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8월 18th, 2025

G: 안녕하세요! 🚀 오늘 우리는 자동화의 세계에서 마법 같은 능력을 부여하는 n8n의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인 Code Node에 대해 깊이 파고들 것입니다. n8n은 시각적인 워크플로우 빌더로 유명하지만, 때로는 표준 노드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논리나 커스텀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이때, Code Node가 빛을 발하죠! ✨

이 글에서는 Code Node의 기본 사용법부터 시작하여, 실제 시나리오에서 활용할 수 있는 10가지 풍부한 예시를 통해 여러분의 n8n 자동화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자, 코딩 없이도 복잡한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었던 n8n에 JavaScript의 강력한 힘을 더해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볼까요? 💡


챕터 1: n8n과 Code Node, 왜 중요할까? 🤔

n8n은 “Low-code / No-code” 자동화 플랫폼으로, 다양한 서비스 간의 연동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모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을 표준 노드만으로 구현하는 것은 때때로 한계에 부딪히기 마련입니다.

Code Node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 한계 극복: 표준 노드로는 불가능하거나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데이터 변환, 조건부 로직, 커스텀 유효성 검사 등을 JavaScript 코드로 직접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워크플로우에 필요한 거의 모든 종류의 데이터 처리 및 조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 강력한 통합: n8n 내부의 다른 노드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가져와 가공하고, 다시 다음 노드로 넘기는 과정에서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생산성 향상: 반복적이고 복잡한 수작업을 자동화하여 시간과 노력을 절약합니다.

결론적으로, Code Node는 n8n 워크플로우에 “뇌”를 심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순한 연결을 넘어, 지능적인 의사결정과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죠! 🧠


챕터 2: Code Node의 기본 사용법 📚

Code Node는 JavaScript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다음 노드로 전달합니다. 기본적인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입력 데이터 접근하기 (items)

Code Node는 이전 노드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items라는 이름의 배열로 받습니다. 각 itemjson이라는 속성 안에 실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이전 노드에서 넘어온 데이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봅시다:
// items = [
//   { json: { id: 1, name: "Alice", value: 100 } },
//   { json: { id: 2, name: "Bob", value: 200 } }
// ]

// 첫 번째 아이템의 이름에 접근
const firstName = items[0].json.name;
console.log(firstName); // "Alice"

2. 데이터 처리 및 변환

map, filter, reduce 등 JavaScript의 강력한 배열 메서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 모든 아이템에 'status' 필드 추가
const newItems = items.map(item => {
  return {
    json: {
      ...item.json, // 기존 데이터 복사
      status: "processed" // 새로운 필드 추가
    }
  };
});
console.log(newItems);

3. 결과 데이터 반환하기 (return)

Code Node는 항상 배열 형태의 객체를 반환해야 합니다. 각 객체는 json 속성 안에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Code Node의 마지막에는 항상 다음과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해야 합니다.
return [
  { json: { message: "작업 완료!" } }
];

// 또는, 위에서 처리한 newItems를 반환
return newItems;

예시: 간단한 데이터 변환

이전 노드에서 name 필드를 받아서, greeting 필드를 추가해 다음 노드로 전달해봅시다.

// 입력 (items):
// [
//   { json: { name: "John Doe" } }
// ]

const outputItems = items.map(item => {
  const name = item.json.name;
  return {
    json: {
      originalName: name,
      greeting: `Hello, ${name}!`
    }
  };
});

return outputItems;

// 출력 (return):
// [
//   { json: { originalName: "John Doe", greeting: "Hello, John Doe!" } }
// ]

챕터 3: Code Node로 구현하는 복잡한 로직 🛠️ (10가지 예시!)

이제 Code Node의 진정한 힘을 발휘할 시간입니다! 실제 시나리오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10가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각 예시마다 문제 상황, 코드, 그리고 설명을 제공하여 이해를 돕겠습니다.

예시 1: 데이터 필터링 및 변환 🔍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필터링하고, 동시에 데이터를 가공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문제 상황: 주문 목록에서 ‘완료(completed)’ 상태이며, 가격이 10000원 이상인 주문만 추출하고, 각 주문에 ‘is_large_order’ 필드를 추가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order_id": "A001", "status": "pending", "price": 12000 } },
      { "json": { "order_id": "A002", "status": "completed", "price": 8500 } },
      { "json": { "order_id": "A003", "status": "completed", "price": 15000 } },
      { "json": { "order_id": "A004", "status": "completed", "price": 20000 } }
    ]
  • Code Node 코드:

    const filteredAndTransformedItems = items
      .filter(item => item.json.status === "completed" && item.json.price >= 10000)
      .map(item => {
        return {
          json: {
            ...item.json,
            is_large_order: true,
            processed_at: new Date().toISOString() // 처리 시간 추가
          }
        };
      });
    
    return filteredAndTransformedItems;
  • 설명:
    1. filter()를 사용하여 status가 “completed”이고 price가 10000 이상인 아이템만 걸러냅니다.
    2. map()을 사용하여 필터링된 각 아이템에 is_large_order: trueprocessed_at 필드를 추가합니다.
    3. 최종적으로 가공된 배열을 반환합니다.

