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8월 19th, 2025

가스터빈 원리 및 이론에 대한 종합적 고찰 제 1장: 가스터빈 엔진 서론 본 장에서는 가스터빈의 근본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이론적 개념에서부터 현대 기술의 핵심으로 자리 잡기까지의 발전 과정을 추적한다. 가스터빈을 연속 연소 열기관으로 정의하고, 주요 응용 분야를 개괄함으로써 이어질 상세한 기술적 분석의 토대를 마련한다. 1.1. 역사적 발전: 초기 개념부터 현대의 동력원까지 가스터빈의 개념적 기원은 오래되었으나, 실질적인 동력 기관으로서의 역사는 20세기에 시작되었다. 1906년 노르웨이의 엔지니어 옌스 애기디우스 엘링(Jens Ægidius Elling)이 최초로 외부로 유용한 일을 할 수 있는, 즉 잉여출력(surplus power)을 생산하는 가스터빈을 개발하며 그 가능성을 입증했다. 초기 가스터빈 기술의 발전은 선형적이지 않았으며, 특정 응용 분야의 필요에 의해 촉진되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은 가스터빈 기술 발전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피스톤 엔진의 성능 한계를 뛰어넘는 고속 항공기에 대한 군사적 요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스터빈을 활용한 제트 엔진 개발이 가속화되었다. 독일의 BMW 003과 같은 항공기용 제트 엔진은 이 시기 기술 발전의 상징이며, 이후 5호 전차 판터에 탑재 시험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전쟁 이후, 항공우주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은 다른 산업으로 점차 확산되었다. 1948년 프랑스의 터보메카(Turbomeca)는 터보샤프트 엔진을 헬리콥터에 성공적으로 탑재했으며 ,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미국의 크라이슬러가 승용차용 가스터빈을 연구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군사 분야에서는 1979년 M1 에이브람스 전차에 가스터빈이 채택되어, 소형화와 고출력의 장점을 입증했다. 발전(發電) 분야에서의 가스터빈은 항공용 기술이 성숙한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효율과 내구성 문제로 주력 동력원으로 자리 잡지 못했으나, 재료 과학과 공기역학의 발전, 그리고 천연가스와 같은 청정 연료의 보급이 맞물리면서 경제성을 확보하기 시작했다. 특히 복합화력발전(Combined Cycle Power Plant) 기술의 등장은 가스터빈을 고효율 발전의 핵심으로 부상시켰다. 최근에는 2023년 대한민국 두산에너빌리티가 발전용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하며 세계에서 5번째로 자체 개발 국가가 되는 등, 기술 개발 경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가스터빈의 역사는 특정 응용 분야의 절실한 필요가 기술 혁신을 이끌고, 그 성과가 다시 다른 분야로 확산되며 전체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는 양상을 보여준다. 현대의 고효율 발전용 가스터빈은 군용 항공기 엔진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적 유산 위에 세워진 것이라 할 수 있다. 1.2. 기본 개념: 연속 연소 열기관 가스터빈은 왕복운동 기관과 구별되는 회전운동 기반의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이다. 열역학적으로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열기관(heat engine)으로 정의된다. 그 작동 과정은 공기를 압축하고, 여기에 연료를 분사하여 연속적으로 연소시켜 고온·고압의 가스를 생성한 후, 이 가스를 터빈으로 팽창시켜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 가스터빈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은 ‘연속적인(continuous)’ 연소 과정에 있다. 이는 실린더 내에서 폭발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피스톤 엔진의 오토(Otto) 사이클이나 디젤(Diesel) 사이클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연소실 내에서 연료와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연소되므로, 동력 발생이 맥동 없이 부드럽고 진동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1.3. 핵심 응용 분야: 항공, 발전, 그리고 해상 추진 가스터빈은 그 고유한 특성 덕분에 현대 산업의 세 가지 핵심 동력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항공(Aviation): 가스터빈의 가장 상징적인 응용 분야이다.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출력 대 중량비(power-to-weight ratio) 덕분에 터보제트, 터보팬, 터보프롭 등 다양한 형태로 현대 항공기의 주력 엔진으로 사용된다. 발전(Power Generation): 전력 산업에서 가스터빈은 두 가지 주요 역할을 담당한다. 단일 사이클(Simple Cycle) 구성으로는 빠른 기동성을 활용하여 전력 수요가 급증할 때 가동되는 첨두부하(peaking power) 발전소로 사용된다. 한편, 증기터빈과 결합된 복합화력(Combined Cycle) 구성으로는 현재 가동되는 화력발전 중 가장 높은 효율을 달성하며 기저부하(baseload) 발전을 책임진다. 산업 및 해상(Industrial and Marine): 가스터빈의 높은 출력과 소형화 가능성은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도 활용된다. 파이프라인의 가스를 압축하는 펌프, 산업용 압축기, 고속 열차, 그리고 현대 군함과 같은 선박의 추진 기관으로 널리 사용된다. 제 2장: 가스터빈의 해부학: 핵심 구성요소와 기능 본 장에서는 가스터빈을 세 가지 기본 구성요소로 분해하여 각각의 구체적인 역할과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작동 유체인 공기가 엔진을 통과하며 겪는 물리적 변화의 여정을 상세히 추적한다. 2.1. 압축기 섹션: 작동 유체의 가압 가스터빈 사이클의 첫 단계는 압축기(Compressor)에서 시작된다. 압축기의 기본 역할은 외부의 대기압 상태 공기를 흡입하여 연소기로 보내기 전에 압력과 온도를 크게 높이는 것이다. 이 초기 단계에서 투입되는 일(work)은 사이클 전체의 순수 출력(net power output)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작동 과정은 공기 흡입구(Air Intake)에서 시작된다. 흡입구는 압축기로 공기를 부드럽게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아음속(subsonic) 항공기나 발전용 터빈에서는 공기 흐름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설계된다. 반면, 초음속(supersonic) 항공기의 흡입구는 훨씬 복잡하고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초음속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기 전단에서 반드시 아음속으로 감속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가변 형상이나 특수한 내부 구조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충격파(shockwave)’를 발생시키고, 이 충격파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속도는 급격히 감소하고 압력과 온도는 상승하여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압축기 내부는 여러 단(stage)의 회전하는 블레이드(rotor blades)와 고정된 베인(stator vanes)으로 구성된다. 공기는 각 단을 통과하면서 점진적으로 압축된다. 이 압축기는 엔진 후단의 터빈과 하나의 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여기서 가스터빈의 근본적인 열역학적 특성 중 하나가 드러나는데, 바로 터빈에서 생산된 총 출력의 상당 부분(자료에 따라 40%에서 80%까지 언급됨)이 오직 압축기를 구동하는 데에만 소모된다는 점이다. 이 비율을 역일비(back work ratio)라고 하며, 가스터빈의 효율을 논할 때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2.2. 연소기 섹션: 열에너지의 추가 압축기를 통과한 고압의 공기는 연소실(Combustion Chamber 또는 Combustor)로 유입되어 열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연소기에서는 고압 공기와 연료(천연가스, 등유 등)가 혼합되어 점화되고, 거의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연속적으로 연소된다. 이 과정을 통해 작동 유체는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부피가 팽창하여 높은 에너지를 갖게 된다. 연소 과정에서는 연료 대 공기비(fuel-to-air ratio)가 매우 희박한(lean) 혼합기가 사용된다. 압축된 공기의 상당 부분은 직접적인 연소 반응에 참여하기보다는, 연소기 벽면과 터빈 블레이드 등 고온에 노출되는 부품들을 냉각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섭씨 1500도를 훌쩍 넘는 연소 가스로부터 값비싼 초합금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설계이다. 한편, 연소기의 고온 환경은 질소산화물(NOx), 특히 열적 NOx(Thermal NOx) 생성의 주된 원인이 된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 현대의 저공해 연소기는 ‘2단 연소법(rich-lean combustion)’과 같은 기술을 채택한다. 1차 연소 영역에서는 연료를 과잉 공급하여 산소가 부족한 환경(rich burn)을 만들어 NOx 생성을 억제하고, 2차 연소 영역에서 추가 공기를 주입하여 완전 연소(lean burn)를 달성하는 방식이다. 2.3. 터빈 섹션: 일의 추출과 압축기 구동 연소기를 통과한 고온·고압의 가스는 터빈(Turbine) 섹션으로 유입되어 팽창한다. 