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안녕하세요, 자동화와 데이터 통합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n8n은 워크플로우를 시각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돕는 강력한 도구이며, 그 심장부에는 바로 HTTP Node가 있습니다. 이 노드는 n8n이 외부 서비스, API, 그리고 인터넷상의 수많은 데이터와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마법 같은 존재죠.
이 가이드에서는 n8n HTTP Node의 모든 것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설정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인증 방식, 응답 처리, 그리고 실용적인 활용 예시까지, 여러분이 HTTP Node의 진정한 마스터가 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이제 함께 n8n의 무한한 가능성을 탐험해 볼까요? 💡
1. HTTP Node란 무엇인가요? 🌍
상상해보세요. n8n 워크플로우가 정보를 요청하거나 어딘가로 정보를 보내야 할 때, 누가 그 역할을 할까요? 바로 HTTP Node입니다! 📨
HTTP Node는 웹 상의 다른 서비스와 통신하기 위한 “메신저” 역할을 합니다. 즉, 특정 URL로 웹 요청(HTTP request)을 보내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HTTP response)을 받아오는 기능을 수행하죠. 여러분이 웹 브라우저에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모바일 앱이 서버와 통신하는 방식과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주요 역할:
- 데이터 가져오기 (Fetching Data): 외부 API로부터 날씨 정보, 주식 시세, 고객 데이터 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 데이터 전송하기 (Sending Data): 특정 데이터를 웹훅(Webhook)으로 보내거나, CRM 시스템에 새로운 고객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데이터 업데이트/삭제 (Updating/Deleting Data):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
- 외부 서비스 연동 (Integrating Services): Slack, GitHub, Google Sheets 등 다양한 외부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이처럼 HTTP Node는 n8n 워크플로우의 ‘눈과 귀, 그리고 입’이 되어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2. HTTP Node 추가 및 기본 설정 🛠️
워크플로우에 HTTP Node를 추가하고 가장 기본적인 설정을 해봅시다.
- 노드 추가: n8n 워크플로우 편집기에서 ‘+’ 버튼을 클릭하거나, 빈 공간을 더블 클릭한 후 ‘HTTP Request’를 검색하여 노드를 추가합니다. ➕
-
기본 설정: HTTP Node를 클릭하면 우측 패널에 다양한 설정 옵션이 나타납니다.
-
URL (필수) 🌐:
- 어떤 웹 주소로 요청을 보낼지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https://api.weatherapi.com/v1/current.json
같은 API 엔드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 정적인 URL을 입력할 수도 있고, 앞선 노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적으로 URL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예:
https://api.example.com/users/{{ $json.userId }}
) - 💡 팁: URL에 쿼리 파라미터(예:
?city=Seoul&unit=metric
)를 직접 포함할 수도 있지만, 아래 설명할 ‘Query Parameters’ 섹션을 사용하는 것이 더 깔끔하고 가독성이 좋습니다.
- 어떤 웹 주소로 요청을 보낼지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
Method (필수) 🔄:
- 어떤 종류의 HTTP 요청을 보낼지 결정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몇 가지를 알아봅시다.
- GET 📥: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 주로 웹 페이지를 조회하거나, API로부터 특정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예: 날씨 정보 조회)
- POST 📤: 서버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제출’할 때 사용합니다. 로그인 정보 제출, 새 게시글 작성 등에 사용됩니다. (예: Slack 메시지 보내기)
- PUT 📝: 서버의 기존 데이터를 ‘완전히 교체’하거나, 없다면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특정 리소스의 전체를 업데이트할 때 쓰입니다. (예: 사용자 프로필 전체 업데이트)
- PATCH ✏️: 서버의 기존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특정 리소스의 일부 속성만 변경할 때 유용합니다. (예: 사용자 이름만 변경)
- DELETE 🗑️: 서버의 특정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예: 게시글 삭제)
- HEAD 🔍: GET 요청과 유사하지만, 응답 본문 없이 응답 헤더만 받아올 때 사용합니다. 리소스 존재 여부 확인 등에 쓰입니다.
- OPTIONS ⚙️: 대상 리소스가 지원하는 통신 옵션을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CORS(교차 출원 리소스 공유) 요청 시 주로 사용됩니다.
- 어떤 종류의 HTTP 요청을 보낼지 결정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몇 가지를 알아봅시다.
-
Execute Once (옵션) ➡️:
-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노드가 들어오는 모든 아이템에 대해 개별적으로 요청을 보내는 대신, 첫 번째 아이템의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단 한 번만 요청을 보냅니다.
