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터빈 노즐 및 버킷 형상에 대한 공력학적 및 열적 설계 심층 연구 제 1부: 가스터빈 에너지 변환의 기초 원리 1.1. 열역학적 프레임워크로서의 브레이튼 사이클 가스터빈 엔진의 작동을 이해하기 위한 근본적인 출발점은 열역학적 사이클에 대한 분석이다. 현대의 가스터빈은 이상적인 공기 표준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 사이클은 네 가지의 이상적인 내적 가역 과정으로 구성되며, 이는 가스터빈의 주요 구성요소인 압축기, 연소기, 터빈에서의 에너지 변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을 제공한다. 네 가지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등엔트로피 압축 (Isentropic Compression, 1→2): 외부 공기가 압축기로 유입되어 단열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일(W{in})이 투입되어 공기의 압력과 온도가 상승한다. 등압 가열 (Isobaric Heat Addition, 2→3): 압축된 고온·고압의 공기는 연소기로 이동하여 연료와 혼합되고 연소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열(Q{in})이 정압 상태로 공급되어 작동 유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등엔트로피 팽창 (Isentropic Expansion, 3→4): 연소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가스는 터빈을 통과하며 단열 팽창한다. 이 과정에서 가스는 일을(W{out}) 하며 압력과 온도가 감소한다. 터빈에서 생성된 일의 일부는 압축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는 외부 부하(예: 발전기)를 구동하는 유효일이 된다. 등압 방열 (Isobaric Heat Rejection, 4→1):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며, 이 과정에서 잔류 열(Q{out})이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온도-엔트로피(T-s) 선도와 압력-체적(P-v) 선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사이클의 열효율(\eta_{th})은 투입된 열에너지 대비 순수하게 얻어진 일의 비율로 정의된다. 이상적인 브레이튼 사이클의 열효율은 주로 압력비(r_p = P_2/P1)와 비열비(k)의 함수로 표현되며, 압력비와 터빈 입구 온도(Turbine Inlet Temperature, TIT)가 높을수록 열효율과 비출력(specific power)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브레이튼 사이클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들은 가스터빈 전체 시스템의 성능 목표를 설정한다. 특히 압력비와 터빈 입구 온도는 터빈 섹션에서 추출해야 할 총 엔탈피 강하량(\Delta h{total})을 결정짓는 핵심 입력 변수이다. 따라서 터빈의 노즐과 버킷의 복잡한 형상은 단순히 임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이클 수준에서 요구되는 에너지 변환 목표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된 공학적 해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수준의 열역학적 요구사항이 어떻게 부품 수준의 기하학적 형상 설계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명확한 인과관계를 형성하며, 본 보고서의 전체적인 논리 구조를 뒷받침한다. 1.2. 터빈 단(Stage): 노즐과 버킷의 공생 관계 가스터빈의 터빈 섹션은 한 개 이상의 단(stage)으로 구성되며, 각 단은 고정된 노즐(nozzle) 또는 스테이터 베인(stator vane)과 회전하는 버킷(bucket) 또는 로터 블레이드(rotor blad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두 요소는 순차적으로 작동하며 고온·고압 가스의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2.1. 노즐 (스테이터) 노즐의 주된 기능은 연소기에서 유입된 고온·고압 가스의 열에너지와 압력에너지(엔탈피)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노즐 통로는 유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수축형 덕트(convergent duct) 형상을 가지며, 이로 인해 가스는 가속된다. 이 과정에서 가스의 정압(static pressure)과 온도는 감소하고 속도는 증가한다. 그러나 노즐의 역할은 단순한 가속에 그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기능은 가속된 가스를 후단의 회전하는 버킷에 최적의 입사각(incidence angle)으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노즐은 가스 흐름에 특정한 각도, 즉 “스월(swirl)” 또는 선회 속도(tangential velocity)를 부여하여 버킷이 최대의 효율로 에너지를 추출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유동 방향을 제어한다. 1.2.2. 버킷 (로터) 노즐을 통과한 고속의 가스는 회전하는 버킷으로 유입된다. 버킷은 유체의 흐름으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여 유용한 일로 변환하는 회전 기계장치이다. 버킷의 에어포일 형상은 고속의 가스 흐름을 받아 그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뉴턴의 제3법칙에 따라, 유체의 운동량(momentum)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버킷은 반작용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 힘이 로터에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주축을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가스의 절대 속도, 특히 접선 방향 속도(tangential velocity)가 크게 감소하며, 이 운동에너지의 감소분이 바로 기계적인 일로 변환되는 것이다. 터빈에서 발생한 축 동력의 상당 부분은 압축기를 구동하는 데 재사용되며, 잉여 동력이 발전기나 항공기의 팬을 구동하는 유효 출력이 된다. 이처럼 노즐은 압력을 속도로 변환하고, 버킷은 그 속도를 일로 변환하는 명확한 기능적 분담을 통해 터빈 단의 에너지 변환이 이루어진다. 1.3. 오일러 터빈 방정식과 속도 삼각형 터빈 단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변환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도구는 오일러 터빈 방정식(Euler Turbine Equation)과 속도 삼각형(velocity triangles)이다. 오일러 터빈 방정식은 터보기계의 기본 법칙으로, 터빈이 유체로부터 추출한 단위 질량당 일(W)이 로터 입구와 출구에서의 블레이드 선속도(U)와 절대 속도의 접선 방향 성분(선회 속도, V_w)의 변화량에 의해 결정됨을 수학적으로 기술한다.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W = U1 V{w1} – U2 V{w2} 여기서 아래첨자 1과 2는 각각 로터 입구와 출구를 의미한다. 축류 터빈(axial turbine)에서는 일반적으로 평균 반경에서의 블레이드 선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므로(U_1 = U2 = U),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단순화될 수 있다: W = U (V{w1} – V_{w2}) = U \Delta V_w 이 방정식은 터빈에서의 일 추출이 전적으로 로터를 통과하는 유체의 각운동량 변화, 즉 선회 속도의 변화(\Delta V_w)에 의해 이루어짐을 명확히 보여준다. 따라서 터빈 블레이드의 형상 설계는 이 \Delta V_w를 최대화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최적화된다. 속도 삼각형은 이러한 유동의 운동학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터빈 단의 입구와 출구 각각에 대해 그려지는 속도 삼각형은 다음 세 가지 속도 벡터로 구성된다 : 절대 속도 (Absolute Velocity, V): 고정된 관찰자 기준에서 본 유체의 속도. 상대 속도 (Relative Velocity, V_r):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함께 움직이는 관찰자 기준에서 본 유체의 속도. 블레이드 선속도 (Blade Linear Velocity, U): 터빈의 회전으로 인한 블레이드 자체의 접선 방향 속도. 이 세 벡터는 V = V_r + U 라는 벡터 관계를 형성한다. 속도 삼각형에서는 유동 각도 또한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진다. 절대 유동각(\alpha)은 절대 속도 V가 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이며, 주로 노즐 출구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상대 유동각(\beta)은 상대 속도 V_r이 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이며, 블레이드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터빈 설계자는 노즐 출구 각도(\alpha_1)와 블레이드 입/출구 각도(\beta_1, \beta_2)를 조절함으로써 속도 삼각형의 형태를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로터 입구에서의 유동 충격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양의 선회 속도 변화(\Delta V_w)를 달성하여 필요한 동력을 효율적으로 추출한다. 결국, 터빈 블레이드의 정교한 3차원 형상은 각 반경 위치에서 이러한 속도 삼각형 관계를 최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공학적 설계의 결과물이다. 제 2부: 에어포일 프로파일의 공력 설계 2.1. 기본 구성 요소로서의 에어포일 터빈 블레이드와 노즐 베인의 3차원 형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2차원 단면 형상인 에어포일(airfoil)이다. 에어포일의 공력학적 성능이 전체 터빈의 효율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므로, 그 형상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수적이다. 