예시 2: 조건부 로직 구현 (If/Else) 🚦

하나의 입력에 대해 여러 조건에 따라 다른 출력을 만들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문제 상황: 고객의 구매 금액에 따라 다른 등급(Bronze, Silver, Gold)을 부여하고, 해당 등급에 맞는 할인율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customer_name": "Alice", "total_purchase": 50000 } },
      { "json": { "customer_name": "Bob", "total_purchase": 120000 } },
      { "json": { "customer_name": "Charlie", "total_purchase": 25000 } }
    ]
  • Code Node 코드:

    const gradedCustomers = items.map(item => {
      const purchase = item.json.total_purchase;
      let grade = "Bronze";
      let discountRate = 0;
    
      if (purchase >= 100000) {
        grade = "Gold";
        discountRate = 0.10; // 10% 할인
      } else if (purchase >= 50000) {
        grade = "Silver";
        discountRate = 0.05; // 5% 할인
      } else {
        grade = "Bronze";
        discountRate = 0.01; // 1% 할인
      }
    
      return {
        json: {
          ...item.json,
          customer_grade: grade,
          discount_rate: discountRate,
          final_price_estimate: purchase * (1 - discountRate)
        }
      };
    });
    
    return gradedCustomers;
  • 설명:
    1. map()을 사용하여 각 고객 데이터에 접근합니다.
    2. if/else if/else 문을 사용하여 total_purchase 값에 따라 gradediscountRate를 결정합니다.
    3. 새로운 필드들을 추가하여 반환합니다.

예시 3: 다중 아이템 병합 및 집계 (Aggregation) 📊

여러 개의 입력 데이터를 하나로 합치거나, 특정 값을 집계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문제 상황: 여러 개의 판매 데이터에서 총 판매액과 평균 판매액을 계산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sale_id": "S001", "amount": 1000 } },
      { "json": { "sale_id": "S002", "amount": 2500 } },
      { "json": { "sale_id": "S003", "amount": 1500 } },
      { "json": { "sale_id": "S004", "amount": 3000 } }
    ]
  • Code Node 코드:

    const totalSales = items.reduce((sum, item) => sum + item.json.amount, 0);
    const averageSales = items.length > 0 ? totalSales / items.length : 0;
    
    return [
      {
        json: {
          total_sales_amount: totalSales,
          average_sales_amount: averageSales,
          number_of_sales: items.length
        }
      }
    ];
  • 설명:
    1. reduce()를 사용하여 모든 amount 값의 합계를 totalSales에 저장합니다.
    2. averageSalestotalSalesitems.length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0으로 나누는 오류 방지)
    3. 집계된 정보를 담은 단일 객체를 배열 형태로 반환합니다.

예시 4: 날짜 및 시간 조작 ⏰

날짜 형식을 변경하거나, 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는 등 날짜/시간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합니다.

  • 문제 상황: 사용자의 가입일 (YYYY-MM-DD 형식)을 기준으로 몇 년 전에 가입했는지 계산하고, 가입일을 MM/DD/YYYY 형식으로 변경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user_id": "U001", "signup_date": "2020-03-15" } },
      { "json": { "user_id": "U002", "signup_date": "2023-11-01" } }
    ]
  • Code Node 코드:

    const processedUsers = items.map(item => {
      const signupDateStr = item.json.signup_date;
      const signupDate = new Date(signupDateStr);
      const today = new Date();
    
      // 몇 년 전에 가입했는지 계산
      const yearsAgo = today.getFullYear() - signupDate.getFullYear();
    
      // 날짜 형식 변경 (MM/DD/YYYY)
      const formattedDate = (signupDate.getMonth() + 1).toString().padStart(2, '0') + '/' +
                            signupDate.getDate().toString().padStart(2, '0') + '/' +
                            signupDate.getFullYear();
    
      return {
        json: {
          ...item.json,
          years_since_signup: yearsAgo,
          formatted_signup_date: formattedDate
        }
      };
    });
    
    return processedUsers;
  • 설명:
    1. new Date() 객체를 사용하여 날짜를 파싱하고 현재 날짜를 가져옵니다.
    2. getFullYear()을 이용해 연도 차이를 계산합니다.
    3. getMonth(), getDate(), getFullYear()을 조합하여 원하는 형식으로 날짜 문자열을 재구성합니다. padStart(2, '0')로 두 자리 숫자를 유지합니다.