터빈은 연소 가스가 가진 열에너지와 압력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 일(work)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터빈에서 추출된 일의 분배는 가스터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터빈이 생산하는 총 일의 가장 큰 부분은 축을 통해 압축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이 과정을 통해 엔진은 자립 운전이 가능해진다. 압축기를 구동하고 남은 잉여 에너지가 바로 엔진의 순수 유효 출력이 되며, 이 출력이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거나, 항공기의 추력을 만들거나, 선박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데 사용된다. 터빈을 통과한 가스는 압력과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배기구(Exhaust)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단순 사이클 가스터빈에서는 이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바로 버려지지만, 여전히 상당한 열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복합화력발전과 같은 고효율 시스템에서는 이 폐열을 회수하여 다시 활용한다. 가스터빈은 열역학적으로 ‘머리가 무거운(top-heavy)’ 엔진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압축기가 소모하는 막대한 에너지, 즉 높은 역일비는 증기터빈(물을 펌핑하는 데는 거의 동력이 들지 않음)과 같은 다른 열기관과 가스터빈을 구분 짓는 근본적인 차이점이며, 이는 가스터빈의 전체 설계 철학을 지배한다. 작동 유체인 기체는 액체(증기 사이클의 물)에 비해 비체적(specific volume)이 압도적으로 크다. 열역학적 일의 공식(∫v dP)에서 알 수 있듯이, 큰 비체적을 가진 유체를 압축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일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압축기는 터빈 총 출력의 40%에서 80%에 달하는 동력을 소모하게 된다. 이러한 높은 역일비는 압축기나 터빈의 효율이 조금만 감소해도 엔진 전체의 순수 출력에 매우 큰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압축기와 터빈의 효율이 각각 1%씩 감소하면 순수 출력은 단순히 1%가 아니라 그보다 훨씬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된다. 바로 이 인과 관계 때문에 가스터빈 설계의 모든 공학적 노력과 혁신은 압축기와 터빈의 부품 효율을 극한까지 끌어올리고, 팽창 시 더 많은 일을 얻기 위해 터빈 입구 온도를 높이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이는 이후에 논의될 첨단 공기역학, 재료 과학, 냉각 기술에 대한 집요한 연구 개발의 근본적인 이유가 된다. 제 3장: 열역학적 기초: 브레이튼 사이클 본 장에서는 가스터빈의 물리적 구성요소를 넘어 그 작동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델로 전환한다. 이상적인 브레이튼 사이클을 소개하고, 표준 열역학 선도를 통해 이를 분석함으로써 가스터빈 성능을 정량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3.1. 이상 브레이튼 사이클: 이론적 프레임워크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 또는 줄 사이클(Joule cycle)은 가스터빈 엔진의 작동을 설명하는 이상적인 공기 표준 열역학 사이클이다. 이 모델은 내부적으로 가역적인 네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과정 1-2: 등엔트로피 압축 (Isentropic Compression) 작동 유체(공기)가 엔트로피의 변화 없이 이상적인 압축기에서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압력과 온도는 상승한다. 과정 2-3: 정압 가열 (Isobaric Heat Addition) 압축된 공기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 열을 공급받는다. 이는 연소기에서의 연소 과정을 이상화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온도와 비체적은 증가한다. 과정 3-4: 등엔트로피 팽창 (Isentropic Expansion) 고온·고압의 가스가 엔트로피의 변화 없이 이상적인 터빈을 통해 팽창하며 일을 한다. 이 과정에서 압력과 온도는 감소한다. 과정 4-1: 정압 방열 (Isobaric Heat Rejection) 터빈을 통과한 가스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 3.2. 사이클 분석: 압력-체적(P-V) 및 온도-엔트로피(T-S) 선도 브레이튼 사이클은 압력-체적(P-V) 선도와 온도-엔트로피(T-S) 선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선도들은 각 과정에서의 일과 열의 이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다. P-V 선도: P-V 선도에서 사이클이 둘러싸는 면적은 사이클 당 순수 일(net work)을 나타낸다. 등엔트로피 과정(1-2, 3-4)은 가파른 곡선으로, 정압 과정(2-3, 4-1)은 수평선으로 표현된다. T-S 선도: T-S 선도는 열역학적 해석에 더욱 유용하다. 가열 과정(2-3) 곡선 아래의 면적은 사이클에 공급된 열량(Q{in})을, 방열 과정(4-1) 곡선 아래의 면적은 외부로 방출된 열량(Q{out})을 나타낸다. 순수 일은 이 두 면적의 차이와 같다. 등엔트로피 과정(1-2, 3-4)은 엔트로피가 일정하므로 수직선으로 그려진다. 3.3. 사이클의 종류: 개방형과 밀폐형 브레이튼 사이클 브레이튼 사이클은 작동 유체의 순환 방식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뉜다. 개방형 사이클 (Open Cycle):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실제 대부분의 가스터빈이 이 방식으로 작동한다.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작동 유체로 사용하고, 터빈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다시 대기로 방출된다. 열역학적 해석의 편의를 위해, 배기가스가 가상의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방출하고 초기 상태의 공기가 다시 흡입되는 밀폐형 사이클로 가정하여 분석한다. 밀폐형 사이클 (Closed Cycle): 이 방식에서는 공기, 헬륨, 질소 등 특정 작동 유체가 외부와 차단된 폐쇄 회로 내에서 계속 순환한다. 열은 원자로, 태양열 집열기, 또는 외부 연소기와 같은 외부 열원으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해 공급되며, 사이클을 마친 작동 유체는 예냉기(precooler)라는 또 다른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방출하고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간다. 개방형 사이클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대기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반면, 밀폐형 사이클은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지만, 작동 유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외부 열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소 생성물로부터 터빈 부품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S 선도를 통해 이상 브레이튼 사이클의 열효율이 오직 압력비(r_p = P_2/P1)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중요한 열역학적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압력비가 높을수록 열이 공급되는 평균 온도가 높아지며, 이는 카르노 원리(Carnot’s principle)에 따라 사이클의 최대 가능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상 브레이튼 사이클의 열효율(\eta{th}) 공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먼저, 열효율은 공급된 열량 대비 순수 일의 비율로 정의된다. \eta{th} = \frac{W{net}}{Q{in}} = \frac{Q{in} – Q{out}}{Q{in}} = 1 – \frac{Q{out}}{Q{in}} 정압 과정에서의 열량은 Q = m cp \Delta T이므로, $$ \eta{th} = 1 – \frac{m c_p (T_4 – T_1)}{m c_p (T_3 – T_2)} = 1 – \frac{T_4 – T_1}{T_3 – T_2} = 1 – \frac{T_1(T_4/T_1 – 1)}{T_2(T_3/T_2 – 1)} $$ 등엔트로피 과정(1-2, 3-4)과 정압 과정(2-3, 4-1)의 압력비가 같으므로(P_2/P_1 = P_3/P_4), 등엔트로피 관계식에 의해 $T_2/T_1 = (P_2/P_1)^{(k-1)/k}$와 $T_3/T_4 = (P_3/P_4)^{(k-1)/k}$가 성립한다. 여기서 k는 비열비이다. 따라서 T_2/T_1 = T_3/T_4 이고, 이를 정리하면 T_4/T_1 = T_3/T2가 된다. 이 관계를 위 효율 식에 대입하면 괄호 안의 항이 소거되어 다음과 같은 간단한 형태로 정리된다. \eta{th} = 1 – \frac{T_1}{T_2} 마지막으로, 등엔트로피 관계식 $T_2/T_1 = (P_2/P_1)^{(k-1)/k} = rp^{(k-1)/k}$를 대입하면 최종적으로 열효율 공식을 얻는다. \eta{th} = 1 – \frac{1}{r_p^{(k-1)/k}} 이 공식은 압력비(rp)가 증가할수록 분모가 커져 전체 항은 작아지므로 열효율(\eta{th})이 증가함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 열역학적 관계는 지난 수십 년간 가스터빈 기술이 끊임없이 더 높은 압력비를 추구하도록 이끈 근본적인 동인이었다. 산업용 가스터빈의 압력비가 과거 5:1 수준에서 현재 24:1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발전한 것은 바로 이 원리 때문이다. 