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 8월 9th, 2025

AI 특이점: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성장, 경쟁, 그리고 분절화 탐색 Executive Summary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AI)이 주도하는 강력한 성장 사이클에 진입하며, 약 7,000억 달러 규모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그러나 이 성장은 극도로 양극화되어 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그래픽 처리 장치(GPU), 첨단 로직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AI 관련 부문이 폭발적인 성장을 구가하는 반면, 전통적인 PC, 스마트폰, 자동차 시장은 상대적으로 더딘 성장 또는 정체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분화는 기업들의 전략적 방향과 수익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 전선에서는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으로의 전환, 차세대 HBM4 메모리 개발 경쟁, 그리고 칩렛과 첨단 패키징의 부상이 산업의 헤게모니를 결정할 핵심 전쟁터로 부상했다. TSMC는 확고한 리더십을 유지하는 가운데,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양면에서 반격을 모색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의 절대 강자로 떠올랐다. 반면, 인텔은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전략 재정비를 통해 회복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및 경쟁 구도 위에 미중 기술 패권 경쟁과 각국의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으로 대표되는 지정학적 변수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공급망은 분절화되고 있으며, 이는 비용 증가와 새로운 리스크를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2025년 반도체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우위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변화에 대한 깊은 통찰, 탄력적인 공급망 관리, 그리고 강력한 생태계 파트너십 구축이 필수적인 전략적 과제가 되었다. 제 1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환경: 새로운 성장 사이클의 부상 2025년 반도체 산업은 이전의 침체를 딛고 AI라는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여 새로운 성장 궤도에 진입한다. 본 파트에서는 시장의 거시적 지표를 분석하고, 성장을 뒷받침하는 설비 투자 및 생산 능력 확대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보고서 전체의 양적 기반을 제공한다. 1.1. 2025년 시장 전망: 컨센서스와 편차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견고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러 시장 조사 기관의 전망은 약 7,000억 달러 규모로 수렴하며, 이는 전년 대비 약 11~13%의 성장을 의미한다. 주요 기관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는 2025년 시장이 11.2% 성장하여 7,00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가트너(Gartner)는 이보다 다소 낙관적인 12.6% 성장을 전망하며 시장 규모를 7,050억 달러로 제시했으며, 시점에 따라 11.8% 또는 14% 등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전망치를 내놓기도 했다. 다른 분석 기관들은 ING의 보수적인 9.5% 성장 전망부터 IDC의 15%에 이르는 다양한 예측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는 2026년에도 이어져, WSTS는 8.5% 추가 성장한 7,607억 달러 시장을 예측했다. 장기적으로는 2025년 이후 연평균 7~9%의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2030년까지 1조 달러 시장에 도달하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과거 34년간 9번의 성장과 위축을 반복한 반도체 산업의 주기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러나 현재의 상승 국면은 AI라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수요 동력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어, 과거보다 더 탄력적인 성장 단계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 이면에는 중요한 세부 사항이 존재한다. 전체 시장의 두 자릿수 성장은 모든 부문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WSTS는 개별 반도체(Discrete Semiconductors), 광전자(Optoelectronics) 등의 일부 제품군은 오히려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ING는 이러한 현상을 “양극화된(bifurcated) 시장”이라고 명시적으로 표현하며, AI 및 데이터센터 관련 부문의 강력한 성장과 PC, 스마트폰, 자동차 등 전통적인 부문의 성장 정체를 지적했다. 이는 2025년 시장을 단순한 ‘회복’이 아닌, AI를 중심으로 한 ‘재편’으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전체 성장률은 AI 관련 초고성장에 의해 평균치가 높아진 결과이며, AI 노출도에 따라 기업들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릴 것임을 암시한다. 표 1: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 요약 (2024-2026년) 주: 각 기관의 발표 시점 및 방법론에 따라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1.2. 지역별 역학: 무게 중심의 이동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2024년 전체 매출의 81.3%를 차지하며 시장의 지배적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도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WSTS는 202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성장률을 9.8%로 예측했다. 