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8월 14th, 2025

D: 🚀 n8n의 HTTP Node는 워크플로우에서 외부 API와 통신할 때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본 설정부터 고급 활용법까지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HTTP Node란?

🔌 외부 서비스와 연결하는 ‘디지털 연결고리’

  • REST API 호출 (GET/POST/PUT/DELETE)
  • 웹훅(Webhook) 수신/발신
  • JSON/XML 데이터 처리
  • 인증(Authentication) 설정 가능

> 💡 예시: 날씨 API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슬랙에 메시지 보내기, 구글 시트에 데이터 저장 등

2. 기본 설정 따라하기

📍 Step 1: 노드 추가

  1. n8n 편집기에서 [+] 버튼 클릭
  2. “HTTP Request” 노드 검색 후 추가

📍 Step 2: 필수 옵션 설정

{
  "url": "https://api.example.com/data",
  "method": "GET",
  "headers":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

🛠️ 주요 파라미터:

  • URL: 요청을 보낼 주소
  • Method: HTTP 메소드 선택
  • Headers: 필요한 헤더 추가

3. 고급 기능 활용법

🔐 인증 설정 유형

  • Basic Auth: 사용자명/비밀번호 입력
    "authentication": {
    "type": "basicAuth",
    "user": "username",
    "password": "mypassword"
    }
  • OAuth2: 토큰 자동 갱신 가능
  • API Key: 헤더나 쿼리에 키 추가

🔄 동적 URL 생성

// 표현식(Expression) 사용 예제
{{ $node["Webhook"].json["query"] }}/data?date={{ $json["today"] }}

4. 실전 예제 3가지

📌 예제 1: 공공데이터 API 연동

{
  "url": "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getVilageFcst",
  "method": "GET",
  "query": {
    "serviceKey": "your_api_key",
    "pageNo": "1",
    "numOfRows": "10"
  }
}

📌 예제 2: 슬랙 메시지 전송

{
  "url": "https://slack.com/api/chat.postMessage",
  "method": "POST",
  "headers": {
    "Authorization": "Bearer xoxb-your-token"
  },
  "body": {
    "channel": "#general",
    "text": "{{ $node["Trigger"].json["message"] }}"
  }
}

📌 예제 3: 웹훅 응답 처리

// 웹훅 수신 후 HTTP 응답
return {
  statusCode: 200,
  body: {
    result: "success",
    data: $input.all()
  }
};

5. 트러블슈팅 팁

⚠️ 자주 발생하는 오류 & 해결법

  • 401 Unauthorized: 인증 정보 재확인
  • 404 Not Found: URL 경로 점검
  • 429 Too Many Requests: 요청 제한 초과 시 Delay Node 추가
  • Parsing Error: Response Format을 JSON/XML/Raw 중 선택

🔍 디버깅 도구

  • Request/Response 탭에서 RAW 데이터 확인
  • Run Data로 각 단계 데이터 흐름 분석

6. 성능 최적화 방법

프로처럼 쓰는 TIP

  1. 배치 처리: 여러 요청을 하나의 배열로 처리
    // items 배열을 순회하며 처리
    return items.map(item => ({
     url: `https://api.example.com/${item.id}`,
     method: "GET"
    }));
  2. 캐싱 적용: 동일 요청 반복 시 Cache Node 활용
  3. 에러 핸들링: Error Trigger로 예외 상황 대처

🌈 마무리 n8n의 HTTP Node는 단순한 API 호출을 넘어 무한한 자동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이 가이드로 기본기를 튼튼히 하신 후, 다양한 서비스와의 연동을 시도해보세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