에어포일의 기하학적 형상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용어들로 정의된다 : 시위선 (Chord Line): 에어포일의 앞전(Leading Edge, LE)과 뒷전(Trailing Edge, TE)을 연결하는 직선. 캠버선 (Camber Line): 에어포일의 윗면(suction surface)과 아랫면(pressure surface)의 중간 지점들을 연결한 곡선. 이 곡선의 만곡 정도가 에어포일의 캠버를 나타낸다. 두께 (Thickness): 캠버선에 수직으로 측정한 윗면과 아랫면 사이의 거리. 에어포일의 두께 분포는 구조적 강도와 공력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앞전 (Leading Edge, LE): 유동이 가장 먼저 닿는 부분으로, 최대 곡률을 갖는 지점. 뒷전 (Trailing Edge, TE): 에어포일의 가장 뒷부분으로, 윗면과 아랫면이 만나는 지점. 이러한 기하학적 특징들은 유체가 에어포일 주위를 흐를 때 압력 분포를 형성하고, 이 압력 차이로 인해 양력(lift)과 항력(drag)이 발생한다. 터빈 블레이드의 경우, 이 양력의 접선 방향 성분이 로터를 회전시키는 유효한 힘으로 작용한다. 2.2. 주요 기하학적 설계 변수와 그 영향 에어포일의 성능은 캠버, 스태거 각도, 솔리디티 등 몇 가지 핵심적인 설계 변수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 변수들은 개별적으로 최적화될 수 없으며, 주어진 작동 조건 하에서 최상의 성능을 내기 위해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2.2.1. 캠버 (Camber) 캠버는 에어포일 캠버선의 곡률을 의미하며, 에어포일이 유동을 얼마나 많이 편향시킬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터빈 블레이드에서 캠버가 클수록 유동의 편향각(turning angle)이 커져 단위 단(stage)당 더 많은 일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오일러 터빈 방정식에서 더 큰 \Delta V_w를 의미하며, 더 높은 부하(loading)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캠버 증가는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캠버가 커지면 에어포일의 윗면(suction surface)에서 유동이 가속된 후 다시 감속되는 구간, 즉 역압력 구배(adverse pressure gradient)가 강해진다. 이 역압력 구배가 지나치게 강하면 경계층(boundary layer)이 표면에서 박리(separation)될 위험이 커진다. 유동 박리는 심각한 공력 손실을 유발하고 터빈 효율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캠버 설계는 높은 부하와 낮은 손실 사이의 정교한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다. 특히 설계점(design point)을 벗어난 탈설계(off-design) 조건에서는 받음각 변화로 인해 박리 위험이 더욱 커지므로, 넓은 작동 범위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캠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2.2. 스태거 각도 (Stagger Angle, \gamma) 스태거 각도는 에어포일의 시위선이 터빈의 축 방향(axial direction)과 이루는 각도로, 블레이드가 캐스케이드(cascade) 내에 어떤 각도로 설치되는지를 결정한다. 스태거 각도의 주된 역할은 블레이드로 유입되는 상대 유동에 대해 적절한 받음각(angle of attack)을 형성하는 것이다. 받음각은 유입되는 상대 유동 방향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도로, 에어포일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태거 각도를 적절히 설정하여 받음각을 최적화하면, 앞전에서의 유동 박리를 최소화하고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가스터빈이 시동, 부하 변경 등 탈설계 조건에서 운전될 때는 압축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입 유동각이 변하게 된다. 일부 고성능 가스터빈 압축기에서는 가변 스테이터 베인(Variable Stator Vane, VSV)을 사용하여 스태거 각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넓은 운전 영역에서 안정성과 효율을 확보한다. 터빈에서도 스태거 각도 조정은 탈설계 운전 시 효율 저하를 막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2.3. 솔리디티 (Solidity, Pitch-to-Chord Ratio) 솔리디티(\sigma)는 블레이드의 시위 길이(c)를 블레이드 간의 간격(pitch, s)으로 나눈 값(\sigma = c/s)으로, 블레이드가 얼마나 촘촘하게 배열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이다. 이는 피치-코드비(pitch-to-chord ratio, s/c)의 역수와 같다. 솔리디티는 인접한 블레이드 사이의 유로(flow passage) 형상을 결정하며, 유동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솔리디티가 높으면(블레이드가 촘촘하면) 유동에 대한 구속력이 강해져 원하는 유동 편향각을 쉽게 얻을 수 있고, 높은 부하를 달성하기에 유리하다. 하지만 블레이드 표면적이 넓어져 마찰 손실(friction loss)이 증가하고, 엔진의 무게와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솔리디티가 낮으면(블레이드 간격이 넓으면) 마찰 손실과 무게는 줄어들지만, 유동 제어 능력이 약해져 충분한 유동 편향을 이루지 못하거나 유로 내에서 유동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솔리디티의 결정은 부하, 효율, 비용 간의 다각적인 최적화 문제이며, 특정 단의 공력학적 요구 조건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이처럼 에어포일의 공력 설계는 캠버, 스태거 각도, 솔리디티와 같은 핵심 변수들의 상호 의존성을 고려한 복잡한 다변수 최적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일을 추출하기 위해 캠버를 늘리면, 최적의 받음각을 유지하기 위해 스태거 각도를 조정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다시 블레이드 사이의 유로 목(throat) 면적을 변화시켜 해당 단의 질량 유량 특성과 마하수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하나의 변수 변경이 다른 변수들의 최적점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대의 에어포일 설계는 전산유체역학(CFD) 기반의 자동화된 최적화 기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2.3. 압축성 유동 현상 가스터빈 내부의 유동은 고온·고압 상태이므로 압축성(compressibility) 효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압축성 유동에서 유체의 밀도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변하며, 이는 유로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아음속(subsonic) 유동에서 단면적이 감소하는 수축형 덕트(convergent duct)는 유속을 증가시키고 정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터빈 노즐이 대표적인 예이다. 반대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산형 덕트(divergent duct)는 유속을 감소시키고 정압을 증가시킨다. 이는 압축기의 스테이터 베인에서 주로 활용되는 원리이다. 터빈 단 내부, 특히 노즐의 목(throat)이나 블레이드 윗면(suction surface)의 최대 속도 지점에서는 유속이 음속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천음속(transonic) 또는 초음속(supersonic) 유동 영역에서는 충격파(shock wave)가 발생할 수 있다. 충격파는 유동의 압력, 온도, 밀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불연속면으로, 이 과정을 거치면서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상당한 공력 손실(전압력 손실)을 유발한다. 따라서 고부하 터빈 단을 설계할 때는 충격파의 발생 위치와 강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에어포일 윗면을 비교적 평평하게 설계하여 충격파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등의 기법이 사용된다. 터빈 블레이드 설계 과정은 본질적으로 준 3차원(quasi-three-dimensional) 접근법을 따른다. 먼저 자오면(meridional plane) 상에서 전체적인 유로를 설계하고, 그 다음 각 반경 위치에서 2차원 블레이드-투-블레이드(blade-to-blade) 평면을 가정하여 에어포일 프로파일을 설계한다. 최종적으로 이들을 결합하고 3차원 효과를 보정하여 전체 3차원 블레이드 형상을 완성한다. 제 3부: 3차원 블레이드 및 유로 설계 2차원 에어포일 프로파일 설계가 완료되면, 이를 바탕으로 실제 터빈의 복잡한 3차원 유동 환경에 최적화된 블레이드와 유로(flow path)를 구성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반경 방향의 압력 평형, 블레이드의 비틀림, 그리고 3차원 형상화를 통한 2차 유동 제어 등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 된다. 3.1. 애뉼러스 및 유로 형상 3차원 설계의 첫 단계는 터빈 입구부터 출구까지의 전체적인 유로, 즉 애뉼러스(annulus)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애뉼러스는 허브(hub)와 팁(tip) 반경으로 정의되는 환형 공간이다. 터빈을 통과하면서 가스는 팽창하여 밀도가 감소하므로, 일정한 축 방향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로 단면적은 터빈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형태를 띤다. 허브-팁 반경비(hub-to-tip ratio)는 유로 설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이 비율은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원심 응력, 단 효율, 그리고 엔진의 전체 직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허브-팁 반경비가 낮으면(블레이드 길이가 길면) 팁에서의 선속도가 높아져 더 많은 일을 추출할 수 있지만, 블레이드 뿌리(root)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고 2차 유동 효과가 심해져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비율이 높으면(블레이드 길이가 짧으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단당 부하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애뉼러스 설계는 공력학적 성능과 구조적 제약 조건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다. 3.2. 