반도체산업협회(SIA)의 데이터 역시 이 지역의 강력한 전년 동기 대비 판매 증가세를 확인시켜 준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미주(Americas) 지역의 부활이다. WSTS는 미주 지역이 2025년에 18.0%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SIA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3월 미주 지역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3%나 급증했다. 이는 미국에 본사를 둔 하이퍼스케일러들의 막대한 AI 투자와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의 초기 효과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결과이다. 설비 투자 측면에서는 중국, 대만, 한국이 2026년까지 장비 투자 상위 3개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여전히 가장 큰 투자 규모를 유지하겠지만, 2024년의 정점에서는 다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는 2025년부터 장비 투자가 큰 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1.3. 설비 투자 및 생산 능력 확장: 미래를 위한 구축 짧은 조정기를 거친 후,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다시 설비 투자(CapEx)를 공격적으로 늘리고 있다. 3년간의 하락세를 마감하고 2025년 투자액은 전년 대비 7% 증가하여 약 1,850억~1,8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투자는 2025년 전 세계 반도체 생산 능력이 7% 확장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생산 능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한국은 2025년 월 540만 장(200mm 웨이퍼 환산 기준) 생산 능력으로 세계 3위를 차지할 전망이다. 이러한 흐름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선행 지표는 반도체 제조 장비 시장이다. 이 시장은 2025년에 7.4% 성장하여 사상 최대치인 1,255억 달러에 달하고, 2026년에는 1,381억 달러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업계가 미래 수요에 대해 강한 확신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요한 점은 약 1,850억 달러에 달하는 설비 투자가 단순히 주기적인 회복을 넘어선 전략적 재편의 성격을 띤다는 것이다. 투자는 2나노 등 첨단 로직 공정, HBM 메모리, 그리고 첨단 패키징이라는 특정 분야에 고도로 집중되고 있다. 이는 범용적인 생산 능력 확대가 아니라, AI가 유발한 특정 기술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가장 수익성 높은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표적 투자이다. 예를 들어,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HBM 수요에 힘입은 DRAM 장비 투자와 2나노 전환에 따른 첨단 로직 장비 투자의 급증을 예측한 반면, 낸드(NAND) 투자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이 HBM을 중심으로 막대한 설비 투자 증가를 예고한 것은 이러한 전략적 베팅의 대표적인 사례다. 반면, 인텔은 과거의 비효율적 투자를 반성하며 프로젝트를 취소하고 “재무적으로 훈련된(financially disciplined)” 접근법을 강조하고 있다. 이제 자본은 단순히 물량을 늘리는 수단이 아니라, 특정 기술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적 무기로 활용되고 있다. 제 2부: AI 메가트렌드: 최종 시장 수요의 재편 2025년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은 단연 인공지능이다. 본 파트에서는 전체 시장의 성장을 최종 응용 시장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다. AI 메가트렌드가 데이터센터, 메모리, 자동차, 소비자 가전 등 각 분야에 어떻게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승자와 패자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2.1. 데이터센터 &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의 진원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학습 및 추론을 위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운영사들의 폭발적인 AI 가속기(GPU, 맞춤형 ASIC 등) 수요가 2025년 반도체 시장 성장의 가장 강력한 엔진이다.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매출은 2024년에 이미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성장하여 1,120억 달러에 달했으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흐름의 최대 수혜자는 엔비디아(Nvidia)로,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이 급증하고 있으며 AI 칩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공급을 초과하고 있다. TSMC와 같은 파운드리 업체 역시 AI 프로세서 웨이퍼 생산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호황을 누리고 있다. 이 거대한 수요는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되어, AI 랙의 높은 전력 소모를 감당하기 위한 첨단 전력 관리 IC(PMIC)와 액체 냉각 솔루션 같은 관련 부품의 수요까지 견인하고 있다. 2.2. 메모리 패러다임의 전환: HBM 혁명 메모리 시장은 2025년을 기점으로 두 개의 다른 세계로 나뉘고 있다. 하나는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고부가가치 HBM 시장이며,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범용(레거시) D램 및 낸드 시장이다. HBM은 이제 AI 가속기의 “기본적인(fundamental)” 구성 요소로 자리 잡았다. HBM 시장은 “기하급수적인(exponential) 성장”을 경험하고 있으며, 매출은 2024년 152억 달러에서 2026년 326억 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2025년 한 해에만 HBM 매출은 66~70% 성장하여 약 200억~21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전체 D램 매출에서 HBM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에 19.2%까지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 HBM 시장의 패권은 SK하이닉스가 장악하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 SK하이닉스는 62%라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마이크론이 21%, 삼성전자가 17%로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리더십은 엔비디아에 HBM3E 12단 적층 제품을 독점적으로 대량 공급하면서 구축되었다. SK하이닉스는 이미 2025년 HBM 생산 물량을 모두 판매 완료(sold-out)한 상태다. 