더 높은 압력비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은 자연스럽게 더 복잡한 다단 압축기 설계를 요구했으며, 이는 현대 엔진 설계가 마주한 공기역학 및 재료 공학적 도전 과제의 핵심이 되었다. 제 4장: 이론에서 현실로: 실제 가스터빈 사이클의 성능 본 장에서는 이상적인 브레이튼 사이클과 실제 가스터빈의 성능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실제 작동 시 발생하는 비가역성의 주요 원인과 손실을 소개하고, 이를 정량화하는 방법 및 엔진 전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4.1. 비가역성과 그 영향: 압축기와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실제 가스터빈에서 압축과 팽창 과정은 마찰, 난류, 와류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진정한 의미의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 과정들은 단열(adiabatic) 과정에 가깝지만 비가역적(irreversible)이다. 이러한 비가역성은 두 과정 모두에서 엔트로피 증가를 유발하며, T-S 선도 상에서 과정선이 이상적인 수직선에서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실제 부품의 성능을 이상적인 부품과 비교하여 정량화하기 위해 등엔트로피 효율(Isentropic Efficiency, \eta_{isen}) 이라는 핵심 지표가 사용된다. 압축기 등엔트로피 효율 (\eta_c): 동일한 압력비(P_2/P_1)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이상적인(등엔트로피) 일에 대한 실제 일의 비율로 정의된다. 실제로는 더 많은 일이 필요하므로 효율은 항상 1보다 작다. 엔탈피(h)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etac = \frac{W{isen}}{W{actual}} = \frac{h{2s} – h1}{h{2a} – h_1} 여기서 아래첨자 s는 등엔트로피 과정을, a는 실제 과정을 의미한다. 효율이 낮다는 것은 동일한 압력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동력이 소모되고, 이 낭비된 일이 열로 변환되어 압축기 출구 온도가 이상적인 경우보다 더 높아짐을 의미한다. 터빈 등엔트로피 효율 (\eta_t): 동일한 압력 강하(P_3/P_4)에서 이상적인(등엔트로피) 일이 생산할 수 있는 양에 대한 실제 생산된 일의 비율로 정의된다. 비가역성으로 인해 실제 생산일은 이상적인 경우보다 항상 작다. \etat = \frac{W{actual}}{W_{isen}} = \frac{h3 – h{4a}}{h3 – h{4s}} 효율이 낮다는 것은 가스로부터 더 적은 일을 추출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터빈 출구 온도가 이상적인 경우보다 더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현대의 고성능 축류 압축기는 90-95% 범위의 폴리트로픽 효율(polytropic efficiency)을 달성할 수 있으며, 최신 설계에서는 94%에 가까운 값도 가능하다.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은 일반적으로 70-90% 범위에 있으며, 현대 발전용 가스터빈의 팽창기(expander)는 약 88% 수준의 효율을 보인다. 4.2. 시스템 내 압력 손실: 연소기와 배관의 역할 이상 브레이튼 사이클은 가열 과정이 일정한 압력(정압) 하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작동 유체가 연소기와 내부 배관을 흐르면서 마찰과 유동 교란, 그리고 연료 질량 추가 등으로 인해 압력 강하(\Delta P)가 발생한다. 이 압력 강하는 사이클에 직접적인 손실로 작용한다. 터빈 입구에서의 압력이 압축기 출구 압력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팽창 과정에서 추출할 수 있는 유효한 일이 감소하게 된다. 현대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압력 강하는 정압의 2%에서 8% 수준이며, 통상적으로 4-5% 범위에서 설계된다. 4.3. 성능 정량화: 열효율, 비출력, 그리고 역일비 실제 사이클의 성능은 다음과 같은 주요 지표로 평가된다. 열효율 (\eta_{th}): 총 공급된 열량에 대한 순수 출력일의 비율이다. 실제 사이클에서는 압축기와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그리고 시스템 내 압력 손실에 의해 이상 사이클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갖는다. 비출력 (Specific Power Output): 엔진을 통과하는 단위 질량의 공기 당 생산되는 순수 일의 양이다. 이 지표는 항공기와 같이 크기와 중량이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특히 중요하다. 역일비 (Back Work Ratio, BWR): 터빈이 생산한 총 일 중에서 압축기를 구동하는 데 소모되는 일의 비율(W_c / W_t)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가스터빈은 이 비율이 0.4에서 0.8 사이로 매우 높기 때문에, 부품 효율의 작은 변화가 순수 출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 사이클에서는 열효율을 최대로 만드는 최적의 압력비가 존재한다는 점이 이상 사이클과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이상 사이클에서는 압력비가 높을수록 효율이 계속 증가하지만, 실제 사이클에서는 압력비가 특정 지점을 넘어서면 부품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손실 증가가 압력비 상승에 따른 열역학적 이득을 상쇄하기 시작하여 오히려 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압력비가 증가할수록 압축기 출구 온도는 급격히 상승한다. 100%보다 낮은 효율(\etac < 1)을 가진 실제 압축기에서는 주어진 압력비를 만들기 위해 낭비된 일이 열로 전환되어 실제 출구 온도(T{2a})가 이상적인 온도(T_{2s})보다 훨씬 높아진다. 매우 높은 압력비에서는 이 비효율성으로 인한 손실이 막대해진다. 동시에 터빈 측에서도 비효율성(\eta_t < 1)으로 인해 가스로부터 일을 덜 추출하게 되어 배기 온도가 이상적인 경우보다 높아진다. 이 두 가지 효과가 결합되어, 열효율은 특정 압력비에서 정점을 찍고 그 이상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곡선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압력비를 무한정 높이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각 엔진의 설계 목표에 맞는 최적의 압력비를 찾는 것이 가스터빈 설계의 핵심적인 최적화 문제 중 하나이다. 제 5장: 성능 향상 전략 실제 사이클의 한계를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본 장에서는 시스템 내의 열과 일을 지능적으로 관리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도록 설계된 진보된 열역학 사이클들을 탐구한다. 재생, 재열, 중간냉각 기술에 초점을 맞춘다. 5.1. 재생 사이클: 폐열의 회수 원리: 재생(Regeneration) 또는 배열회수(Recuperation) 사이클은 재생기(regenerator) 또는 배열회수기(recuperator)라 불리는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터빈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가진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방식이다. 이 회수된 열은 압축기를 통과한 차가운 고압 공기를 연소기로 보내기 전에 미리 가열하는 데 사용된다. 메커니즘: 연소기 입구 공기를 예열함으로써, 목표하는 터빈 입구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연료의 양이 줄어든다. 이는 직접적으로 사이클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이어진다. 적용성: 이 방식은 터빈 배기 온도가 압축기 출구 온도보다 현저히 높은 저압력비(low pressure ratio) 운전 조건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압력비가 너무 높아지면 압축기 출구 온도가 터빈 배기 온도보다 높아져 열 교환이 불가능해지므로 재생 사이클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5.2. 재열 사이클: 터빈 출력의 증대 원리: 재열(Reheat) 사이클은 고온 가스를 두 개 이상의 터빈 단(stage)에서 나누어 팽창시키고, 각 단 사이에서 제2의 연소기(reheater)를 통해 가스를 다시 가열하는 방식이다. 메커니즘: 팽창 과정 중간에 열을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사이클 전체적으로 열이 공급되는 평균 온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는 터빈의 비출력(specific work output)을 크게 증가시킨다. 효율 영향: 재열 과정 자체는 더 많은 연료를 소모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열효율을 오히려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재열의 중요한 부수 효과는 최종 터빈 배기 온도를 크게 높인다는 점이다. 이 높은 배기 온도는 재생 사이클과 결합될 때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기반이 된다. 5.3. 중간냉각 사이클: 압축 일의 감소 원리: 중간냉각(Intercooling) 사이클은 공기를 두 개 이상의 압축기 단에서 나누어 압축하고, 각 단 사이에 열교환기(intercooler)를 설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방식이다. 메커니즘: 압축 중간에 공기를 냉각시키면 비체적이 감소하여, 다음 단의 압축에 필요한 일이 줄어든다. 이는 엔진의 역일비를 직접적으로 낮추어 순수 출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효율 영향: 재열과 마찬가지로, 중간냉각만 단독으로 적용하면 주 연소기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더 많은 연료를 필요로 하므로 열효율은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냉각은 최종 압축기 출구 온도를 현저히 낮추는 결정적인 장점을 가진다. 