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n8n은 무료 오픈소스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로, 다양한 노드(Node)를 연결해 복잡한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은 수많은 노드 종류와 기능에 당황하기 마련이죠. 😅 이번 포스팅에서는 n8n의 핵심 노드와 실전 활용법을 통해 워크플로우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Part 1. n8n 노드 기본 이해
노드(Node)는 n8n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Gmail에서 메일 받기 → Slack으로 알림 보내기”라는 워크플로우는 두 개의 노드로 구성됩니다.
[Trigger Node] → [Action Node]
📌 노드의 3가지 주요 유형
-
트리거 노드 (예: Cron, Webhook)
- 워크플로우를 시작하는 시그널 역할
- 예시: 매일 아침 9시에 실행되는 Cron 노드
-
액션 노드 (예: HTTP Request, Email)
- 실제 작업을 수행
- 예시: 구글 시트에 데이터 추가
-
헬퍼 노드 (예: Function, Merge)
- 데이터 가공/분석 지원
- 예시: JSON 데이터에서 특정 필드 추출
🛠 Part 2. 효율성 UP! 필수 노드 5선
1. HTTP Request 노드 🌐
- 외부 API와 연동할 때 90% 이상 사용되는 핵심 노드
// 예시: 코인시세 API 호출 { "method": "GET", "url": "https://api.coingecko.com/api/v3/simple/price?ids=bitcoin&vs_currencies=usd" }
2. Function 노드 🤖
- JavaScript 코드로 커스텀 로직 구현 가능
// 예시: 온도 단위 변환 (℃ → ℉) return { fahrenheit: items[0].json.celsius * 1.8 + 32 };
3. Switch 노드 🚦
- 조건에 따라 분기 처리
if (온도 > 30) → "더움" 알림 else if (온도 B(키워드 필터링) B --> C{중요도 판단} C -->|긴급| D[Slack 알림] C -->|일반| E[Notion 저장]
📌 Case 2. 자동 인보이스 발행
- Stripe 결제 완료 웹훅 수신
- 고객 DB에서 정보 조회
- PDF 인보이스 생성 → Gmail 전송
- 월말 정산 보고서 자동 생성
🚨 주의사항 & 문제 해결
- 에러 핸들링 필수!
- 모든 HTTP 노드에 “Error Trigger” 연결 권장
- 속도 저하 발생 시
- “Wait” 노드로 딜레이 추가
- 병렬 처리가 필요한지 확인
- API 한도 체크
- 1시간당 1000회 호출 제한 등 확인
🎯 마무리
n8n은 200개 이상의 노드를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10~20개의 핵심 노드로 대부분의 작업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간단한 워크플로우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확장해보세요!
> 💡 추천 학습 경로
> 1. 공식 문서의 “Node Reference” 탐색
> 2. 템플릿 갤러리에서 유사 사례 찾기
> 3. 커뮤니티(포럼/디스코드)에서 질문
여러분도 오늘부터 “노드 마스터”가 되어 지루한 반복 작업에서 해방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