이러한 데이터는 HBM이 이제 메모리 시장의 ‘킹메이커(Kingmaker)’가 되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SK하이닉스의 기록적인 수익성과 시장 지배력은 전적으로 HBM 성공의 결과물이다. 반대로, 삼성전자가 HBM 시장에서 이례적으로 부진한 모습(시장 점유율이 41%에서 17%로 급락)을 보인 것은 반도체(DS) 부문의 수익성과 TSMC 및 SK하이닉스와의 경쟁 구도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었다. HBM은 더 이상 틈새 고성능 제품이 아니라, 2025년 메모리 리더십과 수익성을 결정하는 핵심 전쟁터가 되었다. 이는 삼성전자의 HBM4 전략이 회사의 명운을 건 도전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반면, 레거시 D램과 낸드 시장은 역풍을 맞고 있다.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과 상대적으로 더딘 소비자 수요 회복으로 인해 레거시 D램은 공급 과잉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낸드 시장 역시 수요 부진과 재고 누적으로 인해 주요 공급사들이 2025년에 다시 감산을 계획하고 있는 상황이다. 표 2: HBM 시장 분석 (2024-2025년) 2.3. 자동차 & 산업: 꾸준한 콘텐츠 중심 성장 전기차(EV) 및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으로의 전환은 차량 한 대당 탑재되는 반도체 콘텐츠의 양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자동차 반도체 시장은 2024년 808억 달러에서 2029년 약 1,1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수요가 약하거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 , 이는 폭발적인 성장이 아닌 장기적이고 꾸준한 성장 스토리가 될 것임을 시사한다. 산업 및 엣지(Edge) AI 분야 역시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AI의 중심이 클라우드에서 엣지 디바이스로 이동하면서 산업 자동화, 로봇, 지능형 사물인터넷(IoT) 기기 분야에서 저전력 ASIC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2.4. 소비자 가전 (PC & 스마트폰): 성숙 시장의 전환점 PC와 스마트폰 시장은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어 더 이상 반도체 전체 매출 성장을 견인하는 주력 엔진이 아니다. 2025년 스마트폰 판매량은 낮은 한 자릿수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이며, PC 판매량은 수년간의 정체 끝에 약 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장의 핵심 트렌드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능의 통합이다. 이를 위해 신경망 처리 장치(NPU)가 필수적으로 탑재되면서, 판매량 증가가 미미하더라도 칩의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AI 후광 효과’가 데이터센터 이외의 시장에서는 가정보다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데이터센터 반도체 매출은 폭발하고 있지만 , 자동차와 산업 분야의 단기 수요는 ‘약하다’ 또는 ‘실망스럽다’고 평가된다. 엣지 AI와 온디바이스 AI의 잠재력은 분명하지만 , 2025년 매출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다. 한 분석에서는 최신 아이폰의 AI 기능이 ‘실망스러웠다’고 평가하며 2025년 스마트폰이 시장 성장의 동력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이는 ‘AI’라는 키워드가 모든 시장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단순한 가정이 위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성장은 AI를 구동하는 인프라에 집중되어 있으며, 아직 AI를 사용하는 기기 전반으로 확산되지 않았다. 제 3부: 기술 전쟁터: 향후 10년의 리더십을 결정하다 본 파트는 AI가 요구하는 성능 향상의 ‘방법론’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장기적인 경쟁 우위를 결정할 핵심 기술, 즉 새로운 트랜지스터 아키텍처로의 전환, 패키징 기술의 진화, 그리고 차세대 메모리의 미래를 분석한다. 3.1. 2나노 경쟁: 게이트-올-어라운드(GAA) 혁명 업계는 성능과 전력 효율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해 2나노 공정부터 기존의 핀펫(FinFET) 구조를 넘어선 게이트-올-어라운드(GAA) 트랜지스터 아키텍처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향후 기술 리더십을 가를 중요한 변곡점이다. 삼성전자의 선점 전략: 삼성은 세계 최초로 3나노 공정에 GAA 기술을 상용화하며 기술적 경험을 축적했다.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2나노 공정(SF2)에는 독자적인 MBCFET(Multi-Bridge Channel FET) 기술을 적용한다. 이는 채널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설계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며, 고성능 컴퓨팅(HPC)과 모바일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계획이다. TSMC의 정공법: TSMC는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N2 공정에서 NSFET(Nanosheet FET) 기반의 GAA 기술을 처음 도입한다. 기존 N3 공정 대비 10~15%의 성능 향상 또는 25~30%의 전력 절감 효과를 약속하며, 애플, 엔비디아, AMD 등 핵심 고객사들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인텔의 야심 찬 도전: 인텔은 ‘리본펫(RibbonFET)’이라 불리는 자체 GAA 기술과 후면 전력 공급 기술인 ‘파워비아(PowerVia)’를 결합한 18A(1.8나노급) 공정으로 경쟁사를 단숨에 뛰어넘겠다는 공격적인 로드맵을 추진 중이다. 생산 웨이퍼가 출하되기 시작했지만 , 낮은 수율과 고객사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 양산 성공 여부는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다. 심지어 18A 대신 차세대 14A 공정으로 고객을 유도하려는 움직임까지 감지되고 있다. 이 2나노 경쟁은 단순히 트랜지스터 기술의 우위를 가리는 것을 넘어, 생태계와 실행 능력의 싸움이다. 세 기업 모두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승자는 기술의 우수성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인텔의 18A 공정은 기술적으로 가장 야심 차지만, 고객 확보와 수율 문제로 고전하고 있다. 