이 낮은 압축기 출구 온도는 재생 사이클의 열 회수 잠재력을 극대화한다. 5.4. 복합 사이클의 시너지: 재생, 재열, 중간냉각의 결합 이 세 가지 전략은 상호 보완적이며, 롤스로이스 WR-21 해상용 엔진과 같은 고성능 가스터빈에서는 효율과 비출력 모두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종종 함께 사용된다. 중간냉각과 재열 기술의 조합은 터빈 배기 온도와 압축기 출구 온도 사이의 차이를 최대로 만들어, 재생기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성능 향상 전략들은 열역학적으로 대칭적인 해법을 제시한다. 중간냉각과 재열은 각각 브레이튼 사이클의 두 가지 근본적인 과제, 즉 높은 압축 일과 제한적인 팽창 일을 직접적으로 해결한다. 그러나 이 기술들의 진정한 가치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가 아니라, 제3의 전략인 재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작동 유체의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때 발휘된다. 브레이튼 사이클의 핵심 문제는 높은 압축일(W_c)이며, 목표는 팽창일(W_t)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중간냉각은 압축 과정 중간에 가스를 냉각시켜 부피를 줄임으로써 두 번째 압축 단계에 필요한 일을 감소시켜 W_c 문제를 직접 공략한다. 그 대가는 더 차가운 압축기 출구 온도(T_2)로 인해 더 많은 연료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반면, 재열은 팽창 과정 중간에 열을 추가하여 가스를 더욱 팽창시킴으로써 두 번째 터빈 단이 더 많은 일을 추출하게 하여 W_t 문제를 해결한다. 이 역시 더 많은 연료 소모를 대가로 한다. 재생 기술은 폐열을 재활용하여 연료 소모 문제를 해결하며, 그 효율은 온도차(T_4 - T_2)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이 세 기술의 시너지가 발생한다. 중간냉각은 T_2를 낮추고, 재열은 T_4를 높인다. 따라서 중간냉각과 재열을 결합하면 재생기의 구동력인 온도차(T_4 - T_2)가 극적으로 커진다. 이는 재생기가 훨씬 더 많은 양의 폐열을 회수하여 중간냉각과 재열에 필요한 추가 연료 비용을 상쇄하고도 남게 만든다. 그 결과, ICR(Intercooled Recuperated) 사이클과 같은 복합 사이클은 단순 사이클에 비해 더 높은 비출력(중간냉각/재열 덕분에)과 더 높은 열효율(매우 효과적인 재생 덕분에)을 동시에 달성하게 된다. 이는 세 가지 개별 전략 사이에 존재하는 강력한 3차 상호 관계를 보여준다. 제 6장: 효율의 정점: 복합화력발전(CCGT) 시스템 본 장에서는 발전 분야에서 가스터빈이 구현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열역학 사이클을 결합하는 원리와 그 핵심 기술인 배열회수보일러(HRSG)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6.1. 열역학적 시너지: 브레이튼과 랭킨 사이클의 결합 복합화력발전소(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는 가스터빈(브레이튼 사이클)과 증기터빈(랭킨 사이클)을 결합한 발전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일종의 '바텀잉 사이클(bottoming cycle)' 개념을 활용한다. 고온 영역에서 작동하는 브레이튼 사이클이 '토핑 사이클(topping cycle)' 역할을 하고, 토핑 사이클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랭킨 사이클이 '바텀잉 사이클'로 작동하는 구조이다. 핵심 원리는 가스터빈에서 배출되는 600°C 이상의 고온 배기가스가 일반적인 증기터빈을 구동하기에 충분한 고압의 증기를 생성할 수 있을 만큼 뜨겁다는 점에 있다. 이처럼 단일 연료원을 사용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터빈에서 전력을 생산함으로써, 발전소의 전체 열효율은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6.2. 핵심 연결고리: 배열회수보일러(HRSG) 배열회수보일러(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HRSG)는 브레이튼 사이클과 랭킨 사이클을 연결하는 핵심 설비이다. HRSG는 가스터빈의 배기가스가 가진 막대한 열에너지를 포집하여 급수(feedwater)를 과열 증기(superheated steam)로 변환시키는 대형 열교환기이다. HRSG는 열 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세 가지 주요 섹션으로 구성된다. 절탄기 (Economizer): 급수를 예열하는 구간 증발기 (Evaporator): 예열된 물을 끓여 포화 증기(saturated steam)로 만드는 구간 과열기 (Superheater): 포화 증기를 포화 온도 이상으로 더욱 가열하여 건도 높은 과열 증기를 만드는 구간 최신 HRSG는 냉각되는 배기가스의 전 온도 영역에 걸쳐 증기 생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고압, 중압, 저압 증기 드럼을 각각 갖춘 다중 압력(multi-pressure) 시스템으로 설계되어 더욱 복잡하고 효율적이다. 6.3. 성능 영향과 현대 발전소의 효율 단순 사이클 가스터빈의 열효율이 33-43% 범위에 머무는 반면, CCGT 발전소는 50-60%를 넘어서는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현재 CCGT 효율의 세계 기록은 영국에 위치한 Keadby 2 발전소가 보유하고 있으며, 지멘스(Siemens)의 SGT5-9000HL 가스터빈을 사용하여 64.18%의 순효율을 달성했다. GE Vernova와 같은 다른 선도 제조업체들도 9HA와 같은 H-클래스 터빈을 통해 64% 이상의 검증된 복합화력 효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효율은 다른 어떤 형태의 화석연료 발전 방식보다 메가와트시(MWh)당 연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CCGT가 현대 에너지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이다. CCGT의 획기적인 효율 향상은 단순히 점진적인 개선이 아니라, 열역학적 전략의 근본적인 전환을 의미한다. 단일 사이클을 완벽하게 만드는 대신, CCGT는 고온의 열원(연소)과 브레이튼 사이클의 비교적 높은 온도의 열 방출 사이의 ‘열역학적 불일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단순 사이클 가스터빈은 매우 높은 온도(터빈 입구 T_3, 약 1500°C 이상)와 상당히 높은 방출 온도(배기 T4, 약 600°C) 사이에서 작동한다. 카르노 효율( \eta = 1 – T{cold} / T{hot} ) 관점에서 볼 때, 600°C에서 열을 방출하는 것은 막대한 양의 엑서지(exergy), 즉 유용한 일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의 파괴를 의미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랭킨(증기) 사이클이 완벽하게 들어맞는다. 랭킨 사이클은 브레이튼 사이클이 ‘폐열’로 간주하는 온도 영역에서 열을 흡수하여, 훨씬 낮은 온도(응축기 T{cold}, 약 15-30°C)에서 열을 방출한다. HRSG는 이 두 사이클을 잇는 열역학적 다리 역할을 하며, 랭킨 사이클이 브레이튼 사이클이 버릴 뻔했던 엑서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CCGT의 성공은 단순히 터빈을 하나 더 추가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작동 유체와 사이클을 각기 다른 온도 영역에 최적으로 배치하여 계단식(cascaded)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한 결과이다. 이를 통해 초기 연료 연소로부터 두 사이클이 각각 단독으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추출해낸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 원리를 성공적으로 응용한 강력한 사례이다. 제 7장: 가스터빈 설계 및 적용의 분류 본 장에서는 가스터빈을 설계 배경과 기계적 구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러한 차이점이 특정 응용 분야의 요구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한다. 7.1. 산업용 대 항공파생형 터빈: 설계 철학과 장단점 산업용(Industrial) 또는 중부하(Heavy-Duty) 가스터빈: 처음부터 지상 발전용으로 설계된 터빈이다. 크고 무거우며 견고한 구조가 특징이며, 기저부하(baseload) 운전에서의 고효율, 장기적인 내구성, 그리고 긴 정비 주기(예: 16,000시간 이상)에 최적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망 주파수에 동기화된 일정한 속도로 운전된다. 항공파생형(Aeroderivative) 가스터빈: 항공기 제트 엔진을 산업 및 해상용으로 개조한 것이다. 가볍고 컴팩트하며, 빠른 기동 및 정지, 부하 추종 능력과 같은 높은 운전 유연성을 제공한다. 성능은 종종 출력 대 중량비로 평가된다. 산업용 터빈에 비해 더 잦은 정비(예: 4,000시간)를 필요로 한다. 주요 차이점 요약: 설계: 산업용 터빈은 종종 단일 축 설계를 가지며, 배출가스 제어에 유리한 크기가 큰 캔(can) 타입 연소기를 사용한다. 항공파생형 터빈은 다축 구조이며, 더 컴팩트한 환형(annular) 연소기를 사용한다. 운전: 산업용 터빈은 일정한 속도의 기저부하 운전에서 최고의 효율을 보인다. 항공파생형 터빈은 운전 유연성이 뛰어나 첨두부하 발전이나 빠른 응답이 요구되는 분야에 더 적합하다. 7.2. 축 구성: 단일 축, 이중 축(분리 축) 및 그 운전 특성 단일 축 (Single-Shaft): 압축기, 터빈, 그리고 부하(예: 발전기)가 모두 하나의 공통된 축에 연결된 구조이다. 