예시 5: 문자열 파싱 및 조합 🧩

문자열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하거나, 여러 문자열을 조합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 문제 상황: 이메일 주소에서 사용자 이름과 도메인을 분리하고, 이름과 성이 각각 분리된 데이터를 전체 이름으로 조합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email": "john.doe@example.com", "first_name": "John", "last_name": "Doe" } },
      { "json": { "email": "jane_smith@outlook.co.kr", "first_name": "Jane", "last_name": "Smith" } }
    ]
  • Code Node 코드:

    const processedContacts = items.map(item => {
      const email = item.json.email;
      let username = "";
      let domain = "";
      if (email.includes('@')) {
        [username, domain] = email.split('@');
      }
    
      const fullName = `${item.json.first_name} ${item.json.last_name}`;
    
      return {
        json: {
          ...item.json,
          email_username: username,
          email_domain: domain,
          full_name: fullName
        }
      };
    });
    
    return processedContacts;
  • 설명:
    1. split('@')을 사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 기준으로 사용자 이름과 도메인으로 나눕니다.
    2. 템플릿 리터럴(` )을 사용하여first_namelast_name을 조합하여full_name`을 생성합니다.

예시 6: 외부 API 호출 (n8n.request 사용) 🌐

Code Node 내에서 외부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보강하거나, 특정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n8n에서는 n8n.request 유틸리티를 제공하여 API 호출을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문제 상황: 상품 코드 (product_code)를 기반으로 외부 재고 관리 시스템 API에서 현재 재고량을 조회하여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product_id": "P001", "product_code": "XYZ123", "name": "Laptop" } },
      { "json": { "product_id": "P002", "product_code": "ABC456", "name": "Mouse" } }
    ]
  • Code Node 코드:

    // (Async 함수로 선언해야 await 사용 가능)
    const newItems = [];
    for (const item of items) {
      const productCode = item.json.product_code;
      let stockQuantity = -1; // 기본값
    
      try {
        // n8n.request를 사용하여 외부 API 호출 (비동기)
        const response = await n8n.request({
          method: 'GET',
          url: `https://api.example.com/inventory?code=${productCode}`,
          json: true // 응답을 JSON으로 파싱
        });
        stockQuantity = response.stock; // API 응답에서 재고량 추출
    
      } catch (error) {
        console.error(`Failed to fetch stock for ${productCode}:`, error.message);
        // 오류 발생 시 재고량을 0으로 설정하거나, 다른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stockQuantity = 0;
      }
    
      newItems.push({
        json: {
          ...item.json,
          current_stock: stockQuantity
        }
      });
    }
    
    return newItems;
  • 설명:
    1. Code Node 함수를 async로 선언하여 await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for...of 루프를 사용하여 각 아이템을 개별적으로 처리합니다.
    3. n8n.request 함수를 사용하여 지정된 URL로 GET 요청을 보냅니다. json: true 옵션은 응답을 자동으로 JSON으로 파싱합니다.
    4. try...catch 블록을 사용하여 API 호출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처리하고, 오류 발생 시 기본값을 설정합니다.
    5. 가져온 stockQuantity를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여 반환합니다.

예시 7: 오류 처리 및 커스텀 메시지 ⚠️

데이터에 문제가 있거나 특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명확한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워크플로우를 중단하거나 다음 노드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문제 상황: 주문 데이터에 product_id 또는 quantity 필드가 누락된 경우, 오류를 발생시키고 커스텀 오류 메시지를 다음 노드로 전달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order_item_id": "OI001", "product_id": "P101", "quantity": 5 } },
      { "json": { "order_item_id": "OI002", "quantity": 2 } },
      { "json": { "order_item_id": "OI003", "product_id": "P103" } }
    ]
  • Code Node 코드:

    const processedOrders = [];
    const errors = [];
    
    for (const item of items) {
      const { product_id, quantity } = item.json;
    
      if (!product_id || !quantity) {
        errors.push({
          json: {
            error: `Missing data for order item ${item.json.order_item_id}.`,
            details: `product_id: ${product_id ? 'present' : 'missing'}, quantity: ${quantity ? 'present' : 'missing'}`,
            original_item: item.json
          }
        });
        // 이 아이템은 건너뛰고 다음 아이템으로 넘어갑니다.
        continue;
      }
    