인텔의 신임 CEO가 “더 이상의 백지수표는 없다”며 투자는 고객 약속에 기반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과거의 실패를 인정한 셈이다. 반면 TSMC는 핵심 고객들을 N2 공정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이는 기술 로드맵만큼이나 실행의 신뢰성과 고객과의 신뢰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삼성의 과제는 3나노 GAA의 초기 상용화 경험을 2나노에서의 대규모 고객 확보로 연결시켜, 과거의 수율 및 신뢰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다. 표 3: 2나노 공정 기술 경쟁 구도 3.2. 패키징 혁명: 무어의 법칙을 넘어서 트랜지스터 집적도의 한계와 천문학적인 EUV 장비 비용으로 인해 , 반도체 성능 향상의 무게 중심은 ‘첨단 패키징’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는 더 이상 후공정이 아닌,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이다. 첨단 패키징 시장은 연평균 10.6% 성장하며 2028년 78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3.2% 성장에 그치는 전통 패키징 시장을 압도할 것이다. TSMC의 CoWoS(Chip-on-Wafer-on-Substrate)는 GPU와 HBM 칩을 실리콘 인터포저 위에 함께 실장하는 2.5D 패키징 기술의 표준으로, AI 칩 생산에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복잡한 시스템온칩(SoC)을 여러 개의 작은 전문 다이(Die)로 나누어 제작하는 ‘칩렛(Chiplet)’ 기술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와 같은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회사가 만든 칩렛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게 되어, 개발 비용을 40~60% 절감하고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시키는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패키징에서의 리더십이 공정 노드에서의 리더십만큼 중요해진 시대이며, TSMC의 CoWoS 지배력은 강력한 생태계 우위를 제공한다. 3.3. HBM4와 그 너머: 고성능 메모리의 미래 2025년에서 2026년 사이 등장할 차세대 HBM4는 여러 기술적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핵심 혁신 기술: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기존의 12단보다 높은 16단 적층을 위해, D램 다이 사이의 솔더 범프(Solder bump)를 제거하고 칩을 직접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이 도입된다. 이는 패키지 두께를 줄이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한다. 인터페이스 확장: 데이터 통로인 I/O(입출력) 개수가 기존 1024개에서 2048개로 두 배 늘어나 대역폭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3D 패키징 및 로직 통합: 삼성은 인터포저 없이 HBM4를 프로세서 위에 직접 쌓는 진정한 3D 패키징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엄청난 성능 향상을 약속하지만, 발열 등 기술적 난제가 많다. 또한, HBM 스택의 가장 아래에 위치한 베이스 다이에 연산 기능을 일부 통합하여 GPU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을 선점하기 위한 개발 경쟁은 HBM의 신제품 주기를 기존 2년에서 1년으로 단축시키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하반기 HBM4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 다른 업체들은 202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 4부: 업계의 거인들: 전략 분석 본 파트에서는 시장의 주요 기업들의 재무 성과, 시장 지위, 그리고 핵심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앞서 논의된 시장 및 기술 트렌드 속에서 각 기업이 어떻게 생존하고 경쟁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4.1. TSMC: 파운드리 제왕의 군림과 규모의 도전 TSMC는 2025년에도 압도적인 실적을 기록하며 파운드리 제왕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3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매출총이익률은 58.6%에 달했다. 이러한 호실적에 힘입어 2025년 전체 매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30%로 상향 조정했다. TSMC의 전략은 명확하다. 3나노와 5나노 등 첨단 공정(전체 웨이퍼 매출의 60% 차지)과 CoWoS 첨단 패키징에서의 지배력을 활용해 AI 붐의 과실을 독점하는 것이다. 1분기에만 약 152억 달러의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며 첨단 기술 및 패키징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 2025년 N2, 2026년 A16으로 이어지는 로드맵을 차질 없이 이행하며 경쟁사와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 4.2. 삼성전자: 메모리와 파운드리의 양면 전쟁 삼성전자는 2025년 힘겨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반도체(DS) 부문의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은 4,000억 원에 그쳤다. 메모리 재고 자산 평가 손실과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제재 영향이 겹친 결과다. 반도체 부문 전체 매출은 TSMC에 크게 뒤처져 있다. 메모리 사업의 최우선 과제는 HBM 시장에서의 위상 회복이다. 시장 점유율이 17%까지 추락한 상황에서 , HBM3E 제품의 품질 인증을 조속히 통과하고, 3D 패키징과 같은 혁신 기술을 담은 HBM4 프로그램에 사활을 걸고 있다. 파운드리 사업에서는 2025년 GAA 기반 2나노 공정 세계 최초 양산을 통해 TSMC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핵심은 주요 고객사를 다시 확보하고 안정적인 수율과 실행 능력을 증명하는 것이다. 4.3. SK하이닉스: HBM 파도를 타고 시장 리더로 SK하이닉스는 2025년 가장 눈부신 성과를 거둔 기업이다.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은 9조 2,129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삼성전자의 메모리 사업을 압도했다. HBM에 대한 ‘올인’ 전략이 완벽하게 성공했다. 62%의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과 핵심 고객인 엔비디아와의 공고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 10조 원이 넘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HBM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미 2025년 생산 물량은 완판되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세계 최초로 HBM4 샘플을 공개하고 2025년 하반기 양산을 계획하는 등 기술 주기를 단축하며 리더십 굳히기에 나서고 있다. 4.4. 