이 설계는 기저부하 발전과 같이 일정한 속도로 운전되는 응용 분야에 단순하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부하 속도가 변해야 하는 기계 구동 응용 분야에서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부분 부하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중 축 (Two-Shaft) 또는 분리 축 (Split-Shaft / Free Turbine): 이 설계는 기계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터빈 섹션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터빈(고압 터빈)은 압축기를 구동하여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를 형성한다. 두 번째 터빈(저압 또는 동력 터빈)은 별도의 축에 연결되어 최종 부하를 구동한다. 이중 축 설계의 운전상 이점: 이 구성은 부하 측의 속도와 관계없이 가스 발생기가 최적의 속도로 운전될 수 있게 한다. 이는 훨씬 뛰어난 운전 유연성, 우수한 부분 부하 효율, 그리고 저속에서 높은 토크를 제공하여 펌프나 압축기와 같은 기계 구동 및 해상 추진 분야에 이상적이다. 산업용과 항공파생형, 단일 축과 이중 축 설계 사이의 선택은 근본적으로 기저부하 효율과 운전 유연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다. 이 트레이드오프는 간헐적인 신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이 증가하는 현대 전력망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통적인 전력망은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가동되는 대규모 기저부하 발전소를 필요로 했다. 이러한 목적에는 CCGT 구성의 중부하, 단일 축 산업용 가스터빈이 최적이었다. 즉, 효율을 극대화하고 수명이 길며 MWh당 유지보수 비용이 낮았다. 그러나 태양광, 풍력과 같은 간헐적 신재생에너지의 부상은 새로운 전력망 요구사항을 만들어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불가능할 때 전력망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신속하게 기동하고, 출력을 빠르게 조절하며, 부분 부하에서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발전소가 필요해진 것이다. 항공기 엔진으로서의 유산 덕분에 가벼운 설계와 빠른 기동 능력을 갖춘 항공파생형 터빈은 이러한 ‘첨두부하’ 또는 ‘계통 안정화(grid firming)’ 역할에 완벽하게 부합한다. 마찬가지로, 부하가 변동하는 동안에도 가스 발생기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중 축 설계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전력망의 변동성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에너지 믹스는 순수한 기저부하 최적화 기계에서 더 유연한 설계로 경제적 및 운영상의 가치 제안을 이동시키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가스터빈 기술 선택 및 시장 예측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 관계를 형성한다. 제 8장: 재료 과학의 최전선: 더 높은 온도를 향하여 본 장에서는 가스터빈의 효율과 출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터빈 입구 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을 가능하게 한 핵심 재료 및 열관리 기술을 탐구한다. 8.1. 초합금: 고온부의 중추 정의: 초합금(Superalloy)은 니켈, 코발트, 철 등을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합금으로, 자신의 녹는점에 매우 가까운 고온에서도 기계적 강도, 크리프(creep) 저항성, 산화 저항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감마(\gamma) 및 감마 프라임(\gamma’)상의 역할: 니켈 기반 초합금의 뛰어난 고온 강도는 독특한 2상 미세구조에서 비롯된다. 감마(\gamma)상: 합금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연성(ductile)이 좋은 면심입방(FCC) 구조의 기지(matrix)이다. 감마 프라임(\gamma’)상: 감마 기지와 정합(coherent) 관계를 이루는 규칙적인 금속간 화합물(Ni_3(Al,Ti)) 석출물이다. 이 입방체 형태의 석출물들은 고온에서 전위(dislocation)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해하여 합금에 놀라운 크리프 저항성을 부여한다. 제조: 현대의 고성능 터빈 블레이드는 고온에서 크리프와 피로 파괴의 시작점이 되는 결정립계(grain boundary)를 아예 없애기 위해 단결정(single crystal)으로 주조되는 경우가 많다. 8.2. 세라믹 매트릭스 복합재료(CMC): 차세대 고온 소재 정의: 세라믹 매트릭스 복합재료(Ceramic Matrix Composites, CMC)는 탄화규소(SiC)와 같은 세라믹 섬유를 세라믹 기지(matrix)에 내장하고, 섬유와 기지 계면에 질화붕소(BN) 같은 보호 코팅을 적용한 재료이다. 초합금 대비 장점: CMC는 성능 면에서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제공한다. 더 높은 내열성: 최고의 초합금보다 섭씨 150-200도 더 높은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다. 가벼운 무게: 금속 부품의 약 3분의 1 무게에 불과하다. 냉각 공기 요구량 감소: 높은 내열성 덕분에 부품을 냉각시키는 데 필요한 공기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엔진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적용: CMC는 연소기 라이너, 슈라우드, 노즐 등 현대 가스터빈의 가장 뜨거운 부분에 도입되고 있으며, 터빈 블레이드 자체에 적용하는 것이 다음 목표이다. 8.3. 첨단 열관리: 터빈 블레이드 냉각 기술 심층 분석 현대의 터빈 블레이드는 합금의 녹는점보다 더 뜨거운 가스 환경에서 작동한다. 이는 압축기에서 추출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이용한 정교한 내·외부 냉각 기술 덕분에 가능하다. 내부 냉각 (Internal Cooling): 서펜타인 유로 (Serpentine Passages): 블레이드 내부에 뱀처럼 구불구불한 복잡한 유로를 만들어 냉각 공기를 흐르게 한다. 유로 벽면에는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해 종종 돌기(rib turbulator)가 설치된다. 충돌 냉각 (Impingement Cooling): 블레이드의 앞전(leading edge)과 같이 열 부하가 매우 높은 영역의 내벽에 고속의 냉각 공기 제트를 직접 분사하여 효과적으로 열을 제거한다. 외부 냉각 (External Cooling) – 막 냉각 (Film Cooling): 내부 유로를 통과한 냉각 공기는 블레이드 표면에 정밀하게 가공된 수많은 작은 구멍을 통해 분출된다. 이 공기는 블레이드 표면을 따라 흐르며 얇은 단열 막을 형성하여, 뜨거운 연소 가스로부터 금속 표면을 보호한다. 8.4. 적층 제조 기술이 복잡한 냉각 구조에 미치는 영향 설계의 자유: 3D 프린팅으로도 알려진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은 전통적인 주조나 가공 방식으로는 제작이 불가능했던 매우 복잡한 내부 냉각 구조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에어포일의 곡면을 정확히 따라가는 일체형 냉각 유로(conformal cooling channel) 제작이 가능하다. 과제: 적층 제조 공정은 제작 방향이나 형상 크기에 따라 표면 거칠기나 형상 편차와 같은 새로운 변수를 도입한다. 이러한 표면 거칠기는 대류 열전달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동시에 냉각 유로 내의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는 부정적인 효과도 있어, 신중하게 관리해야 할 새로운 설계 변수가 된다. 현대 가스터빈의 성능은 단일 기술이 아닌, 재료 과학, 열전달 공학, 제조 공정 간의 복잡하고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한 분야의 발전은 다른 분야의 발전을 위한 기회와 필요성을 동시에 창출한다. 더 높은 효율을 위한 근본적인 동인은 더 높은 터빈 입구 온도(TIT)이다. TIT의 증가는 기존 초합금을 녹는점에 더 가깝게 밀어붙여, 단결정 블레이드와 같이 더 나은 크리프 저항성을 가진 새로운 합금 개발을 요구한다. 더 나은 합금으로도 TIT가 재료의 융점을 초과하게 되면서, 금속을 생존 가능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정교한 냉각 기술(내부 유로, 막 냉각)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냉각 채널의 복잡성은 전통적인 제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기 시작했고, 이는 새로운 제조 기술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 적층 제조(AM)는 냉각 구조 설계에 전례 없는 자유를 제공하는 해결책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AM 자체는 표면 거칠기, 공차 등 열전달과 압력 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과제를 도입하여, 새로운 차원의 특성화 및 설계 최적화를 요구한다. 동시에, 훨씬 더 높은 TIT를 추구하면서 가장 뜨거운 부품에서 초합금을 CMC로 대체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다시 냉각 요구사항과 제조 고려사항을 변화시킨다. 이는 더 높은 TIT(목표) → 더 나은 재료 → 더 복잡한 냉각 → 첨단 제조 → 새로운 설계 과제 → 더 높은 TIT(달성)로 이어지는 순환적이고 시너지적인 개발 경로를 보여준다. 이 반복적인 고리가 바로 가스터빈 혁신의 원동력이다. 제 9장: 가스터빈의 미래: 탈탄소화와 대체 연료 본 장에서는 탈탄소화에 집중하는 세계적 흐름 속에서 가스터빈의 변화하는 역할을 검토한다. 수소와 암모니아를 연료로 활용하는 데 따르는 기술적 과제와 진전 상황을 분석하고, 신재생에너지와 공존하며 전력망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가스터빈의 핵심적인 기능을 논의한다. 9.1. 수소라는 과제: 연소 동역학, NOx 생성, 그리고 기술 성숙도 동기: 수소(H_2)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연료로서, 가스터빈 발전을 탈탄소화할 핵심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적 과제: 수소는 천연가스와 매우 다른 연소 특성을 가져 상당한 공학적 난제를 제기한다. 