- 워크플로우가 여러 아이템을 처리할 때, 특정 API 요청이 한 번만 실행되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아이템을 처리한 후 최종 결과 요약 보고서를 한 번만 보내는 경우 등입니다.
-
3. 핵심 기능 파고들기: 요청 구성 ⚙️
이제 요청을 좀 더 섬세하게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3.1 Headers (헤더) 🏷️
-
용도: 요청이나 응답에 대한 메타데이터(부가 정보)를 전달합니다. 인증 정보, 콘텐츠 타입, 사용자 에이전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설정: ‘Add Option’ → ‘Headers’를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
자주 사용되는 헤더:
Content-Type
: 요청 본문의 데이터 형식을 명시합니다.application/json
: JSON 형식의 데이터를 보낼 때. (가장 흔함)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HTML 폼 데이터를 보낼 때.multipart/form-data
: 파일과 함께 폼 데이터를 보낼 때.
Authorization
: 인증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합니다. (예:Bearer YOUR_TOKEN
)User-Agent
: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앱 등)의 정보를 서버에 알릴 때.
-
예시: API 키를 헤더에 넣어 인증하는 경우
Key: X-API-Key Value: your_secret_api_key_12345
-
예시: JSON 데이터를 보낸다고 서버에 알리는 경우
Key: Content-Type Value: application/json
3.2 Query Parameters (쿼리 파라미터) ❓
- 용도: 주로 GET 요청 시 URL에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서버에서 데이터를 필터링하거나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URL 뒤에
?
로 시작하여key=value
형태로 붙고, 여러 개일 경우&
로 연결됩니다. - 설정: ‘Add Option’ → ‘Query Parameters’를 클릭하여 추가합니다.
-
예시: 특정 도시의 날씨 정보를 요청하고, 결과 수를 제한하는 경우
- URL:
https://api.weatherapi.com/v1/current.json
-
Query Parameters:
Parameter: q Value: Seoul Parameter: aqi Value: no
- ➡️ 실제 요청 URL:
https://api.weatherapi.com/v1/current.json?q=Seoul&aqi=no
- URL:
3.3 Body (본문) 📦
-
용도: POST, PUT, PATCH 요청과 같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실제 전송할 데이터가 담기는 부분입니다.
-
설정: ‘Add Option’ → ‘Body’를 클릭하여 설정합니다. ‘Body Content Type’을 선택해야 합니다.
-
Body Content Type 종류:
-
JSON (application/json) 📄:
-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구조화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이상적입니다.
- JavaScript 객체와 유사한
{ "key": "value", "array": [1, 2, 3] }
형태입니다. - 예시: 새로운 사용자 생성 요청
{ "name": "Jane Doe", "email": "jane.doe@example.com", "age": 30 }
이 JSON 객체를
Body Parameters
섹션에 직접 입력하거나, ‘JSON Parameters’ 필드에 JavaScript 객체 형태로 입력합니다.(예: {"name": "Jane Doe", "email": "jane.doe@example.com"})
-
Form-Data (multipart/form-data) 🖼️:
- 파일 업로드 시 주로 사용됩니다. 일반 텍스트 데이터와 파일을 함께 보낼 수 있습니다.
- n8n에서는 ‘Binary Data’와 일반 ‘Field’를 함께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이미지 파일과 함께 게시글 내용을 전송하는 경우
Field Type: File Field Name: image File Name: my_photo.jpg (또는 이전에 File 노드 등으로 생성된 이진 데이터 변수) Field Type: Text Field Name: title Value: My Awesome Post Field Type: Text Field Name: description Value: This is a great photo!
-
Form-URL-Encoded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 HTML
` 태그의 기본 전송 방식과 유사합니다.
key1=value1&key2=value2` 형태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보냅니다. - 텍스트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지만, JSON에 비해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
예시: 전통적인 웹 폼 제출
Parameter: username Value: john_doe Parameter: password Value: secure_pass
- HTML
-
Raw (Text, HTML, XML 등) 📝:
- 정의된 형식 없이 순수한 텍스트, HTML, XML 등 특정 포맷의 데이터를 그대로 보낼 때 사용합니다.
- 예시: 특정 XML 기반 API에 요청을 보내는 경우
-
Automation Master
```
* **Binary Data (application/octet-stream) 💾:**
* 순수한 바이너리 파일(이미지, 동영상 등) 자체를 본문으로 보낼 때 사용합니다. `Form-Data`와 달리 필드 이름 없이 파일 자체만 보냅니다.
* n8n의 앞선 노드에서 생성된 이진 데이터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인증 및 보안 🔐
대부분의 실제 API는 무단 접근을 막기 위해 인증을 요구합니다. HTTP Node는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합니다.