인텔: IDM 2.0의 도박과 험난한 회복의 길 인텔은 신임 CEO 립-부 탄(Lip-Bu Tan)의 지휘 아래 고통스러운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약 24,000명의 인력 감축, 독일과 폴란드의 대규모 팹 건설 프로젝트 취소, 사업부 통폐합 등이 포함된다. 목표는 “재무적으로 더 훈련된 파운드리”로 거듭나는 것이다. 인텔의 야심 찬 ‘IDM 2.0’ 파운드리 전략은 현재 위기에 직면해 있다. 회사는 자체적으로 18A 공정에 대한 “중요한(significant)” 외부 고객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과거의 “지어놓으면 고객이 올 것”이라는 철학에서 벗어나, 차세대 공정인 14A에 대한 선도 고객을 먼저 확보하고 그 약속에 기반해 투자하겠다는 근본적인 전략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AWS와 맞춤형 칩 생산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일부 성과도 있지만 , 광범위한 고객 확보에는 실패한 모습이다. 핵심 사업인 데이터센터 부문에서는 AMD와의 경쟁에서 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수익성보다 점유율을 우선”하는 공격적인 가격 정책을 펼칠 것임을 시사했다. 인텔의 위기는 전략과 실행의 괴리가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보여주는 교훈적인 사례다. “4년간 5개 공정”이라는 야심 찬 계획은 실행의 현실과 충돌했다. 18A 고객 확보 실패는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의 실패다. 이는 현대 파운드리 사업에서 기술 로드맵은 고객과의 긴밀한 공동 설계와 신뢰 없이는 무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텔은 이제 이 교훈을 값비싸게 배우고 있으며, 회복까지는 수년이 걸릴 험난한 여정이 예상된다. 4.5. 엔비디아: 지정학적 역풍 속의 AI 칩 헤게몬 엔비디아는 전례 없는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2025년 2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을 뛰어넘어 69% 급증했으며 , AI 가속기 시장의 독보적인 리더 자리를 지키고 있다. 엔비디아의 전략은 블랙웰(Blackwell)과 같은 차세대 GPU 아키텍처를 빠르게 출시하고, CUDA라는 강력한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통해 경쟁사들이 넘볼 수 없는 깊은 해자를 구축하는 것이다. 엔비디아의 가장 큰 도전은 기술이 아닌 지정학이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는 향후 분기에 8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매출 손실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 구도는 더 이상 개별 기업 간의 대결이 아니라 생태계 간의 경쟁으로 진화하고 있다. ‘TSMC 생태계'(TSMC + 엔비디아 + SK하이닉스 + 애플 등)가 강력한 시너지를 내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SK하이닉스의 성공은 엔비디아에 묶여 있고, 엔비디아의 성공은 TSMC의 제조 능력에 의존한다. 또한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HBM의 베이스 다이 제작을 위해 TSMC와 협력해야 한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강력한 진입 장벽을 형성한다. 이에 맞서기 위해 삼성전자는 메모리, 로직, 패키징을 함께 제공하는 ‘턴키(Turn-key)’ 전략을 내세우고 있으며 , 인텔은 AW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유사한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려 시도하고 있다. 미래 경쟁의 승패는 이러한 전략적 동맹과 생태계 구축 능력에 달려 있다. 표 4: 주요 반도체 기업 전략 및 재무 현황 (2025년 2분기 기준) 제 5부: 분절된 세계의 항해: 지정학과 공급망의 현실 본 파트에서는 산업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는 비기술적, 외부 요인들을 분석한다. 지정학적 전략과 공급망 관리가 이제 연구개발(R&D)만큼이나 중요해진 이유를 탐구한다. 5.1. 미중 반도체 분쟁: 새로운 표준이 되다 미국은 엔비디아의 H20과 같은 저사양 AI 칩을 포함하여 중국으로의 첨단 반도체 및 제조 장비 수출 통제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통제는 로직 및 메모리 장비를 넘어 계측, 설계 소프트웨어(EDA)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는 엔비디아가 향후 막대한 매출 손실을 예상하는 등 기업에 직접적인 재정적 타격을 주며, 모든 다국적 기업에 불확실성과 규제 준수 비용을 증가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은 특히 7나노 이상의 성숙(레거시) 공정에서 자급자족을 목표로 국내 대체 프로그램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공급업체들이 중국 시장을 잃게 될 수 있다는 리스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중 기술 전쟁은 반도체 시장을 ‘두 개의 속도’로 분절시키고 있다. 하나는 미국의 강력한 통제하에 있는 ‘첨단 기술 시장’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이 자급자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레거시 시장’이다. 이는 기업과 국가에 미국 주도 생태계에 편승할 것인지, 아니면 중국 중심의 레거시 시장에서 경쟁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선택을 강요한다. 한국과 같이 양쪽에 깊이 관여된 국가에게는 미국의 제재 동참 압박과 자급자족하는 중국과의 경쟁이라는 ‘양방향 리스크’에 직면하게 된다. 5.2. 산업 정책의 시대: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의 효과 520억 달러의 보조금과 막대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미국의 반도체 지원법을 필두로, 유럽연합(EU), 인도 등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산업 정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실제로 자본의 흐름을 바꾸고 있다. 미국에서만 5,000억 달러가 넘는 민간 투자가 발표되었으며 , 목표는 대만과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금 정책은 양날의 검이다. 첫째, 보조금 배분이 정치화될 위험이 있다. 