높은 화염 속도와 역화(Flashback): 수소는 매우 빠르게 연소하여, 화염이 연소기 상류의 연료 분사기로 역행하는 ‘역화’ 현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높은 화염 온도와 NOx 생성: 수소는 더 높은 온도에서 연소하므로, 첨단 희박 예혼합(lean-premix) 연소기나 희석(dilution) 기술 없이는 열적 질소산화물(Thermal NOx) 배출량이 급증할 수 있다. 자연발화 및 열음향 불안정성: 수소는 가연 범위가 넓고 점화 에너지가 낮아, 의도치 않은 자연발화나 연소 불안정(열음향 진동) 현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산업계 동향: 지멘스 에너지, 미쓰비시 파워, GE Vernova 등 주요 OEM들은 수소 터빈 개발 및 상용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재 기술 수준은 부피 기준 30-75%의 수소 혼소를 지원하며, 2030-2035년까지 100% 수소 전소를 목표로 하는 명확한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9.2. 운반체로서의 암모니아: 연소 전략과 장애물 동기: 암모니아(NH_3)는 그 자체로 무탄소 연료일 뿐만 아니라, 저장과 운송이 어려운 수소를 위한 고밀도의 안정적인 운반체(carrier)로서의 가능성 때문에 연구되고 있다. 기술적 과제: 암모니아는 고유의 연소 문제를 안고 있다. 어려운 점화: 암모니아는 점화 특성이 나쁘고 화염 속도가 느려, 안정적인 연소를 유지하기 위해 천연가스나 수소 같은 보조 연료(pilot fuel)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NOx 생성: 암모니아 분자 자체에 질소(N)가 포함되어 있어, 적절히 제어되지 않으면 연료 기인 질소산화물(Fuel NOx)이 다량 생성될 수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은 연료 과농 상태의 1차 연소 후 희박 상태의 2차 연소를 진행하는 2단 연소 방식이다. 직접 연소 대 분해(Cracking): 암모니아를 직접 연소하는 방식과, 연소 전에 수소와 질소로 분해(‘크래킹’)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터빈의 폐열을 크래킹 공정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 전체 사이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9.3. 신재생에너지 중심 전력망에서의 가스터빈 역할 전력망 안정성의 과제: 풍력, 태양광과 같은 간헐적 신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증기터빈이나 기저부하 가스터빈과 같은 대형 회전기가 제공하던 고유의 관성(inertia)이 전력망에서 감소하고 있다. 이는 전력망을 주파수 변동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안정화 장치로서의 가스터빈: 특히 항공파생형 및 최신 H-클래스 가스터빈은 필수적인 보조 서비스(ancillary services)를 제공함으로써 전력망 안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빠른 출력 증감발(Fast Ramping):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급격한 감소나 수요 급증에 대응하여 매우 신속하게 기동하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 지멘스 SGT5-9000HL은 분당 85 MW의 출력 증감률을 가짐).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전력망의 주파수를 좁은 운영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출력을 빠르게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유연한 운전(Flexible Operation): 전통적인 증기 발전소에는 비효율적이고 손상을 유발하는 잦은 기동/정지 및 저부하 운전(turndown)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첨두부하 발전소(Peaker Plant)로서의 활용: 이러한 유연성은 가스터빈을 전력 수요가 최고조에 달할 때만 가동되는 ‘피커 플랜트’로 활용하기에 이상적으로 만들며,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시스템에 신뢰성 높은 백업을 제공한다. 탈탄소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은 가스터빈에 역설적인 역학 관계를 만들어내고 있다. 주력 에너지원으로서의 장기적인 역할은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도전을 받지만, 전력망 유연성과 신뢰성의 공급자로서의 단기적 가치는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가스터빈의 주요 기능을 ‘기저부하 에너지 생산자’에서 ‘전력망 안정성 확보 장치’로 재정의하고 있다. 정부와 전력회사가 신재생에너지원의 대규모 확대를 의무화함에 따라 , 태양광 및 풍력과 같은 비급전(non-dispatchable) 및 간헐적 에너지원은 전력 공급의 변동성을 야기한다. 전력망 운영자는 안정성(주파수 및 전압)을 보장하기 위해 공급과 수요의 실시간 균형을 완벽하게 유지해야 한다. 석탄 및 원자력 발전소의 퇴역은 동기 관성(synchronous inertia)의 원천을 제거하여 주파수 변화에 대한 전력망의 자연적인 저항력을 약화시킨다. 이는 수요에 따라 빠르고 유연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자산, 즉 보조 서비스 시장의 가치를 높인다. 가스터빈은 빠른 기동 시간과 높은 출력 증감률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 증기 발전소보다 기술적으로 우월하다. 따라서 전력망에 신재생에너지가 더 많이 추가될수록 유연한 가스터빈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진다. 이는 탈탄소화 시대에도 불구하고 2030년 이후까지 가스터빈 시장이 견고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이며, 연구개발이 유연성(운전 사이클 능력)과 연료 적응성(수소) 향상에 집중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제 10장: 동력 기관의 비교 분석 본 장에서는 대규모 동력 및 추진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열기관을 직접적이고 다각적으로 비교하여, 각각의 상대적인 강점과 약점을 명확한 평가 틀 안에서 종합한다. 10.1. 가스터빈 대 증기터빈 대 디젤엔진: 다각적 비교 이 세 가지 엔진은 여러 핵심 지표에 걸쳐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각기 다른 응용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다. 열효율 (Thermal Efficiency): 디젤엔진: 단순 사이클 효율이 가장 높아 통상 40-50%에 달한다. 증기터빈: 단독 효율은 35-40% 수준으로 높으며, 대규모의 복잡한 발전소에서는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가스터빈: 단순 사이클 효율은 28-43%로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복합화력(CCGT) 구성에서는 가장 효율적인 동력원으로, 최신 기술은 64%를 초과하는 효율을 기록한다. 출력 대 중량비 (Power-to-Weight Ratio / Power Density): 가스터빈: 압도적으로 높다. 작고 가벼운 엔진으로 막대한 출력을 낼 수 있어 항공 분야를 지배하고 해군 함정에도 유리하다. 디젤엔진: 현저히 낮다. 동일 출력을 내는 디젤엔진은 훨씬 크고 무겁다. 증기터빈: 출력 밀도가 가장 낮다. 터빈 자체 외에도 거대한 보일러와 복수기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동 시간 (Startup Time): 디젤엔진: 매우 빠르다. 수 초에서 수 분 내에 전력 생산이 가능하여 비상 발전용으로 이상적이다. 가스터빈: 빠르다. 종류에 따라 5분에서 30분 내에 기동하여 최대 부하에 도달할 수 있어, 첨두부하 발전 및 전력망 안정화에 매우 적합하다. 증기터빈: 매우 느리다. 보일러를 가열하고, 증기 시스템의 압력을 높이며, 거대한 터빈 로터를 열충격 없이 서서히 예열하는 데 수 시간이 소요된다. 연료 유연성 (Fuel Flexibility): 증기터빈: 가장 유연하다. 열원이 외부에 있으므로 석탄, 천연가스, 바이오매스, 원자력 등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디젤엔진: 정제된 액체 연료(경유)가 필요하다. 가스터빈: 전통적으로 천연가스나 고품질 액체 연료(등유, 경유)를 사용한다. 최신 설계는 수소, 암모니아 등 다양한 대체 연료를 사용하도록 개조되고 있다. 유지보수 및 신뢰성 (Maintenance and Reliability): 가스터빈: 디젤엔진보다 움직이는 부품이 적어 신뢰성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경향이 있다. 특히 디젤엔진이 다량의 윤활유를 소모하는 것과 대조된다. 그러나 고온부 부품은 주기적이고 값비싼 정밀검사(overhaul)가 필요하다. 디젤엔진: 왕복운동 부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하며, 오일 교환 등 더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증기터빈: 가스터빈보다 낮은 온도와 압력에서 작동하고 회전 기계 구조가 단순하여 일반적으로 신뢰성이 매우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낮다. 초기 투자 비용 (Capital Cost): 디젤엔진: 소규모 출력에서는 일반적으로 초기 투자 비용이 가장 낮다. 가스터빈: 동일 출력의 디젤엔진보다 초기 비용이 높다. 단순 사이클 발전소는 증기 또는 복합화력 발전소보다 저렴하다. 증기터빈: 대규모 보일러, 복수기 및 관련 인프라가 필요하여 초기 투자 비용이 높다. 이러한 복잡한 비교를 명확히 하기 위해, 아래 표는 주요 열기관의 성능을 요약하여 보여준다. 이 표는 다양한 자료에서 언급된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를 종합하여, 사용자가 각 동력원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었다. 