-
Authentication (인증 방식): ‘Add Option’ → ‘Authentication’을 클릭하여 설정합니다.
-
None (인증 없음) 🆓:
- 인증이 필요 없는 공개 API에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 예시: OpenWeatherMap의 일부 공용 엔드포인트
-
Basic Auth (기본 인증) 🔑:
- 가장 간단한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HTTP 헤더에 Base64로 인코딩하여 보냅니다.
- 설정: ‘Basic Auth’ 선택 후 ‘Username’과 ‘Password’ 입력.
- 주의: Base64 인코딩은 암호화가 아니므로, 중요한 정보는 SSL/TLS(HTTPS)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Header Auth (헤더 인증) 🛡️:
- HTTP 헤더에 인증 토큰이나 API 키를 직접 넣어 보내는 방식입니다.
Bearer Token
방식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설정: ‘Header Auth’ 선택 후 ‘Header Name’과 ‘Header Value’ 입력.
- 예시 (Bearer Token):
Header Name: Authorization Header Value: Bearer your_access_token_xyz123
- 예시 (API Key): (위에서 헤더로 설명했던 X-API-Key 방식도 여기에 해당)
Header Name: X-Api-Key Header Value: your_secret_api_key
- HTTP 헤더에 인증 토큰이나 API 키를 직접 넣어 보내는 방식입니다.
-
OAuth2 (오스 2.0) ✨:
- 복잡하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인증 프레임워크입니다. Google, Facebook, Slack 등 많은 서비스가 OAuth2를 사용합니다.
- n8n에서는 보통 ‘Credentials’ 섹션에 미리 OAuth2 앱을 등록해두고, HTTP Node에서 해당 Credentials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 설정: ‘OAuth2 API’ 선택 후 저장된 Credentials를 드롭다운에서 선택.
- 💡 팁: OAuth2는 토큰 갱신(Token Refresh) 등 복잡한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해주므로, 장기간의 안정적인 연동에 매우 유리합니다.
-
NTLM (엔티엘엠) 💻:
- 주로 Microsoft Windows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인증 프로토콜입니다.
- 기업 내부 시스템 연동 시 필요할 수 있습니다.
-
Digest (다이제스트) 🍕:
- Basic Auth보다 보안이 강화된 HTTP 인증 방식입니다.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합니다.
-
AWS Signature v4 (아마존 웹 서비스 시그니처 v4) ☁️:
- Amazon Web Services(AWS)의 API Gateway 등에서 사용되는 인증 방식입니다. AWS 계정의 접근 키를 사용하여 요청을 서명합니다.
-
5. 응답 처리 및 디버깅 🐞
요청을 보냈으니, 이제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이해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디버깅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5.1 응답 데이터 이해하기 📊
HTTP Node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Output’ 섹션에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데이터가 표시됩니다.
-
Status Code (상태 코드):
- 요청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와 그 원인을 숫자로 알려줍니다.
- 2xx (Success):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예:
200 OK
,201 Created
) - 3xx (Redirection):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리다이렉션)이 필요합니다. (예:
301 Moved Permanently
) - 4xx (Client Error): 클라이언트(n8n) 측의 요청에 오류가 있습니다. (예:
400 Bad Request
,401 Unauthorized
,403 Forbidden
,404 Not Found
) - 5xx (Server Error): 서버 측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도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예:
500 Internal Server Error
)
- 2xx (Success):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예:
- n8n의 HTTP Node 결과에서
statusCode
필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요청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와 그 원인을 숫자로 알려줍니다.
-
JSON Data:
- 대부분의 API는 응답 본문을 JSON 형식으로 전달합니다.
- n8n은 이 JSON 데이터를 자동으로 파싱하여 다음 노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json
객체 형태로 제공합니다. (예:{{ $json.data[0].name }}
)
-
Headers:
- 응답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담겨 있습니다.
Content-Type
,Date
,Server
등.
- 응답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담겨 있습니다.
-
Binary Data:
- 이미지, 파일 등을 요청했을 경우, 응답이 이진 데이터로 반환될 수 있습니다. n8n은 이를
binary
객체로 처리합니다.
- 이미지, 파일 등을 요청했을 경우, 응답이 이진 데이터로 반환될 수 있습니다. n8n은 이를
5.2 디버깅 팁 🐛
- Response Data 확인: 노드를 실행한 후, HTTP Node의 ‘Output’ 탭을 자세히 살펴보세요.
data
,headers
,statusCode
등의 필드를 통해 어떤 응답을 받았는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Error Output 확인: 만약 요청이 실패했다면, n8n의 ‘Execution Log’나 HTTP Node의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세요. 어떤 오류가 발생했는지 (예: 401 Unauthorized, 500 Internal Server Error) 단서를 제공합니다.