반경 방향 평형과 블레이드 비틀림 터빈 블레이드가 왜 뿌리부터 끝단까지 비틀어진(twisted) 형상을 갖는지 이해하는 것은 3차원 설계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 비틀림은 임의의 디자인적 특징이 아니라, 회전하는 와류 유동 내에서 반경 방향의 힘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물리적 필연의 결과이다. 3.2.1. 반경 방향 변화의 물리학 블레이드는 일정한 각속도(\omega)로 회전하므로, 블레이드의 선속도(U)는 반경(r)에 정비례하여 허브에서 팁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U = \omega r). 한편, 터빈을 통과하는 가스는 접선 방향 속도 성분, 즉 선회 속도(C_w)를 가지고 있다. 회전 좌표계에서 보면, 이 선회 속도를 가진 유체 입자들은 원심력을 받게 된다. 만약 이 원심력과 균형을 이루는 힘이 없다면 유체는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될 것이다. 유체가 반경 방향으로 크게 움직이지 않고 축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흐르기 위해서는, 안쪽으로 작용하는 압력 구배가 원심력과 평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 원리를 반경 방향 평형(radial equilibrium)이라고 하며, 다음의 간단한 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된다 : \frac{dp}{dr} = \rho \frac{C_w^2}{r} 여기서 p는 압력, \rho는 밀도이다. 이 식은 반경 방향 압력 구배가 선회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반경에 반비례함을 보여준다. 즉, 선회하는 유동을 반경 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해서는 허브 쪽보다 팁 쪽의 압력이 더 높아야 함을 의미한다. 3.2.2. 자유 와류 설계 및 대안 반경 방향 평형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터빈 단을 설계하는 가장 고전적이고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자유 와류(free-vortex)” 설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자유 와류 설계는 블레이드 스팬(span)을 따라 축 방향 속도(C_a)와 총 엔탈피(h_0)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이 가정 하에 반경 방향 평형 방정식은 선회 속도와 반경의 곱이 일정하다는 조건으로 단순화된다 : C_w \cdot r = \text{constant} 이 조건은 허브에서 팁으로 갈수록 반경(r)이 증가함에 따라 선회 속도(C_w)는 반비례하여 감소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제 블레이드 비틀림의 원인이 명확해진다. 각 반경 위치에서 속도 삼각형을 그려보면, 블레이드 선속도(U)는 반경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자유 와류 설계에 따라 선회 속도(C_w)는 반경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이 두 가지 변화가 결합되면서, 최적의 유동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대 유동각(\beta)이 허브, 중간, 팁에서 각각 크게 달라져야만 한다. 예를 들어, 허브에서는 U가 작고 C_w가 커서 상대 유동각이 크고 유동 편향이 많이 필요하다. 반면 팁에서는 U가 크고 Cw가 작아 상대 유동각이 작아지고 필요한 유동 편향도 줄어든다. 이처럼 각 반경 위치에서 요구되는 상대 유동각의 변화가 바로 블레이드의 물리적인 “비틀림”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자유 와류 설계 외에도 강제 와류(forced vortex)나 혼합 와류(mixed vortex) 같은 다른 설계 철학도 존재한다. 이들은 반경 방향으로 일 분포를 다르게 가져가거나 특정 공력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어떤 경우든 반경 방향의 속도 삼각형 변화로 인해 블레이드 비틀림은 필수적으로 발생한다. 3.3. 에어포일 적층과 3차원 블레이드 형상화 최종적인 3차원 블레이드는 2부에서 설계된 2차원 에어포일 프로파일들을 반경 방향의 적층선(stacking line)을 따라 쌓아 올림으로써 만들어진다. 적층선은 각 에어포일 단면의 기준점(예: 무게 중심 또는 앞전)들을 연결한 선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는 적층선이 반경 방향과 일치하는 직선인 경우이다. 그러나 현대의 고성능 터빈 블레이드는 공력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적층선을 휘게 만드는 3차원 형상화(3D shaping) 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주요 기법으로는 린(lean)과 스윕(sweep)이 있다. 린 (Lean): 에어포일 단면을 접선 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이동시켜 적층하는 것이다. 린은 블레이드 표면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여, 압력면에서 흡입면으로 향하는 2차 유동(secondary flow)의 구동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손실의 주원인인 통로 와류(passage vortex)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윕 (Sweep): 에어포일 단면을 축 방향(axial direction)으로 이동시켜 적층하는 것이다. 스윕은 주로 앞전과 뒷전 형상에 적용되며, 유동 방향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적인 각도를 변화시켜 충격파의 강도를 줄이거나 유동 박리를 지연시키는 등 국소적인 유동 현상을 제어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3차원 형상화 기법들은 전산유체역학(CFD) 해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더욱 정교해지고 있으며, 터빈 설계자가 복잡한 3차원 유동 구조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제 4부: 열 관리 및 통합 냉각 형상 4.1. 냉각의 필요성 가스터빈의 열효율을 높이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터빈 입구 온도(TIT)를 높이는 것이다. 현대의 고성능 가스터빈은 TIT가 1600°C를 초과하는 수준에 도달했으며, 이는 블레이드 제작에 사용되는 니켈 기반 초합금(superalloy)의 용융점을 훨씬 뛰어넘는 온도이다. 이러한 극한의 열 환경에서 블레이드의 구조적 건전성을 유지하고 요구되는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정교하고 효율적인 냉각 기술의 적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냉각 시스템의 목표는 단순히 블레이드를 식히는 것을 넘어, 최소한의 냉각 공기를 사용하여 목표 금속 온도를 달성하는 데 있다. 이는 압축기에서 추출하는 냉각 공기가 브레이튼 사이클의 전체 효율에 직접적인 손실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각 기술의 효율성은 엔진 전체의 성능과 경제성에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이다. 4.2. 내부 냉각 구조 내부 냉각은 비교적 온도가 낮은 공기를 압축기에서 추출하여 속이 비어 있는 터빈 블레이드 내부의 복잡한 유로를 통과시켜 대류 열전달을 통해 블레이드를 식히는 방식이다. 4.2.1. 다중 통로 서펜타인 유로 (Multi-Pass Serpentine Passages) 열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냉각 공기는 블레이드 내부에서 여러 번 방향을 바꾸며 흐르는 구불구불한 서펜타인(serpentine) 유로를 통과한다. 이러한 다중 통로 구조는 블레이드 내부에서 냉각 공기의 유동 경로 길이를 늘리고 내부 표면적을 넓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 대류 열전달을 통한 열 흡수를 최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4.2.2. 열전달 촉진 형상 (Heat Transfer Enhancement Features) 서펜타인 유로의 내벽은 단순히 매끄럽지 않다. 열전달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경계층을 교란시키고 난류를 촉진하는 다양한 형상의 “터뷸레이터(turbulator)”가 설치된다. 립/트립 스트립 (Ribs/Trip Strips): 유로 내벽에 주조된 돌기 형태의 립은 유동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예: 90도, 45도 V-형상)를 가지고 설치된다. 립은 유동의 재부착, 2차 유동 와류 등을 유발하여 국소 열전달 계수를 극적으로 향상시킨다. 핀-핀 (Pin-Fins): 복잡한 유로를 만들기 어려운 얇은 뒷전(trailing edge) 영역에 주로 사용된다. 작은 기둥 형태의 핀들을 배열하여 열전달 표면적을 넓히고, 핀 주위에서 발생하는 와류를 통해 난류 혼합을 촉진하여 열전달을 강화한다. 딤플 (Dimples): 오목한 반구형의 딤플은 표면에 주기적인 와류 쌍을 생성하여 열전달을 촉진한다. 립에 비해 압력 손실이 적다는 장점이 있어 특정 부위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4.2.3. 충돌 냉각 (Impingement Cooling) 외부 열 부하가 가장 극심한 앞전(leading edge)과 같은 특정 영역에서는 고속의 냉각 공기 제트를 블레이드 내벽에 직접 충돌시키는 충돌 냉각 방식이 사용된다. 제트가 표면에 부딪히면서 매우 얇은 경계층을 형성하여 국소적으로 매우 높은 열전달 효율을 얻을 수 있다. 4.3. 외부 막 냉각 내부 냉각 임무를 마친 공기는 블레이드 표면에 뚫린 작은 구멍들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 과정을 막 냉각(film cooling)이라고 하며, 블레이드 표면 위에 얇은 저온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고온의 주 유동 가스로부터 블레이드를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4.3.1. 