차기 미국 행정부가 자국 기업인 인텔을 삼성이나 TSMC보다 우선 지원하거나 ,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모든 기업의 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다. 둘째, 중복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비효율적이며 비용 증가를 유발한다. 셋째, 인텔이 독일과 폴란드 프로젝트를 취소한 것처럼 , 정부 보조금이 시장 수요와 무관한 과잉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 결국, 산업 정책의 시대는 기업들에게 기술 전문성뿐만 아니라 정교한 정치적 항해술까지 요구하고 있다. 5.3. 구조적 역풍: 지속적인 도전 과제 업계는 여러 구조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인력 부족: 특히 5나노 이하의 첨단 공정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인력 부족은 심각한 제약 요인이다. 2026년까지 약 50개의 신규 팹이 가동될 예정이어서 인력난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자원 제약: 첨단 팹은 막대한 양의 물과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대만이나 미국 애리조나와 같은 주요 생산 거점에서 물과 전력 부족이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장비 병목 현상: ASML이 독점 공급하는 차세대 High-NA EUV 노광 장비는 대당 3억 8,000만 달러가 넘는 초고가이며 생산량도 제한적이어서, 2나노 이하 공정으로의 전환에 주요 병목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 6부: 전략적 전망 및 종합 본 파트는 보고서 전체의 핵심 주제들을 종합하여 산업의 미래 궤적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언한다. 6.1. 핵심 트렌드 종합: 2025년의 ‘삼체 문제’ 2025년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세 가지 거대한 힘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AI 특이점 (The AI Singularity): 컴퓨팅 파워에 대한 끝없는 수요가 시장을 양극화시키고 HBM, 첨단 패키징과 같은 새로운 기술적 과제를 제시하며 산업 전체를 끌어당기고 있다. 기술의 쳇바퀴 (The Technology Treadmill): GAA 공정으로의 전환과 ‘무어의 법칙을 넘어서는’ 혁신을 향한 끊임없고 자본 집약적인 경쟁이 기업의 생사를 가르고 있다. 지정학적 게임판 (The Geopolitical Gameboard): 미중 경쟁과 산업 정책의 부상으로 인해 과거의 글로벌 단일 시장이 경쟁하는 기술-경제 블록으로 분절되고 있다. 이 세 가지 힘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낳고 있으며, 기업들은 이 복잡한 ‘삼체 문제’를 풀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6.2. 미래 시나리오와 핵심 질문 시나리오 1: AI 주도 슈퍼 사이클: AI 수요가 예상을 뛰어넘어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생태계 전체를 끌어올리는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 시나리오 2: 양극화된 재편: AI 관련 부문은 강력한 성장을 이어가지만, 레거시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승자와 패자가 극명하게 갈리는 현재와 가장 유사한 시나리오. 시나리오 3: 지정학적 파괴: 무역 분쟁 격화나 대만 해협의 긴장 고조와 같은 공급망 충격이 시장의 펀더멘털을 압도하는 최악의 시나리오. 2026년 이후를 내다볼 때, 다음과 같은 핵심 질문들이 남는다. 삼성과 인텔은 각자의 숙적인 TSMC와 엔비디아에 성공적으로 도전할 수 있을 것인가? HBM의 공급은 언젠가 수요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인가? 반도체 산업은 분절화된 공급망으로의 전환을 심각한 비효율 없이 관리해낼 수 있을 것인가? 6.3. 산업 이해관계자를 위한 제언 반도체 기업에게: 개별 제품 수준의 경쟁을 넘어 생태계 수준의 파트너십 구축에 집중해야 한다. 공급망 다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투자자에게: 전체 시장 성장률이라는 헤드라인 숫자를 넘어, 고성장 AI 부문에 속한 기업과 도전에 직면한 레거시 시장에 노출된 기업을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기업 가치 평가 시 실행 능력과 생태계 내에서의 위치를 중요한 변수로 고려해야 한다. 정책 입안자에게: 단순한 보호무역주의가 아닌, 혁신과 협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산업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재 개발과 R&D 등 생태계 전반에 대한 투자를 우선시해야 한다. 참고 자료

  1. WSTS Semiconductor Market Forecast Spring 2025, https://www.wsts.org/76/WSTS-Semiconductor-Market-Forecast-Spring-2025 2. Semiconductor industry outlook 2025 | Infosys Knowledge Institute, https://www.infosys.com/iki/research/semiconductor-industry-outlook2025.html 3. Gartner is bullish on AI, sees 12.6% chip market growth in 2025 …, https://www.eenewseurope.com/en/gartner-is-bullish-on-ai-sees-12-6-chip-market-growth-in-2025/ 4. 2025 State of the Industry Report: Investment and Innovation Amidst Glob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www.semiconductors.org/2025-state-of-the-industry-report-investment-and-innovation-amidst-global-challenges-and-opportunities/ 5. 2025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outlook – Deloitte, https://www.deloitte.com/us/en/insights/industry/technology/technology-media-telecom-outlooks/semiconductor-industry-outlook.html 6. 1H2025 Semiconductor Market Outlook | Sourceability, https://sourceability.com/post/planning-for-the-future-2025-semiconductor-market-outlook 7. Global semiconductor revenue to grow 14% in 2025 – Evertiq, https://evertiq.com/news/56674 8. Gartner Forecasts Strong Semiconductor Market Recovery Driven by AI, Memory, and GPU Growth – AnySilicon, https://anysilicon.com/gartner-forecasts-strong-semiconductor-market-recovery-driven-by-ai-memory-and-gpu-growth/ 9. 