- ‘Always Output Data’ 옵션:
- 이 옵션을 활성화하면, HTTP 요청이 실패하더라도 에러 메시지와 함께 노드의 출력을 다음 노드로 전달합니다.
- 용도: 에러 발생 시에도 워크플로우를 중단하지 않고, 에러를 로깅하거나 알림을 보내는 등의 후속 작업을 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Continue On Fail’ 옵션 (Retry Options 내):
- 요청이 실패하더라도 워크플로우를 계속 진행할 수 있게 합니다. 에러 발생 시 특정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고 건너뛰거나, 별도의 에러 처리 로직을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Always Output Data
와 유사하지만,Continue On Fail
은 주로 재시도 관련 설정과 함께 사용되어 실패 시 다음 단계로 넘어갈지 결정하는 데 더 중점을 둡니다.
6. 고급 기능 활용 🚀
HTTP Node는 단순한 요청 외에도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워크플로우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높여줍니다.
6.1 Options (옵션) 🔧
- Timeout (타임아웃):
- 요청에 대한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 시간을 밀리초(ms)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시간 내에 응답이 없으면 요청은 실패 처리됩니다.
- 용도: 응답이 지연되는 API 호출로 인해 워크플로우가 무한정 멈춰있는 것을 방지합니다. (예:
30000
= 30초)
- Follow Redirects (리다이렉트 따라가기):
- 요청된 URL이 다른 URL로 리다이렉트될 경우, 자동으로 해당 새로운 URL로 다시 요청을 보낼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음)
- Proxy (프록시):
- 특정 프록시 서버를 통해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용도: 기업 방화벽을 우회하거나, 특정 IP 주소에서 요청을 보내야 할 때 사용합니다.
- SSL/TLS Options (SSL/TLS 옵션):
- Ignore SSL Issues (SSL/TLS 문제 무시):
- 개발 환경이나 자체 서명된(Self-signed) SSL 인증서를 사용하는 서버와 통신할 때 유용합니다.
- 🚨 경고: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보안상 매우 위험하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항상 유효한 SSL 인증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CA Certificate, Client Certificate, Client Key: 특정 보안 요건을 갖춘 API와 통신할 때 클라이언트 인증서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Ignore SSL Issues (SSL/TLS 문제 무시):
- Query String (raw) / Body (raw):
- 일반적인 파라미터 입력 방식 대신, 쿼리 문자열이나 본문을 직접 Raw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특정 포맷을 엄격하게 지켜야 할 때 유용합니다.
6.2 Retry on Fail (실패 시 재시도) 🔄
- API 서버가 일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네트워크 오류로 인해 요청이 실패할 경우, 자동으로 다시 요청을 시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워크플로우의 견고성(Robustness)을 높여줍니다.
- Max Retries (최대 재시도 횟수): 몇 번까지 재시도할지 설정합니다.
- Retry Interval (재시도 간격): 재시도하기 전에 얼마나 기다릴지 밀리초(ms) 단위로 설정합니다.
- Exponential Backoff (지수 백오프): 재시도 간격을 점진적으로 늘려 서버에 부담을 덜 줍니다. (예: 1초, 2초, 4초, 8초…)
- Continue On Fail (실패 시 계속 진행): 모든 재시도 후에도 요청이 실패할 경우, 워크플로우를 중단하지 않고 다음 노드로 에러 정보를 넘겨 계속 진행합니다.
6.3 Binary Data Options (이진 데이터 옵션) 🖼️
- Response Format (응답 형식):
- API 응답으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 이진 데이터를 받을 경우, ‘Binary’를 선택합니다.
- 이렇게 설정하면 n8n이 응답 본문을 이진 데이터로 처리하여 다음 노드(예: Write Binary File 노드)에서 파일로 저장하거나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 Send Binary Data (이진 데이터 전송):
- HTTP 요청의 본문으로 이진 데이터를 보낼 때 활성화합니다.
- 용도: 파일 업로드 API를 호출할 때, 앞선 노드에서 생성된 이진 데이터를 이 HTTP Node의 본문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7. 실전 활용 예시 🌟
이제 몇 가지 실용적인 예시를 통해 HTTP Node의 활용법을 익혀봅시다.
7.1 예시 1: 날씨 정보 가져오기 (GET 요청) ☀️
무료 날씨 API(예: WeatherAPI.com)를 사용하여 특정 도시의 현재 날씨 정보를 가져오는 워크플로우입니다.