원리 및 단열 막 냉각 효율 막 냉각의 성능은 단열 막 냉각 효율(\eta{aw})이라는 무차원 온도로 정량화된다. 이 값은 주 유동 가스와 냉각 공기의 온도 차이 대비, 실제 블레이드 표면의 단열 상태 온도가 얼마나 냉각 공기 온도에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eta{aw}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단열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막 냉각 성능이 우수함을 뜻한다. \eta{aw} = \frac{T{main} – T{aw}}{T{main} – T{coolant}} 여기서 $T{main}$은 주 유동 온도, $T{aw}$는 단열 벽면 온도, $T_{coolant}$는 냉각 공기 온도이다. 4.3.2. 형상 홀의 역할 (Shaped Hole Geometry) 초기 막 냉각 설계에서는 단순한 원통형 구멍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원통형 구멍에서 분사된 높은 운동량의 냉각 제트는 주 유동에 의해 표면에서 쉽게 이탈(lift-off)되어 고온 가스와 섞여버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냉각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의 터빈 블레이드는 출구가 확산되는 형태를 가진 형상 홀(shaped hole)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예로 팬 형상(fan-shaped) 또는 레이드백(laidback) 형상 홀이 있다. 이 형상 홀들은 출구 단면적을 넓혀 냉각 공기의 분사 속도를 낮추고 운동량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냉각 공기가 표면에 더 잘 밀착하여 흐르게 되고, 측면으로도 넓게 퍼져나가 더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특히 높은 분사비(blowing ratio) 조건에서 형상 홀은 원통형 홀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냉각 성능과 견고성을 제공한다. 4.4. 통합 냉각 시스템 설계 현대의 터빈 블레이드는 하나의 냉각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부위별 열 부하 특성에 맞춰 다양한 기술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통합 냉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인 고성능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 구조는 다음과 같이 구역별로 특화되어 있다: 앞전 (Leading Edge): 내부에서는 충돌 냉각을, 외부에서는 촘촘하게 배열된 “샤워헤드(showerhead)” 막 냉각 홀을 통해 최고 수준의 열 부하에 대응한다. 중간부 (Mid-Chord): 내부적으로는 립 터뷸레이터가 설치된 다중 통로 서펜타인 유로가 열을 흡수하고, 이 공기는 다시 외부의 압력면(pressure side)과 흡입면(suction side)에 위치한 여러 줄의 형상 홀을 통해 분사되어 막 냉각을 수행한다. 뒷전 (Trailing Edge): 구조적으로 매우 얇아 복잡한 유로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내부에는 핀-핀 배열을 통해 열전달을 강화하고, 이 공기는 뒷전 끝에 위치한 슬롯(slot)이나 압력면 컷백(cutback)을 통해 배출된다. 아래 표들은 주요 냉각 기술의 특성을 비교하여 보여준다. 표 4.1: 내부 냉각 기술 비교 출처: 표 4.2: 원통형 및 형상 막 냉각 홀 성능 특성 비교 출처: 이처럼 터빈 블레이드의 형상은 공력학적 성능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잡한 냉각 구조를 내부에 수용하고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하는 열-구조적 설계를 포함하는 고도로 통합된 시스템의 결과물이다. 제 5부: 재료, 제조 및 표면 무결성 터빈 블레이드의 정교한 공력 및 열적 설계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극한의 작동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첨단 소재와 이를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고도의 제조 기술이 필수적이다. 제조 공정은 블레이드의 최종 형상뿐만 아니라 미세구조와 표면 상태를 결정하며, 이는 곧 부품의 성능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5.1. 초합금의 정밀 주조 현재까지 터빈 블레이드를 생산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성숙한 기술은 정밀 주조(investment casting), 또는 “로스트 왁스(lost-wax)” 공법이다. 이 공법은 현대 터빈 블레이드가 요구하는 복잡한 외부 형상과 정교한 내부 냉각 유로를 가진 일체형 부품을 제작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공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냉각 유로의 형상을 복제한 세라믹 코어(ceramic core)를 제작한다. 이 코어를 금형에 넣고 주위에 액체 상태의 왁스를 주입하여 블레이드 형상의 왁스 패턴을 만든다. 이 왁스 패턴을 세라믹 슬러리에 반복적으로 담그고 건조시켜 주형(ceramic shell)을 형성한다. 이후 열을 가해 내부의 왁스만 녹여 제거하고, 비어 있는 주형에 용융된 니켈 기반 초합금을 부어 넣는다. 금속이 응고된 후 주형을 파괴하고 내부의 세라믹 코어를 화학적으로 용해시켜 제거하면 최종 블레이드 주조품이 완성된다. 5.1.1. 방향성 응고(DS) 및 단결정(SX) 블레이드 고온에서 블레이드의 수명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크리프(creep) 현상, 즉 일정한 응력 하에서 재료가 서서히 변형되는 것이다. 크리프는 재료의 결정립계(grain boundary)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첨단 주조 기술이 개발되었다. 방향성 응고 (Directional Solidification, DS): 주형을 서서히 냉각시켜 금속이 한 방향(주로 블레이드 길이 방향, 즉 주 응력 방향)으로만 응고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응력에 수직인 횡단 결정립계를 제거하고, 기둥 모양의 결정립(columnar grain)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구조를 만든다. 이 구조는 일반 다결정(equiaxed) 주조품에 비해 크리프 수명과 열피로 저항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단결정 (Single Crystal, SX): 주조 시 주형 하단에 나선형의 “피그테일(pigtail)” 또는 결정 선택자(grain selector)를 설치하여, 수많은 결정립 중 단 하나의 결정립만이 성장하여 전체 블레이드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이다. 단결정 블레이드는 결정립계 자체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소재가 가질 수 있는 최상의 고온 강도, 크리프 저항성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 5.2. 적층 제조 (Additive Manufacturing / 3D 프린팅) 적층 제조(AM) 기술, 특히 선택적 레이저 소결(SLM)이나 전자빔 용융(EBM)과 같은 분말 베드 융합(powder-bed fusion) 방식은 터빈 부품 제조 분야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5.2.1. 장점 AM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다음과 같다: 전례 없는 설계 자유도: 전통적인 주조 방식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했던 매우 복잡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나 최적화된 곡면을 가진 냉각 유로를 설계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는 더 적은 냉각 공기로 더 높은 냉각 성능을 달성하게 하여 엔진 전체의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신속한 프로토타이핑 및 리드 타임 단축: 설계부터 시제품 제작까지 걸리는 시간을 수 년에서 수 개월, 심지어 수 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설계의 검증 및 개발 주기를 획기적으로 가속화한다. 5.2.2. 한계 및 과제 그러나 AM 기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 해결책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들이 존재한다: 표면 거칠기: AM으로 제작된 부품의 표면은 주조품에 비해 훨씬 거칠다. 이 거친 표면은 공기와의 마찰을 증가시켜 공력 손실을 유발하고 터빈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잔류 응력 및 결함: 층층이 쌓아 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가열과 냉각은 부품 내부에 잔류 응력을 유발하여 변형이나 균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정교한 공정 제어와 후처리를 통해 관리되어야 한다. 후처리 공정: AM 부품은 원하는 재료 물성과 공력학적 표면 조도를 얻기 위해 열처리, 지지대 제거, 표면 연마 등 상당한 후처리 공정을 거쳐야 한다. 5.3. 표면 조도가 공력 성능에 미치는 영향 제조 공정의 최종 결과물인 블레이드의 표면 조도는 공력 효율과 직결된다. AM 공정으로 인한 초기 거칠기나, 운용 중 발생하는 오염(soiling), 부식, 침식 등으로 인해 표면이 거칠어지면, 블레이드 표면의 경계층이 두꺼워지고 표면 마찰 항력이 증가한다. 이는 프로파일 손실(profile loss)의 상당한 증가로 이어져, 정교한 공력 설계나 냉각 설계로 얻은 이점을 상쇄시킬 수 있다. 특히 압력 구배가 민감한 앞전과 흡입면(suction surface) 영역은 표면 조도의 영향에 더욱 취약하다. 이러한 관계는 제조 기술의 선택이 단순한 생산 방법의 결정을 넘어, 부품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설계 변수임을 시사한다. 정밀 주조는 검증된 재료 물성과 우수한 표면 조도를 제공하지만 기하학적 형상 구현에 제약이 있다. 