2025년 전자 산업 성장 전망 – Altium Resources, https://resources.altium.com/kr/p/electronics-industry-growth-prospects-2025 10. Expect robust semiconductor demand in 2025, but not in all segments | articles – ING Think, https://think.ing.com/articles/expect-robust-semiconductor-demand-in-2025-but-not-in-all-segments/ 11. “세계 반도체 성장, 메모리가 주도”… HBM 격전 예고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6/07/YB4LD6E3Z5EUVNLNBDY6RQEXRU/ 12. 반도체 산업 규모 – 2025~2030년 전망 및 산업 동향, https://www.mordorintelligence.kr/industry-reports/semiconductor-industry-landscape 13. Global Semiconductor Sales Increase 18.8% in Q1 2025 Compared to Q1 2024; March 2025 Sales up 1.8% Month-to-Month, https://www.semiconductors.org/global-semiconductor-sales-increase-18-8-in-q1-2025-compared-to-q1-2024-march-2025-sales-up-1-8-month-to-month/ 14. Global Semiconductor Sales Increase 7.8% from Q1 to Q2; Month-to-Month Sales Tick Up 1.5% in June, https://www.semiconductors.org/global-semiconductor-sales-increase-7-8-from-q1-to-q2-month-to-month-sales-tick-up-1-5-in-june/ 15.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255억 달러 돌파 전망 | SEMI, https://www.semi.org/ko/node/164021 16. SEMI “올해 반도체 장비시장 규모 174조원 사상 최대치 전망” – 지디넷코리아, https://zdnet.co.kr/view/?no=20250805142025 17.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255억 달러 돌파 전망…AI 수요 타고 2026년까지 성장 지속, http://www.eco-f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81 18. 세계 반도체 기업 투자액 3년 만에 증가세…10곳 투자액 187조원 | 미주중앙일보, 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50804181647984 19. 반도체 생산 캐파 2025년까지 지속 증가 – e4ds news, https://www.e4ds.com/sub_view.asp?ch=2&t=0&idx=19224 20. [산업클럽] 메모리 반도체 업황 근황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 NAVER, https://contents.premium.naver.com/finics/juju/contents/250206170128023ef 21. Lip-Bu Tan: Steps in the Right Direction – Intel Newsroom, https://newsroom.intel.com/corporate/lip-bu-tan-steps-in-the-right-direction 22. Intel Reports Second-Quarter 2025 Financial Results, https://www.intc.com/news-events/press-releases/detail/1745/intel-reports-second-quarter-2025-financial-results 23. ‘AI 바람’ 탄 엔비디아, 4분기 매출 78% 증가 – 지디넷코리아, https://zdnet.co.kr/view/?no=20250227082644 24. 中 진출 막혔지만… 엔비디아, 매출 69% 뛴 ‘깜짝 실적’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5/30/KQQBXDAUJ5ECTEBP5VBBL5LJTY/ 25. 2025년 세계 반도체 시장 전망: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가능성, https://seo.goover.ai/report/202501/go-public-report-ko-736b816c-c056-4581-8c71-907286d55483-0-0.html 26. “AI메모리 전쟁” SK하이닉스 압도적 1위…삼성 흔들, 마이크론 질주 …, http://www.fi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235395 27. SK하이닉스 “올해 HBM 투자 확대 전망”…내년 ‘완판’ 계획 순항(종합2보) – 토스증권, https://www.tossinvest.com/stocks/A000660/news?symbol-or-stock-code=A000660&contentType=news&contentParams=%7B%22id%22%3A%22yna_AKR20250724057152003%22%7D 28. 골드만삭스의 SK하이닉스 투자의견 하향 조정: HBM 시장 역학 및 향후 전망 심층 분석,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usymoon/kicpakpmg/contents/250717120658220xn 29. 2025.06.25.(수) 증권사리포트 “삼성전자, 하반기 불확실성 완화 전망”, https://contents.premium.naver.com/nomadand/nomad/contents/250625115534178eq 30. ‘반도체 황제’ TSMC, 美·亞 공장 확대에 20조 투입한다 – 엠투데이, https://www.auto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1066 31. HBM4 차세대 메모리 시장의 혁신과 경쟁 – 브런치, https://brunch.co.kr/@babylon/142 32. [2025 연간전망] #반도체 뒤바뀐 재고의 흐름과 AI의 그늘 #SK하이닉스 #삼성전자 – YouTube, 33. 美공장까지 파운드리 2나노 공정에 승부수 거는 삼성의 셈법은?…“TSMC보다 먼저, GAA 기술 자신감” – 녹색경제신문,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313322 34. Report 2나노미터(nm) 이하 공정의 상용화 전망 보고서, https://research4lab.tistory.com/entry/Report7-2%EB%82%98%EB%85%B8%EB%AF%B8%ED%84%B0nm-%EC%9D%B4%ED%95%98-%EA%B3%B5%EC%A0%95%EC%9D%98-%EC%83%81%EC%9A%A9%ED%99%94-%EC%A0%84%EB%A7%9D-%EB%B3%B4%EA%B3%A0%EC%84%9C 35. 삼성, 내년 3세대 2나노 ‘GAA’ 트랜지스터 출시 – 애플경제, https://www.apple-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73289 36. 