- 목표: 서울의 현재 기온 가져오기.
- 워크플로우:
Start
→HTTP Request
→Set
(선택적)
-
HTTP Request Node 설정:
- Method:
GET
- URL:
https://api.weatherapi.com/v1/current.json
- Authentication:
None
(또는 API Key를 사용하는 경우Header Auth
또는Query Parameters
에 API Key 설정) - Query Parameters: (Add Parameter 클릭)
Parameter
:key
(API 키)Value
:YOUR_WEATHERAPI_KEY
(본인의 API 키로 대체)Parameter
:q
(도시 이름)Value
:Seoul
Parameter
:aqi
(대기질 지수 포함 여부)Value
:no
- Method:
-
실행 후 Output 확인:
- 노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유사한 JSON 응답을 볼 수 있습니다.
{ "location": { "name": "Seoul", "region": "Seoul", "country": "South Korea", // ... }, "current": { "last_updated": "2023-10-27 10:30", "temp_c": 15.0, "temp_f": 59.0, "condition": { "text": "Partly cloudy", "icon": "//cdn.weatherapi.com/weather/64x64/day/116.png", "code": 1003 }, // ... } }
- 다음 노드에서
{{ $json.current.temp_c }}
와 같이 기온 값을 가져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노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유사한 JSON 응답을 볼 수 있습니다.
7.2 예시 2: Slack 메시지 보내기 (POST 요청) 💬
Slack Incoming Webhook을 사용하여 특정 채널로 메시지를 보내는 워크플로우입니다.
- 목표: n8n 워크플로우에서 Slack으로 알림 메시지 보내기.
- 워크플로우:
Start
→HTTP Request
-
Slack Webhook URL 준비: Slack 앱에서 Incoming Webhook을 생성하여 URL을 복사해 둡니다. (예:
https://hooks.slack.com/services/T00000000/B00000000/XXXXXXXXXXXXXXXXXXXXXXXX
) -
HTTP Request Node 설정:
- Method:
POST
- URL: Slack Webhook URL 붙여넣기
- Authentication:
None
- Body Content Type:
JSON
- Body Parameters (JSON Parameters에 직접 입력 또는 Add Parameter 클릭):
{ "text": "안녕하세요! n8n 워크플로우에서 보낸 메시지입니다. 🎉", "blocks": [ { "type": "section", "text": { "type": "mrkdwn", "text": "안녕하세요! *n8n 워크플로우*에서 보낸 메시지입니다. 🎉" } }, { "type": "divider" }, { "type": "section", "text": { "type": "mrkdwn", "text": "현재 시간: " }, "accessory": { "type": "datepicker", "initial_date": "{{ new Date().toISOString().split('T')[0] }}", "placeholder": "날짜 선택" } } ] }
{{ new Date().toISOString().split('T')[0] }}
는 현재 날짜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표현식입니다.
- Method:
-
실행 후 확인:
-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면 설정된 Slack 채널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3 예시 3: 데이터 업데이트 (PUT/PATCH 요청) ✏️
가상의 고객 관리 시스템(CRM) API를 통해 특정 고객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워크플로우입니다.
- 목표: ID가 ‘123’인 고객의 이메일 주소 변경.
- 워크플로우:
Start
→HTTP Request
-
HTTP Request Node 설정:
- Method:
PATCH
(부분 업데이트이므로) - URL:
https://api.yourcrm.com/v1/customers/123
(가상의 URL) - Authentication:
Header Auth
(또는 해당 API가 요구하는 인증 방식)Header Name
:Authorization
Header Value
:Bearer YOUR_CRM_API_TOKEN
- Body Content Type:
JSON
- Body Parameters:
{ "email": "new.email@example.com" }
- Method:
-
실행 후 확인:
- 워크플로우를 실행하면 CRM 시스템에서 해당 고객의 이메일 주소가 업데이트됩니다. 응답으로 업데이트된 고객 정보가 반환될 수 있습니다.
결론 🎉
n8n의 HTTP Node는 자동화 워크플로우의 핵심이자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도구입니다. 단순히 웹 요청을 보내는 것을 넘어, 다양한 인증 방식, 데이터 형식, 고급 옵션을 통해 거의 모든 웹 기반 서비스와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워크플로우를 더욱 강력하고 유연하게 만들어 보세요. 직접 다양한 API를 호출해보고, 응답을 분석하며, 시행착오를 겪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학습 방법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n8n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탐험을 멈추지 마시길 바랍니다!
자동화의 여정에서 HTTP Node는 여러분의 가장 강력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 Happy Autom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