반면, 적층 제조는 거의 무한한 설계 자유도를 제공하지만, 표면 조도와 재료 물성 검증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터빈 블레이드 설계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이 “무엇을 만들 것인가”라는 질문과 동시에 고려되는, 제조 공정과 부품 설계가 통합된 “공동 설계(co-design)”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설계자는 주조 기술의 신뢰성 안에서 최적의 설계를 찾을 것인지, 아니면 AM의 설계 자유도를 활용하여 이론적으로 더 우수한 성능을 추구하고 제조상의 난제를 해결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아래 표는 정밀 주조와 적층 제조 기술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한다. 표 5.1: 터빈 블레이드 제조를 위한 정밀 주조와 적층 제조 비교 분석 출처: 제 6부: 첨단 해석 기법 및 미래 전망 터빈 블레이드 설계는 물리적 프로토타입 제작과 실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대에는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술이 설계 과정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기존의 설계 철학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6.1. 블레이드 설계에서의 전산유체역학 (CFD) 전산유체역학(CFD)은 터빈 내부의 복잡한 유동 및 열전달 현상을 수치적으로 예측하여 설계 최적화를 지원하는 필수 도구이다. 6.1.1. RANS 대 LES CFD 해석의 정확도는 난류 유동을 어떻게 모델링하는가에 크게 좌우된다. 현재 산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접근법은 다음과 같다. 레이놀즈 평균 나비에-스토크스 (RANS,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난류의 불규칙한 변동을 시간 평균하여 정상 상태(steady-state)에 가까운 해를 구하는 방식이다. 계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산업계의 설계 및 해석 업무에서 주력으로 사용된다. k-ω SST와 같은 2-방정식 모델이 널리 쓰인다. 큰 에디 모사 (LES, Large Eddy Simulation): 난류를 구성하는 와류(eddy) 중 에너지를 많이 포함하는 큰 와류는 직접 계산하고, 작은 와류의 영향만 모델링하는 방식이다. RANS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로 비정상(unsteady) 유동 현상을 예측할 수 있지만, 막대한 계산 자원을 필요로 한다. 연소기 내부 유동이나 대규모 유동 박리와 같이 복잡하고 비정상성이 강한 현상을 분석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6.1.2. 공액 열전달 (CHT) 해석 터빈 블레이드의 정확한 금속 온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외부 고온 가스 유동, 내부 냉각 공기 유동, 그리고 블레이드 고체 내부의 열전도를 개별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 세 가지 현상은 서로 강하게 연성(coupled)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액 열전달(Conjugate Heat Transfer, CHT) 해석은 유체 영역의 대류 열전달과 고체 영역의 전도 열전달을 동시에 계산하는 기법이다. CHT를 통해 유체-고체 경계면에서의 열 흐름을 정확하게 모사함으로써, 실제 작동 조건과 유사한 블레이드 온도 분포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응력 및 부품 수명을 보다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다. 6.2. 미래 터빈을 위한 새로운 설계 고려사항 에너지 전환과 탈탄소화 요구에 따라 가스터빈의 작동 유체와 연료가 변화하면서, 기존의 블레이드 설계 패러다임 또한 진화하고 있다. 6.2.1. 수소 연소 수소를 가스터빈 연료로 사용하는 것은 탄소 배출을 없앨 수 있는 유망한 방법이지만, 블레이드 설계에 새로운 기술적 과제를 제기한다. 수소는 천연가스보다 화염 온도가 높고, 연소 생성물에 수증기(H₂O)의 농도가 매우 높다. 수증기는 공기보다 열전도율과 비열이 높아, 주 유동 가스에서 블레이드로 전달되는 열유속(heat flux)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수소 터빈은 기존보다 훨씬 더 강화된 냉각 기술이 필요하며, 고온의 수증기 환경에 대한 내산화성 및 내식성이 뛰어난 새로운 소재나 열차폐 코팅(TBC)의 개발이 요구된다. 6.2.2. 초임계 이산화탄소 (sCO₂) 사이클 초임계 이산화탄소(sCO₂)를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발전 사이클은 높은 효율과 소형 터보기계라는 장점 때문에 차세대 에너지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sCO₂의 특성은 터빈 설계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sCO₂는 공기보다 밀도가 수십 배에서 수백 배 높기 때문에, 터빈은 크기가 매우 작아지지만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공력 부하와 기계적 응력은 극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임계점 근처에서는 이상기체 가정이 더 이상 성립하지 않고 물성이 급격하게 변하는 실제 기체 효과(real-gas effect)가 두드러진다. 따라서 sCO₂ 터빈의 에어포일은 이러한 고밀도, 비이상 유체의 특성에 맞춰 새롭게 설계되어야 하며, 기존의 공기 기준 설계 방법론은 직접 적용하기 어렵다. 이처럼 미래의 터빈 블레이드 설계는 기존의 공기-천연가스 기반 브레이튼 사이클을 위한 단일화된 설계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수소, sCO₂ 등 다양한 작동 유체와 연료에 특화된 하위 전문 분야로 분화될 것이다. 각 시스템이 갖는 고유한 물리적 제약 조건(열 부하, 기계적 응력, 유체 물성 등)은 각각에 최적화된 새로운 설계 철학, 해석 도구, 그리고 재료 기술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6.3. 결론 및 종합 본 보고서는 가스터빈의 노즐과 버킷 형상이 열역학적 원리, 공력학, 열전달, 재료 과학, 그리고 제조 기술이 복잡하게 얽힌 다분야 최적화의 산물임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스터빈의 성능을 규정하는 브레이튼 사이클의 기본 파라미터로부터 출발하여, 이 열역학적 요구사항을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터빈 단의 기본 원리를 오일러 터빈 방정식과 속도 삼각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2차원 에어포일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캠버, 스태거 각도, 솔리디티와 같은 핵심 변수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유동을 제어하고 부하와 손실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지 분석하였다. 나아가 3차원 공간에서 반경 방향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블레이드 비틀림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물리적 원리를 규명하고, 린과 스윕과 같은 3차원 형상화가 2차 유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터빈 입구 온도의 상승이라는 효율 향상의 절대적 과제가 어떻게 정교한 내부 및 외부 냉각 기술의 발전을 이끌었는지 살펴보았다. 서펜타인 유로, 터뷸레이터, 막 냉각 형상 홀 등은 단순한 부가 기능이 아니라, 블레이드의 생존과 성능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기하학적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복잡한 형상을 현실로 구현하는 정밀 주조와 적층 제조 기술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수소 연소 및 sCO₂ 사이클과 같은 미래 기술이 블레이드 설계에 제기하는 새로운 도전 과제들을 조망하였다. GE의 HA클래스나 Siemens Energy의 HL클래스와 같은 최신 고효율 가스터빈들은 본 보고서에서 다룬 모든 설계 원리들이 집약된 결과물이다. 이들 터빈은 진보된 공력 설계, 단결정 소재, 혁신적인 냉각 구조, 그리고 첨단 제조 기술을 결합하여 64%를 넘어서는 경이적인 복합 사이클 효율을 달성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가스터빈 블레이드와 노즐의 형상은 효율, 내구성, 신뢰성이라는 다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물리적 제약과 공학적 타협 속에서 탄생한 고도로 최적화된 결과물이다. 에너지 전환 시대의 도래는 이 분야의 기술적 한계를 더욱 밀어붙일 것이며, 앞으로도 블레이드 형상 설계는 가스터빈 기술 발전의 최전선에 서 있을 것이다. 참고 자료
- 브레이턴 사이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A0%88%EC%9D%B4%ED%84%B4_%EC%82%AC%EC%9D%B4%ED%81%B4 2. 브레이턴 사이클 Brayton Cycle – Daily Aviation – 티스토리, https://airtech422.tistory.com/124 3. 열역학 #12 기체동력사이클 (오토사이클, 디젤사이클, 브레이튼 사이클)3 – 기계공학 취준일기, https://plant-engineer.tistory.com/80 4. 가스터빈 엔진 사이클 해석을 위한 Brayton cycle 기초 – YouTube, 5. 058 가스터빈 기관의 기본 구성과 브레이튼 사이클 [[슈퍼브레인 열역학]] – YouTube, 6. 터빈(Turbine) – YouTube, 7. FUNDAMENTALS OF GAS TURBINE ENGINES – SKYbrary, https://skybrary.aero/sites/default/files/bookshelf/1621.pdf 8. UNIFIED PROPULSION LECTURE #1 – MIT, https://web.mit.edu/16.unified/www/SPRING/propulsion/UnifiedPropulsion9/UnifiedPropulsion9.htm 9. 중국 터빈 노즐 가이드 베인 제조업체 공급 업체 공장 – 맞춤형 서비스 – OBT, https://ko.obtmetalwork.com/gas-turbine-accessories/guide-vanes/turbine-nozzle-guide-vane.html 10. 가스 터빈과 증기 터빈의 차이점과 실제 가이드, https://ko.steamturbo.net/info/differences-between-gas-and-steam-turbines-and-87397221.html 11. 