삼성전자,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 Samsung Newsroom Korea,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2025%EB%85%84-2%EB%B6%84%EA%B8%B0-%EC%8B%A4%EC%A0%81-%EB%B0%9C%ED%91%9C 37. Intel at Morgan Stanley Conference: Strategic Focus on Foundry and AI : r/hardware – Reddit, https://www.reddit.com/r/hardware/comments/1j5frht/intel_at_morgan_stanley_conference_strategic/ 38. Intel struggles reportedly hit its key manufacturing process: Timeline and newer tech risk failure, likened to ‘Hail Mary’ effort,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technology/tech-news/intel-struggles-reportedly-hit-its-key-manufacturing-process-timeline-and-newer-tech-risk-failure-likened-to-hail-mary-effort/articleshow/123122831.cms 39. Intel’s bad news year rolls on as new 18A chip manufacturing node is reportedly in trouble with 10% yields and doubts over profitability of the Panther Lake CPU | PC Gamer, https://www.pcgamer.com/hardware/processors/intels-bad-news-year-rolls-on-as-new-18a-chip-manufacturing-node-is-reportedly-in-trouble-with-10-percent-yields-and-doubts-over-profitability-of-the-panther-lake-cpu/ 40. Intel fumbled again with their 18a, 18aP? No external customers, then how would they make money from IFS. This is similar to scrapping 20A story all over again – Reddit, https://www.reddit.com/r/Semiconductors/comments/1lrr718/intel_fumbled_again_with_their_18a_18ap_no/ 41. 글로벌 파운드리 Big3의 첨단 패키징 기술개발 동향, https://ettrends.etri.re.kr/ettrends/208/0905208010/098-106.%20%EC%A0%84%ED%99%A9%EC%88%98_208%ED%98%B8%20%EC%B5%9C%EC%A2%85_3.pdf 42. 중국 첨단 패키징 OSAT 주목, https://www.bondweb.co.kr/_research/downloadPage.asp?number=759761&gn=1 43. 잡코리아 High-Tech | SK 하이닉스 HBM4 공급! 양산 계획 및 채용 동향, https://www.jobkorea.co.kr/recruit/careers/articles/sk-hynix-ships-worlds-first-hbm4-samples-and-its-impact-on-recruitment-in-korea 44. [영상] IMW 2024에서 나온 반도체의 미래 키워드 – 디일렉,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7934 45. TSMC 주가, AI 수요에 힘입은 실적 호조로 2025년 강세 지속 | EBC …, https://www.ebc.com/kr/forex/258388.html 46. TSMC, 1분기 실적 발표 및 향후 투자 계획 공개 – 인베스팅닷컴, https://kr.investing.com/news/sec-filings/article-93CH-1476801 47. Intel Puts The Process Horse Back In Front Of The Foundry Cart – The Next Platform, https://www.nextplatform.com/2025/07/25/intel-puts-the-process-horse-back-in-front-of-the-foundry-cart/ 48. SK하이닉스 “2025년도 HBM 완판…공정 전환해 추가 수요 대응” – IT조선,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25590 49. Intel’s Earnings Bombshell: Layoffs, Foundry Warning And Other Things To Know – CRN, https://www.crn.com/news/components-peripherals/2025/intel-s-earnings-bombshell-layoffs-foundry-warnings-and-other-things-to-know 50. Intel’s manufacturing unit gets more ‘bad news’ after company CEO Lip-Bu Tan’s major restructuring announcement,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technology/tech-news/intels-manufacturing-unit-gets-more-bad-news-after-company-ceo-lip-bu-tans-major-restructuring-announcement/articleshow/123049037.cms 51. Pat Gelsinger on Foundry Momentum, Progress on Plan – Intel Newsroom, https://newsroom.intel.com/corporate/foundry-momentum-progress-plan 52. 엔비디아, AI칩 수출 규제로 다음 분기 11조원 손실 예상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5/29/UMN6KUJKLJFVXPIDXL7Z4GSV2Q/ 53. SK하이닉스·삼성전자, 차세대 HBM4 선점 놓고 총력전 – 주간동아, https://weekly.donga.com/economy/article/all/11/4962172/1 54. 미중 반도체 공급망 분절 가능성과 시사점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5211 55. 2025년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미래: 관세전쟁, 기업 전략 및 새로운 트렌드 분석 – Goover, https://seo.goover.ai/report/202504/go-public-report-ko-099633df-9466-41c6-a789-0a987fb331f3-0-0.html 56. 뉴 트럼프 행정부 ‘칩스법 재설계’…한국 기업 미국 투자전략 바뀌나?,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1270 57. 미국의 반도체법(CHIPS Act) 재검토 발표에 따른 글로벌 반도체 산업 영향과 대응전략, https://www.globalict.kr/upload_file/kms/202502/29595591819796459.pdf 58.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제조 장비 투자 1100억 달러 돌파 예상 – SEMI, https://www.semi.org/ko/node/16028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