      //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 처리
      processedOrders.push({
        json: {
          ...item.json,
          status: "validated"
        }
      });
    }
    
    if (errors.length > 0) {
      //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메시지를 가진 아이템만 반환
      // 다음 노드에서 이 오류들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return errors;
      // 또는, 아예 워크플로우를 중단하고 싶다면 throw new Error("...");
      // throw new Error("One or more order items had missing data. See logs for details.");
    }
    
    return processedOrders; // 유효한 데이터만 반환
  • 설명:
    1. product_id 또는 quantity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2. 누락된 경우, errors 배열에 커스텀 오류 메시지를 추가하고 해당 아이템은 건너뜁니다.
    3. 모든 아이템 처리 후 errors 배열에 내용이 있으면, 오류 아이템들만 반환하여 다음 노드에서 오류 처리 로직을 실행하도록 합니다. (Split In Batches 노드와 함께 사용하면 유용)
    4. 만약 워크플로우 자체를 중단하고 싶다면 throw new Erro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8: 동적 변수 생성 및 활용 🧬

워크플로우 내에서 필요한 동적인 변수 (예: 고유 ID, 랜덤 값, 계산된 값)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문제 상황: 각 데이터에 고유한 tracking_id를 생성하고, 랜덤한 우선순위 (priority)를 부여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task_name": "Send welcome email" } },
      { "json": { "task_name": "Process user registration" } }
    ]
  • Code Node 코드:

    const tasksWithMetadata = items.map(item => {
      // 고유 ID 생성 (간단한 예시, UUID 라이브러리 사용도 가능)
      const trackingId = `TASK-${Date.now()}-${Math.floor(Math.random() * 10000)}`;
    
      // 랜덤 우선순위 (1~5)
      const priority = Math.floor(Math.random() * 5) + 1;
    
      return {
        json: {
          ...item.json,
          tracking_id: trackingId,
          priority: priority,
          created_at: new Date().toISOString()
        }
      };
    });
    
    return tasksWithMetadata;
  • 설명:
    1. Date.now()Math.random()을 조합하여 간단한 고유 ID를 생성합니다. 실제 사용 시에는 uuid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Math.floor(Math.random() * 5) + 1을 사용하여 1부터 5까지의 랜덤 정수를 생성합니다.
    3. 생성된 동적 변수들을 기존 데이터에 추가하여 반환합니다.

예시 9: 데이터 유효성 검사 🛡️

특정 필드가 유효한 형식인지, 예상 범위 내에 있는지 등을 검사하여 데이터 품질을 높일 때 사용합니다.

  • 문제 상황: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서 이메일 주소의 형식이 유효한지, 나이가 0보다 큰 정수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name": "User A", "email": "userA@test.com", "age": 30 } },
      { "json": { "name": "User B", "email": "invalid-email", "age": 25 } },
      { "json": { "name": "User C", "email": "userC@domain.co.kr", "age": -5 } }
    ]
  • Code Node 코드:

    const validatedUsers = items.map(item => {
      const email = item.json.email;
      const age = item.json.age;
    
      let isValidEmail = false;
      // 간단한 이메일 유효성 검사 (더 복잡한 정규식도 가능)
      if (typeof email === 'string' && email.includes('@') && email.includes('.')) {
        isValidEmail = true;
      }
    
      let isValidAge = false;
      if (typeof age === 'number' && Number.isInteger(age) && age > 0) {
        isValidAge = true;
      }
    
      return {
        json: {
          ...item.json,
          is_email_valid: isValidEmail,
          is_age_valid: isValidAge,
          validation_status: (isValidEmail && isValidAge) ? "Valid" : "Invalid"
        }
      };
    });
    
    return validatedUsers;
  • 설명:
    1. 이메일 유효성을 위해 includes('@')includes('.')를 확인하는 간단한 로직을 사용합니다. (더 정확한 검사는 정규식을 사용해야 함)
    2. 나이가 숫자인지, 정수인지, 양수인지 확인합니다.
    3. 각 유효성 검사 결과를 새로운 필드로 추가하여 반환합니다.