터빈 블레이드란? – 뉴스 – OBT, https://ko.obtmetalwork.com/news/what-are-turbine-blades-70840976.html 12. Velocity triangl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Velocity_triangle 13. Velocity Triangles | PDF | Turbine – Scribd, https://www.scribd.com/presentation/443215814/Velocity-Triangles 14. Axial Flow and Radial Flow Gas Turbines, https://himech.wordpress.com/wp-content/uploads/2010/02/dke672_ch7.pdf 15. Characteristics of typical velocity triangle through turbine blad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haracteristics-of-typical-velocity-triangle-through-turbine-blade-left-and-Zero-Inter_fig1_325016115 16. Why are Turbine Blades Twisted? – Concepts NREC, https://www.conceptsnrec.com/blog/why-are-turbine-blades-twisted 17. KR101710974B1 – 수평축 풍력터빈 블레이드 익형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1710974B1/ko 18. Airfoil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Airfoil 19. Airfoil Camber: Aerodynamics & Performance – Vaia, https://www.vaia.com/en-us/explanations/engineering/aerospace-engineering/airfoil-camber/ 20. Camber (aerodynamics)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amber_(aerodynamics) 21. Influence of Airfoil Curvature and Blade Angle on Vertical Axis Hydraulic Turbine Performance in Low Flow Conditions – MDPI, https://www.mdpi.com/2073-4441/17/1/11 22. Airfoil Camber: Its Affect On Aerodynamics How it Generates Lift – Pilot Mall, https://www.pilotmall.com/blogs/news/airfoil-camber-its-affect-on-aerodynamics-how-it-generates-lift 23. A Parametric Blade Design System (Part I + II) – atech.de, http://www.atech.de/wp-content/uploads/2014/02/vki.pdf 24. www.researchgate.net,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7324186_Impact_of_Turbine_Blade_Stagger_Angle_Adjustment_on_the_Efficiency_and_Performance_of_Gas_Turbines_During_Off-Design_and_Dynamic_Operation#:~:text=To%20avoid%20the%20inception%20of,which%20reduces%20an%20excessive%20incidence. 25. Impact of Turbine Blade Stagger Angle Adjustment on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Gas Turbines During Off-Design and Dynamic Operation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7324186_Impact_of_Turbine_Blade_Stagger_Angle_Adjustment_on_the_Efficiency_and_Performance_of_Gas_Turbines_During_Off-Design_and_Dynamic_Operation 26. Effect of Non-Uniformity of Rotor Stagger Angle on the Stability of a Low-Speed Axial Compressor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5/8/2714 27. Numerical study of camber and stagger angle effects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andem-blade cascade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3790641_Numerical_study_of_camber_and_stagger_angle_effects_on_the_aerodynamic_performance_of_tandem-blade_cascades 28. A Parametric Method of Turbine Blade Profile Design – ASME Digital …,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T/proceedings-pdf/GT1974/79795/V01BT02A037/2391656/v01bt02a037-74-gt-119.pdf 29. 한국형 해상 풍력터빈 블레이드 – 최적설계 알고리즘 연구 – Korea Science,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508823928778.pdf 30. (PDF) Advances in Aerodynamic Design of Gas Turbines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1909377_Advances_in_Aerodynamic_Design_of_Gas_Turbines_Compressors 31. [구술대비 #35] 가스터빈엔진
2> (흡입 및 공기흐름 계통, Exhaust 및 reverser 시스템, 세척과 방부처리 절차, 보조동력장치계통(APU)의 기능과 작동) – GOOD VIBES MAG, https://d-ley.tistory.com/41 32. The Role of Flow Field Computation in Improving Turbomachinery, https://www.icas.org/icas_archive/ICAS1986/ICAS-86-3.7.3.pdf 33. Preliminary Design and Optimization of Axial Turbines Accounting for Diffuser Performance, https://www.mdpi.com/2504-186X/4/3/32 34. Axial-Flow Turbine Rotor Discharge-Flow Overexpansion and Limit-Loading Condition – NASA Technical Reports Server (NTRS), 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180004323/downloads/20180004323.pdf 35. Computer Code for Preliminary Sizing Analysis of Axial-Flow Turbines, https://ntrs.nasa.gov/api/citations/19920010954/downloads/19920010954.pdf 36. Axial turbine flow path design for concentrated solar power plants operating with CO2 blends, https://openaccess.city.ac.uk/id/eprint/30321/8/1-s2.0-S1359431123006415-main.pdf 37. A Comparison of Flow Path Designs for Axial Turbines Operating with Pure CO2 and CO2 Mixtures, https://bura.brunel.ac.uk/bitstream/2438/29307/1/FullText.pdf 38. 3D Blade Analysis v1.0 | PDF | Turbomachinery | Mechanics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531005534/5-3D-Blade-Analysis-v1-0 39. Turbomachinery Aerodynamics Prof: Bhaskar Roy Department of Aerospace Engineering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Lecture, http://elearn.psgcas.ac.in/nptel/courses/video/101101058/lec8.pdf 40. Swirl Distribution in Low Hub/Tip Ratio Blades – Aero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Group, LLC – AeroRND, https://www.aerornd.com/2017/10/16/swirl-distribution-comparison/ 41. Effects of Endwall Geometry and Stacking on Two-Stage Supersonic …, https://ntrs.nasa.gov/citations/20030003812 42. Effects of Endwall Geometry and Stacking on Two-Stage Supersonic Turbine Performance, https://ntrs.nasa.gov/citations/20020087940 43. 터빈 블레이드 형상에 따른 유동특성 및 냉각성능 연구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and Cooling Performanc – JKSPE, https://jkspe.kspe.or.kr/xml/21747/21747.pdf 44. Modelling of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in the Hot Section of Gas Turbines Used in Power Generation: A Comprehensive Survey – Research Explorer –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https://research.manchester.ac.uk/files/77584884/Modelling_of_Heat_Transfer_and_Fluid_Flow_in_the_Hot_Section_of_Gas_Turbines_Used_in_Power_Generation_A_Comprehensive_Survey.pdf 45. 