표 10.1: 주요 열기관의 성능 비교 제 11장: 특수 응용 심층 분석: 해군 추진 시스템 본 마지막 기술 분석 장에서는 가장 까다로운 환경 중 하나인 현대 군함에서의 가스터빈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해상에서의 역사적 채택 과정, 독특한 운용 요구사항, 그리고 가스터빈이 가능하게 한 복잡한 추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11.1. 해상에서의 가스터빈 역사 가스터빈을 해상 추진에 도입한 선구자는 영국 해군이었다. 1947년 어뢰정 MGB 2009호를 개조하여 최초로 가스터빈을 탑재했으며, 1953년에는 증기 포정 HMS Grey Goose호를 100% 가스터빈 동력함으로 전환하여 운용했다. 1960년대부터는 증기터빈을 대체하며 호위함과 구축함의 표준 동력원으로 자리 잡았고, 초기에는 증기터빈과 가스터빈을 함께 사용하는 COSAG(Combined Steam and Gas) 방식에서 점차 순수 가스터빈 추진 방식(COGOG/COGAG)으로 발전했다. 11.2. 복합 추진 시스템: CODAG, COGAS, 그리고 통합전기추진(IEP) 군함은 저속 순항부터 고속 전투 기동까지 넓은 범위의 운항 프로파일을 가지므로, 전 구간에서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하이브리드 추진 방식을 사용한다. CODAG (Combined Diesel and Gas): 효율적인 순항을 위해 디젤엔진을 사용하고, 고속 기동 시에는 가스터빈을 추가로 가동하여 두 동력원을 복잡한 기어박스를 통해 동시에 축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COGAS (Combined Gas and Steam): 발전용 CCGT의 해상 버전으로, 가스터빈의 배기가스 폐열로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을 구동함으로써 전체 연료 효율을 높인다. 이는 별도의 보일러를 사용하는 COSAG 방식과 구별된다. IEP (Integrated Electric Propulsion): 가스터빈이나 디젤엔진과 같은 주 동력원이 프로펠러를 직접 구동하지 않고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이 전력은 함정 전체의 전력망에 공급되며, 이 전력망이 추진용 전동기와 무기, 센서 등 다른 모든 함정 시스템에 동력을 공급한다. 미 해군의 줌왈트급(Zumwalt-class) 구축함(DDG-1000)은 IEP 구조의 대표적인 예이다. 11.3. 군사적 요구사항 충족: 충격 저항성 및 음향 신호 관리 충격 저항성 (MIL-S-901D): 해군 함정의 장비는 수중 폭발로 인한 극심한 기계적 충격을 견뎌야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미 군사 규격인 MIL-S-901D가 적용된다. 이 규격은 장비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Grade A: 전투 필수 장비, Grade B: 비필수 장비)을 나누고, 중량에 따라 경량, 중량, 대중량급 시험을 명시한다. 특히 대중량급 시험은 실제 바지선에 장비를 탑재하고 근거리 수중에서 폭약을 터뜨려 생존성을 확인하는 혹독한 절차를 포함한다. 음향 신호 관리 (Acoustic Signature Management): 스텔스 성능을 위해 군함은 수중으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소화해야 한다. 음향 신호의 주요 원인은 기계류 소음, 프로펠러 공동현상(cavitation) 소음, 유체역학적 소음 등이다. 가스터빈은 왕복운동이 없어 디젤엔진보다 구조 기인 소음(structure-borne noise)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흡배기구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공기 기인 소음(airborne noise)이 크기 때문에 정교한 소음기(silencer)와 음향 차폐 격납(acoustic enclosure)이 필수적이다. 해상 추진 시스템의 진화는 단순히 기계적 구동 방식에서 복잡한 통합전기추진(IEP) 시스템으로의 변화를 넘어선다. 이는 현대 전투 시스템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전력 요구량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이다. 첨단 레이더, 지향성 에너지 무기, 레일건과 같은 미래 무기 체계는 막대한 양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IEP는 동력 생성과 추진을 분리함으로써, 함정 전체에 유연한 에너지 그리드를 구축하고, 가장 필요한 곳에 막대한 전력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전통적인 직접 구동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한 기능이다. 초기 가스터빈 함정들은 엔진이 기어박스를 통해 프로펠러 축에 직접 연결되는 기계식 구동 방식(COGOG, CODAG)을 사용했다. 함정의 전기 시스템은 별개의 소규모 시스템이었다. 그러나 최신 군함은 SPY-3와 같은 강력한 위상 배열 레이더, 복잡한 컴퓨팅 시스템, 그리고 고에너지 무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들은 메가와트급의 깨끗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요구한다. 기계식 구동 시스템은 이러한 수준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없다. IEP는 줌왈트급 구축함의 롤스로이스 MT30 가스터빈 두 기가 약 78 MW의 전력을 생산하는 것처럼, 오직 전기만을 생산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 전력은 함정의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전술적 상황에 따라 추진 모터나 무기 및 센서 시스템으로 유연하게 라우팅될 수 있다. 따라서 IEP로의 전환은 단순한 추진 방식의 변화가 아니라, 21세기 해전의 물리 및 전력 요구사항에 의해 추동된 군함 설계의 근본적인 아키텍처 변화이다. 그리고 높은 출력 밀도를 가진 가스터빈은 이 아키텍처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다. 표 11.1: 주요 해상용 가스터빈 제원 아래 표는 현대 군함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해상용 가스터빈의 제원을 비교하여 실제 하드웨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이론적 개념을 실제 응용 사례와 연결하는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제 12장: 결론: 가스터빈의 지속적이고 진화하는 역할 본 보고서는 가스터빈의 기본 원리부터 최첨단 기술 동향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인 분석을 제공했다. 이제 핵심 원리와 이론을 종합하고, 미래 에너지 환경 속에서 가스터빈이 나아갈 방향을 전망하며 결론을 맺는다. 12.1. 핵심 원리 및 이론의 종합 가스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터빈이라는 세 가지 핵심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열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연속 연소 열기관이다. 그 작동은 열역학적으로 브레이튼 사이클에 의해 이상적으로 모델링되지만, 실제 성능은 압축기와 터빈의 등엔트로피 효율, 연소기에서의 압력 손실과 같은 비가역적 요인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가스터빈 기술 발전의 역사는 터빈 입구 온도를 높여 열효율과 비출력을 향상시키려는 끊임없는 노력의 과정이었다. 이는 초합금, 세라믹 매트릭스 복합재료와 같은 첨단 소재의 개발과, 서펜타인 유로 및 막 냉각과 같은 정교한 열관리 기술의 발전을 통해 가능해졌다. 또한, 재생, 재열, 중간냉각과 같은 진보된 열역학 사이클의 적용과, 브레이튼 사이클과 랭킨 사이클을 결합한 복합화력발전 시스템은 가스터빈의 효율을 극한까지 끌어올렸다. 12.2. 미래 전망 및 연구 방향 미래 에너지 지형에서 가스터빈은 이중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으로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망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유연성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다. 빠른 기동성과 높은 출력 증감률은 가스터빈을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 시스템에서 대체 불가능한 파트너로 만든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스터빈 자체의 탈탄소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집중될 것이다. 대체 연료 연소 기술: 수소 및 암모니아와 같은 무탄소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면서 질소산화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저공해 연소 기술의 개발이 최우선 과제이다. 효율 향상: 첨단 소재, 적층 제조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냉각 구조 설계, 그리고 초임계 이산화탄소(sCO_2) 브레이튼 사이클과 같은 차세대 사이클 연구를 통해 효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디지털화 및 최적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예측 정비, 운전 최적화, 그리고 보조 서비스 시장 참여 극대화를 위한 디지털 솔루션의 고도화가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가스터빈은 단순한 동력원을 넘어, 에너지 전환 시대의 복잡한 요구에 부응하며 끊임없이 진화하는 정교한 기술 시스템이다. 그 역할은 변화하겠지만, 항공, 발전, 해상 분야에서 가스터빈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다. 참고 자료