예시 10: 반복문 내 중첩 로직 (Nested Iteration) 🔄

하나의 아이템 내부에 배열 형태의 데이터가 있고, 그 배열의 각 요소를 처리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 문제 상황: 하나의 주문 내부에 여러 개의 상품(line_items)이 배열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상품의 총액을 계산하고, 주문 전체의 총액을 합산하고 싶습니다.
  • 입력 데이터 예시 (items):
    [
      {
        "json": {
          "order_id": "ORD001",
          "customer_id": "CUST001",
          "line_items": [
            { "product_id": "P101", "quantity": 2, "unit_price": 10000 },
            { "product_id": "P102", "quantity": 1, "unit_price": 25000 }
          ]
        }
      },
      {
        "json": {
          "order_id": "ORD002",
          "customer_id": "CUST002",
          "line_items": [
            { "product_id": "P103", "quantity": 3, "unit_price": 5000 }
          ]
        }
      }
    ]
  • Code Node 코드:

    const processedOrders = items.map(item => {
      let totalOrderAmount = 0;
      const processedLineItems = [];
    
      // line_items 배열이 존재하는지 확인
      if (Array.isArray(item.json.line_items)) {
        for (const lineItem of item.json.line_items) {
          const itemTotal = lineItem.quantity * lineItem.unit_price;
          totalOrderAmount += itemTotal;
          processedLineItems.push({
            ...lineItem,
            item_total_amount: itemTotal
          });
        }
      }
    
      return {
        json: {
          ...item.json,
          line_items: processedLineItems, // 각 상품에 총액 정보 추가
          total_order_amount: totalOrderAmount // 주문 전체 총액 추가
        }
      };
    });
    
    return processedOrders;
  • 설명:
    1. 외부 map()은 각 주문 (item)에 접근합니다.
    2. 각 주문 내부의 line_items 배열을 for...of 루프를 사용하여 반복합니다.
    3. lineItemquantityunit_price를 곱하여 itemTotal을 계산합니다.
    4. 계산된 itemTotaltotalOrderAmount에 누적하고, 각 lineItemitem_total_amount를 추가하여 processedLineItems 배열에 저장합니다.
    5. 최종적으로, 원본 주문 데이터에 processedLineItemstotal_order_amount를 추가하여 반환합니다.

챕터 4: Code Node 사용 시 꿀팁 & 주의사항 💡

Code Node는 강력하지만,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팁과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Keep It Simple, Stupid” (KISS) 원칙: KISS 원칙을 기억하세요. 표준 노드로 구현할 수 있다면, 굳이 Code Node를 사용하지 마세요. Code Node는 마지막 수단이자 강력한 확장 도구입니다.

  2. 디버깅은 console.log()로! 🐞: Code Node 내에서 console.log()를 사용하면 n8n 실행 결과의 ‘Outputs’ 탭에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흐름과 변수 값을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3. 입력/출력 데이터 구조 이해 🤝: Code Node는 항상 입력으로 items (배열)를 받고, 출력으로도 [{json: { ... }}] 형태의 배열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 구조를 준수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4. 비동기 작업은 async/awaitn8n.request 활용 ✨: 외부 API 호출과 같은 비동기 작업 시에는 Code Node 함수를 async로 선언하고, await 키워드를 사용하여 비동기 코드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도록 해야 합니다. 외부 라이브러리 fetchaxios 대신 n8n이 제공하는 n8n.request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권장됩니다. 이는 n8n의 자격 증명(credential) 관리를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5. 성능 고려 🚀: 매우 큰 데이터셋을 처리하거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 Code Node는 워크플로우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한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고, 필요하다면 데이터를 여러 배치로 나누어 처리하는 것을 고려하세요.

  6. 에러 핸들링 🛡️: 예상치 못한 상황(예: API 호출 실패, 데이터 누락)에 대비하여 try...catch 블록을 사용하여 에러를 처리하고, 워크플로우가 멈추지 않도록 하거나, 다음 노드로 에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로직을 구현하세요.

  7. 코드 주석 달기 📝: 복잡한 로직일수록 코드에 충분한 주석을 달아 다른 사람이 (또는 미래의 여러분이) 코드를 쉽게 이해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세요.


결론: n8n Code Node로 자동화의 지평을 넓히세요! 🔭

오늘 우리는 n8n Code Node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살펴보았습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 JavaScript의 강력한 논리 처리 능력을 활용하여 복잡한 데이터 변환, 조건부 실행, 외부 시스템 연동, 그리고 오류 처리까지 다양한 시나리오를 자동화할 수 있음을 확인했죠.

Code Node는 n8n 워크플로우에 진정한 커스터마이징과 인텔리전스를 부여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 제시된 10가지 예시를 시작점으로 삼아, 여러분의 비즈니스에 특화된 독창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만들어 보세요.

겁내지 말고 직접 코드를 만져보고, console.log로 데이터를 추적하며 디버깅하는 과정을 즐기세요. 연습만이 여러분을 n8n Code Node의 마스터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n8n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끊임없이 배우고 실험해 보시길 바랍니다. n8n과 Code Node와 함께라면, 자동화의 지평은 무한히 넓어질 것입니다! 행복한 자동화 생활 되세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