가스터빈 엔진 터빈 블레이드의 냉각성능 상사시험 평가 연구, https://ksfmjournal.org/xml/34897/34897.pdf 46. Cooling Process of Gas Turbine Blade: A … – Semantic Scholar, https://pdfs.semanticscholar.org/eaa7/2e6e9fe2d84a3920202d862cf78006d170f5.pdf 47. Final Internal and External Cooling of Gas Turbine Blade | PDF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449944359/FINAL-INTERNAL-AND-EXTERNAL-COOLING-OF-GAS-TURBINE-BLADE-1 48. CFD ANALYSIS OF FILM COOLING IN GAS TUSRBINE BLADE – CORE, https://core.ac.uk/download/pdf/80148386.pdf 49. (PDF) Recent Studies in Turbine Blade Cool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7828995_Recent_Studies_in_Turbine_Blade_Cooling 50. US7955053B1 – Turbine blade with serpentine cooling circuit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7955053B1/en 51. Heat Transfer and Turbulence in a Turbulated Blade Cooling Circuit | GT | ASME Digital Collection,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T/proceedings/GT1992/78965/V004T09A004/243005 52.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Turbine Blade Internal Cooling Channels with Hybrid Pin-Fins and Micro V-Ribs Turbulators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8/13/3296 53. (PDF)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Turbine Blade Internal Cooling Channels with Hybrid Pin-Fins and Micro V-Ribs Turbulator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2997435_Heat_Transfer_Enhancement_in_Turbine_Blade_Internal_Cooling_Channels_with_Hybrid_Pin-Fins_and_Micro_V-Ribs_Turbulators 54.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in the leading edge of gas turbine blade with various rib turbulators – Yonsei University, https://yonsei.elsevierpure.com/en/publications/enhancement-of-heat-transfer-in-the-leading-edge-of-gas-turbine-b 55. Cooling Enhancement for Turbine Blades Passages by Using Ribs and Thermal Barrier Coating, https://uokerbala.edu.iq/wp-content/uploads/2020/07/Rp-Cooling-Enhancement-for-Turbine-Blades-Passages-by-Using-Ribs-and-Thermal-Barrier-Coating.pdf 56. Review on Heat Transfer Augmentation Techniques: Application in Gas Turbine Blade Internal cooling – SciSpace, https://scispace.com/pdf/review-on-heat-transfer-augmentation-techniques-application-45zojxv9aw.pdf 57.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TERNAL COOLING PASSAGES OF GAS TURBINE BLADE WITH PIN-FINS AND RIB-TURBULATORS by Sin Chien Siw – D-Scholarship@Pitt, https://d-scholarship.pitt.edu/13020/1/PHD_THESIS_SIW_2012_REV3.pdf 58. Review of Film Cooling Techniques for Aerospace Vehicles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8/12/3058 59. Heat transfer coefficient augmentation for a shaped film cooling hole at a range of compound angles – Penn State Research Database, https://pure.psu.edu/en/publications/heat-transfer-coefficient-augmentation-for-a-shaped-film-cooling- 60.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of Various Modified Configurations Based on a Fan-Shaped Film Cooling Hole on a Flat Plate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6/23/7752 61. Assessment of Various Film-Cooling Configurations Including Shaped and Compound Angle Holes Based on Large-Scale Experiment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45354611_Assessment_of_Various_Film-Cooling_Configurations_Including_Shaped_and_Compound_Angle_Holes_Based_on_Large-Scale_Experiments 62. Adiabatic Effectiveness and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Shaped Film Cooling Holes on a Scaled Guide Vane Pressure Side Model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406167_Adiabatic_Effectiveness_and_Heat_Transfer_Coefficient_of_Shaped_Film_Cooling_Holes_on_a_Scaled_Guide_Vane_Pressure_Side_Model 63. Unsteady adiabatic film cooling effectiveness behind shaped holes – DOAJ, https://doaj.org/article/e3fa7c465f21436cb5c7a6ac904a668c 64.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lm Cooling Effectiveness of Various Modified Configurations Based on a Fan-Shaped Film Cooling Hole on an Endwall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6/23/7733 65. STATE-OF-THE-ART COOLING TECHNOLOGY FOR A TURBINE ROTOR BLADE – OSTI, https://www.osti.gov/servlets/purl/1571231 66. 4.3-1 Introduction Turbine Blade Aerodynamics Sumanta Acharya Gazi Mahmood, https://www.netl.doe.gov/sites/default/files/gas-turbine-handbook/4-3.pdf 67. Large Eddy Simulation Approaches for Trailing-Edge Heat Transfer in Gas Turbine Blades: A Review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8/6/1386 68. Investment Casting | Aerospace Industry, https://rlmcastings.com/blog/investment-casting-in-the-aerospace-industry/ 69. Investment Casting For Turbine Blades | PDF | Industrial Processes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241537235/Investment-Casting-for-Turbine-Blades 70. Introduction to Investment casting and Turbine Blade.pptx – SlideShare, https://www.slideshare.net/slideshow/introduction-to-investment-casting-and-turbine-bladepptx/260973095 71. US5820774A – Ceramic core for casting a turbine blade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5820774A/en 72. Each Blade a Single Crystal | American Scientist, https://www.americanscientist.org/article/each-blade-a-single-crystal 73. Micro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Directionally Sdidified Single Crystal Nickel-Base Superalloys – NASA Technical Reports Server (NTRS), https://ntrs.nasa.gov/api/citations/19860022228/downloads/19860022228.pdf 74. Schematic drawing of investment casting of SX turbine blade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Schematic-drawing-of-investment-casting-of-SX-turbine-blades_fig2_225654559 75. The Effect of Withdrawal Rate on Crystal Structure Perfection, Microstructure and Creep Resistance of Single Crystal Castings Made of CMSX-4 Nickel-Based Superalloy – PMC,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830086/ 76. Novel casting processes for single-crystal turbine blades of superalloys – HEP Journals, https://journal.hep.com.cn/fme/CN/10.1007/s11465-018-0475-0 77. A Review on the Processing of Aero-Turbine Blade Using 3D Print Techniques – MDPI, https://www.mdpi.com/2504-4494/6/1/16 78. ADDITIVE MANUFACTURING IN TURBOMACHINERIES – Granthaalayah Publications, https://www.granthaalayahpublication.org/ijetmr-ojms/ijetmr/article/download/1148/954/6865 