하며, 특정 소득원(사업소득, 이전소득)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소득 불평등 심화 원인 분석 공식적인 소득 불평등 지표가 다소 개선되는 경향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체감하는 불평등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괴리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 첫째, 자산 불평등, 특히 부동산의 역할이 핵심적이다. 주택 보유 여부와 부동산 가격 상승률에 따라 빈부 격차가 심화되었으며, 주택 보유자는 자산 증식 속도가 빨랐다. 부동산 가격 급등과 대출 규제는 저소득층에게 진입 장벽을 만들고 자산 격차를 고착화시켰다. 소득 불평등 연구에서 소비 불평등 추이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데, 자산 불평등은 소득 불평등에 대한 시각과 해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둘째, 기술 변화가 개인 능력에 따른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기술 변화는 고숙련 노동자 수요를 증가시키는 반면, 저숙련 노동자의 일자리를 대체하거나 축소시켜 임금 격차를 확대시켰다. 앞으로 단순 반복적인 인지적 업무와 육체적 업무는 인공지능(AI), 생성형 로봇, 자동화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있다. 셋째, 인구 고령화가 소득 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 인구 고령화는 소득 이동성 하락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인구가 고령화될수록 은퇴 인구 비중이 늘어나면서 소득 분배 구조의 경직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세대 간, 그리고 고령층 내 소득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소득 불평등의 확대는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여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빈부 격차가 클수록 저소득층 가정 자녀들이 교육을 받을 기회가 어려워져 교육 및 인적 자본 축적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불안정을 증가시키고 정치적 왜곡을 초래하여 기업 투자를 위축시키고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을 채택하게 만들 수 있다. 궁극적으로 소득 분배 악화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기업 실적을 악화시키고 경제 위기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VI. 결론 대한민국의 평균 소득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가구 소득, 개인 임금 소득, 국민총소득(GNI) 등 다양한 지표에서 명목상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이전소득의 지속적인 증가와 공적이전소득의 확대는 정부의 사회 안전망 강화 노력이 가계 소득 안정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4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5,000만원을 돌파한 것은 국가 경제력의 양적 성장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목 소득 증가 이면에는 물가 상승으로 인한 실질 구매력 저하라는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명목 소득 증가율이 실질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거나, 특정 분기에 실질 소득 증가율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현상은 가계가 체감하는 경제적 여유가 통계적 수치만큼 크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가계가 처분가능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늘리기보다는 저축을 선택하는 경향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인식과 재무 건전성 강화 욕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소득 불평등 측면에서는 지니계수와 소득 5분위배율 등 일부 지표에서 소폭 개선이 관찰되었으나, 자산 불평등, 특히 부동산 시장의 영향과 기술 변화로 인한 노동 시장의 양극화, 그리고 인구 고령화로 인한 소득 이동성 저하 등 구조적인 요인들이 국민들이 체감하는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소득 분배의 경직성을 높여 장기적인 경제 성장과 사회 통합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평균 소득은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그 내면에는 물가 압력으로 인한 실질 소득의 제약과 구조적인 불평등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향후 정책 방향은 단순히 명목 소득 증대를 넘어, 물가 안정을 통한 실질 구매력 제고, 노동 시장의 유연성과 공정성 확보, 그리고 자산 불평등 완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국민들의 경제적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 2024년 4/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2024년 연간지출 포함) – 부처 …,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76437 2. 2024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51782 3. 2024년 2/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47914 4. 2024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0323 5. ’25년 1분기 가계소득 +4.5% 증가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7117 6. 1분기 월 가구소득 535만원… 소득 늘었지만 ‘저축’ 우선 – 중부매일, https://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8215 7.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0745 8.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전체 | 보도자료 | 새소식 – 통계청,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215&act=view&list_no=434107 9.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국회도서관 국가전략정보포털,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42618 10. 2025년 3월부터 적용되는 소득 및 자산 기준, https://roadmap.oopy.io/landing/2025income 11. 2025년도 4인가족 기준 중위소득 6097773원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customizedNewsView.do?newsId=148931980 12.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로 역대 최대 인상 –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00000&bid=0027&list_no=1482430&act=view 13. [조세] OECD 근로소득에 대한 조세동향 보고서 상세보기|경제 | 주 …, https://overseas.mofa.go.kr/oecd-ko/brd/m_20806/view.do?seq=557 14. 2024년 4/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 …,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3974 15. 2024년 4/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 통계 보도자료(상세) – 한국은행,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501/view.do?nttId=10090110&searchCnd=1&searchKwd=&depth2=200038&depth3=201263&depth=201263&pageUnit=10&pageIndex=1&programType=newsData&menuNo=201264&oldMenuNo=201263 16. 한국 1인당 국민소득 3만6624달러…일본 또 제치고 세계 6위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85372.html 17. 2024년 1인당 국민소득 5000만원 첫 돌파 –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50605514240 18. 2024년 한국 1인당 GDP 3만 6천 달러..일본·대만보다 높아 – KBC광주방송, https://news.ikbc.co.kr/article/view/kbc202502020004 19. 2023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 경제정책자료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3588 20. 한국 총 가구 가처분 소득 | 1970-2024 데이터 | 2025-2027 예상 – 경제 지표, https://ko.tradingeconomics.com/south-korea/disposable-personal-income 21. 우리나라의 지니계수 추이(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 – 지표누리,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07 22.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통계청,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40300&bid=215&act=view&list_no=428364 23.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earch/search.do?query=%EA%B0%80%EA%B3%84%EC%86%8C%EB%93%9D 24. 상대적 빈곤율,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5056 25.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664637 26. [김선제 교수 경제칼럼] 경제성장률 하락과 빈부격차 심화 – 한국증권, https://www.ks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603 27. 소득과 소비 불평등 추이에 관한 실증 연구 – KDI 한국개발연구원 …, https://www.kdi.re.kr/research/reportView?pub_no=16991 28. 소비·자산]소득불균등도와 소득이동성의 변화추이 | 전체보기 | 영역별 | 한국의사회동향, https://kostat.go.kr/board.es?mid=a90104010301&bid=12308&act=view&list_no=428633&tag=&nPage=2&ref_bid=12303,12304,12305,12306,12307,12308,12309,12310,12311,12312,12313,12314 29. [제2023-18호]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와 소득불평등 – 한국은행, https://www.bok.or.kr/portal/bbs/P0002353/view.do?nttId=10077869&menuNo=20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