79. Additive Manufacturing: Siemens uses innovative technology to produce gas turbines, https://press.siemens.com/global/en/feature/additive-manufacturing-siemens-uses-innovative-technology-produce-gas-turbines 80. Content Additive manufacturing, or 3D printing, has experienced a rapid rise in the past few years. The choice to use advanced m – Writing as an Engineer or Scientist, http://writing.engr.psu.edu/slide_handouts/kathryn_kirsch.pdf 81. Traditional Manufacturing & 3D Printing Process of Engine Turbine Blades – Eplus3D, https://www.eplus3d.com/traditional-manufacturing-3d-printing-process-of-engine-turbine-blades.html 82. Impact of Additive Manufacturing Surface Roughness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Axial Compressor Blades | PDF | Fluid Dynamics | Chemical Engineering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835108348/Impact-of-Additive-Manufacturing-Surface-Roughness-on-the-Aerodynamic-Performance-of-Axial-Compressor-Blades 83.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turbine blade cascad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3812351_Effect_of_surface_roughness_on_the_aerodynamic_performance_of_turbine_blade_cascade 84. 3D printing technique reduces cracking in turbine blades – VoxelMatters, https://www.voxelmatters.com/3d-printing-technique-reduces-cracking-in-turbine-blades/ 85. Heat transfer and aerodynamic losses of additively manufactured turbine alloy blades with different surface enhancement post-process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94198893_Heat_transfer_and_aerodynamic_losses_of_additively_manufactured_turbine_alloy_blades_with_different_surface_enhancement_post-processing 86. New Methodology for Evaluating Surface Quality of Experimental Aerodynamic Models Manufactured by Polymer Jetting Additive Manufacturing – PubMed Central,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839252/ 87. Metal 3D Printing Compared to Traditional Casting – Protolabs, https://www.protolabs.com/resources/blog/3d-printing-vs-casting-for-metal-parts/ 88. Turbulence Modeling Techniques In CFD – DNS vs LES vs RANS, https://www.fidelisfea.com/post/turbulence-modeling-techniques-in-cfd-dns-vs-les-vs-rans 89. Integrated RANS/LES computations of turbulent flow through a turbofan jet engine – Stanford University, https://web.stanford.edu/group/ctr/ResBriefs06/21_medic1.pdf 90. Turbulence models in CFD – RANS, DES, LES and DNS – IdealSimulations, https://www.idealsimulations.com/resources/turbulence-models-in-cfd/ 91. Comparison of RANS and LES in high pressure turbines – Cerfacs, https://www.cerfacs.fr/~cfdbib/repository/TR_CFD_11_144.pdf 92.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a Coated Stainless Steel Gas Turbine Blade – Global Journals of Research in Engineering, https://engineeringresearch.org/index.php/GJRE/article/download/1958/1889/22282 93. Thermal Design Optimization Of Internally Cooled Turbine Blades – MavMatrix, https://mavmatrix.uta.edu/mechaerospace_theses/84/ 94. Data-Driven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of a Gas Turbine Vane – MDPI, https://www.mdpi.com/2227-9717/10/11/2335 95.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for Gas Turbine Film-Cooled Blad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8501594_Conjugate_Heat_Transfer_Analysis_for_Gas_Turbine_Film-Cooled_Blade 96.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of the Aero-Thermal Impact of Different Feeding Geometries for Internal Cooling in Lifetime Extension Processes for Heavy-Duty Gas Turbines – MDPI, https://www.mdpi.com/1996-1073/15/9/3022 9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nhanced Turbine Cooling to Facilitate Operation with Hydrogen Fuel, 18-R6288 |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https://www.swri.org/what-we-do/internal-research-development/2024/energy-environment/development-evaluation-of-enhanced-turbine-cooling-facilitate-operation-hydrogen-fuel-18-r6288 98. Review of the Impact of Hydrogen-Containing Fuels on Gas Turbine Hot-Section Materials,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asturbinespower/article/147/8/081013/1210253/Review-of-the-Impact-of-Hydrogen-Containing-Fuels 99. Design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a Hydrogen-Fueled Micro Gas Turbine Unit for Energy Generation – MDPI, https://www.mdpi.com/2673-4591/85/1/45 100. 100 kW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 2 ) turbine design model…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100-kW-supercritical-carbon-dioxide-sCO-2-turbine-design-model-validation_tbl2_343170698 101. A Code for the Preliminary Design of Cooled Supercritical CO2 Turbines and Application to the Allam Cycle – TU Delft Repository, https://repository.tudelft.nl/file/File_12ba384c-2637-43f1-a092-869099d7b0ff 102. The design and analysi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centrifugal turbin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9010164_The_design_and_analysis_of_supercritical_carbon_dioxide_centrifugal_turbine 103. Guidelines for the Aerodynamic Design of sCO2 Centrifugal Compressor Stages | J. Eng. Gas Turbines Power | ASME Digital Collection,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asturbinespower/article/145/11/111014/1166603/Guidelines-for-the-Aerodynamic-Design-of-sCO2 104. GEA34372 7HA.03 Whitepaper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content/dam/gepower-new/global/en_US/downloads/gas-new-site/products/gas-turbines/7ha.03-next-evolution-whitepaper.pdf 105. SGT5-9000HL Heavy-duty gas turbine (50 Hz) – Siemens Energy, https://www.siemens-energy.com/global/en/home/products-services/product/sgt5-9000hl.html 106. Advanced Thermodynamic and Operational Analysis of the Siemens SGT-9000HL Gas Turbine – Zenodo, https://zenodo.org/records/15662832/files/SGT9000HL_Thermodynamic_Analysis_Omar_Ibrahim_2025.pdf?download=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