  1. 가스 터빈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A%B0%80%EC%8A%A4%20%ED%84%B0%EB%B9%88 2.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Gas Turbines – Life Cyle Power, https://lifecyclepower.com/everything-you-need-to-know-about-gas-turbines/ 3. Open-cycle gas turbines (2022) | Ipieca, https://www.ipieca.org/resources/energy-efficiency-compendium/open-cycle-gas-turbines-2022 4. 가스터빈기술, https://daehan21.com/service/download.asp?bno=6661&file_int=1283&category=juggler 5. 가스 터빈에 대한 간략한 소개 – 지식, https://ko.yanturbo.com/info/a-brief-introduction-of-gas-turbine-89733534.html 6. Gas turbin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as_turbine 7. How The 4 Types Of Turbine Engines Work | Boldmethod, https://www.boldmethod.com/learn-to-fly/systems/the-4-types-of-turbine-engines/ 8. Types of Gas Turbines, https://www.grc.nasa.gov/www/k-12/airplane/trbtyp.html 9. 가스 터빈(gas turbine 또는 combustion turbine) – 법고창신 한국인 – 오디오와 컴퓨터, https://m.cafe.daum.net/kis0901/RdsI/1463?listURI=%2Fkis0901%2FRdsI 10. [항공 지식] 가스터빈엔진의 구조와 원리는, https://aviation-team.tistory.com/86 11. Brayton Cycle, http://www.mhtlab.uwaterloo.ca/courses/me354/lectures/pdffiles/web7.pdf 12. 터빈(Turbine) – YouTube, 13. 터빈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84%B0%EB%B9%88 14. [구술대비 #35] 가스터빈엔진

    2> (흡입 및 공기흐름 계통, Exhaust 및 reverser 시스템, 세척과 방부처리 절차, 보조동력장치계통(APU)의 기능과 작동) – GOOD VIBES MAG, https://d-ley.tistory.com/41 15. Notes on Thermodynamics, Fluid Mechanics, and Gas Dynamics 3.8 …, https://engineering.purdue.edu/~wassgren/teaching/ME20000/NotesAndReading/Lec39_Reading_Wassgren.pdf 16. Brayton cycl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Brayton_cycle 17. Brayton Cycle – Chemistry LibreTexts, https://chem.libretexts.org/Bookshelves/Physical_and_Theoretical_Chemistry_Textbook_Maps/Supplemental_Modules_(Physical_and_Theoretical_Chemistry)/Thermodynamics/Thermodynamic_Cycles/Brayton_Cycle 18. brayton power cycle experiment objective – Turbine Technologies, https://www.turbinetechnologies.com/educational-lab-products/turbojet-engine-lab/brayton-cycle-experiment-jet-engine 19. [열역학] 9.5 브레이튼사이클( Brayton cycle) – 가스터빈 사이클 – 강의자료 PDF파일 제공, https://www.scribd.com/document/852043056/%EC%97%B4%EC%97%AD%ED%95%99-9-5-%EB%B8%8C%EB%A0%88%EC%9D%B4%ED%8A%BC%EC%82%AC%EC%9D%B4%ED%81%B4-Brayton-cycle-%EA%B0%80%EC%8A%A4%ED%84%B0%EB%B9%88-%EC%82%AC%EC%9D%B4%ED%81%B4-%EA%B0%95%EC%9D%98%EC%9E%90%EB%A3%8C-PDF%ED%8C%8C%EC%9D%BC-%EC%A0%9C%EA%B3%B5 20. Brayton Cycle – Process, PV Diagram and TS Diagram – eeeguide.com, https://www.eeeguide.com/brayton-cycle-process-pv-diagram-and-ts-diagram/ 21. Mastering Brayton Cycle: Ultimate Guide – Number Analytics, https://www.numberanalytics.com/blog/ultimate-guide-to-brayton-cycle 22. Air standard Brayton cycle, https://home.iitk.ac.in/~suller/lectures/lec29a.htm 23. [열역학]5장. 사이클, 증기 – 발전인간 – 티스토리, https://developman.tistory.com/34 24. Turbine Engine Thermodynamic Cycle – Brayton Cycle, https://www.grc.nasa.gov/www/k-12/airplane/brayton.html 25. Brayton Cycle – pV – Ts Diagram – Nuclear Power, https://www.nuclear-power.com/nuclear-engineering/thermodynamics/thermodynamic-cycles/brayton-cycle-gas-turbine-engine/brayton-cycle-pv-ts-diagram/ 26. Brayton Cycle | Efficiency, P-V & T-S Diagrams | Heat & Work Table – ClubTechnical, https://clubtechnical.com/brayton-cycle 27. 브레이턴사이클ts선도, https://www.dollsdream.co.kr/%EB%B8%8C%EB%A0%88%EC%9D%B4%ED%84%B4%EC%82%AC%EC%9D%B4%ED%81%B4ts%EC%84%A0%EB%8F%84 28. Closed-cycle gas turbin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losed-cycle_gas_turbine 29. Gas turbine cycle (open and closed gas turbine cycle) – SlideShare, https://www.slideshare.net/slideshow/gas-turbine-cycle-open-and-closed-gas-turbine-cycle/60384205 30. Comparison Between The Open Cycle And Closed Cycle Gas Turbine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5yGP8-sneKI 31. Brayton cycle and its variations | Thermodynamics I Class Notes …, https://library.fiveable.me/thermodynamics-i/unit-9/brayton-cycle-variations/study-guide/ft4pz9SEUcK3F79o 32. GAS TURBINE COMBUSTORS:, https://www.uobabylon.edu.iq/eprints/publication_7_967_310.pdf 33. 2.0-1 Introduction Axial-Flow Compressors Meherwan P. Boyce, https://www.netl.doe.gov/sites/default/files/gas-turbine-handbook/2-0.pdf 34. SGT5-9000HL Heavy-duty gas turbine (50 Hz) – Siemens Energy, https://www.siemens-energy.com/global/en/home/products-services/product/sgt5-9000hl.html 35. (PDF) Detailed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turbine and compressor isentropic efficiency on the thermal and exergy efficiency of a Brayton cycl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0463218_Detailed_analysis_of_the_effect_of_the_turbine_and_compressor_isentropic_efficiency_on_the_thermal_and_exergy_efficiency_of_a_Brayton_cycle 36. Compressor Thermodynamics, https://www.grc.nasa.gov/www/k-12/VirtualAero/BottleRocket/airplane/compth.html 37. Power Turbine Thermodynamics, https://www.grc.nasa.gov/www/k-12/airplane/powtrbth.html 38. Compressor Aero* (Chapter 11) – Gas Turbines for Electric Power Gener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www.cambridge.org/core/books/gas-turbines-for-electric-power-generation/compressor-aero/BEDD4DB3CCFE2A789D2E205CFFF50B92 39. Axial compressor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Axial_compressor 40. www.nuclear-power.com, https://www.nuclear-power.com/nuclear-engineering/thermodynamics/thermodynamic-processes/isentropic-process/isentropic-efficiency-turbinecompressornozzle/#:~:text=These%20parameters%20describe%20how%20efficiently,0.9%20(70%E2%80%9390%25). 41. Isentropic Efficiency – Turbine/Compressor/Nozzle | nuclear-power.com, https://www.nuclear-power.com/nuclear-engineering/thermodynamics/thermodynamic-processes/isentropic-process/isentropic-efficiency-turbinecompressornozzle/ 42. Module 3. Gas Turbine Power Cycles – Brayton Cycle, http://paws.kettering.edu/orgs/pbl/module3.pdf 43. 가스터빈의 성능과 구조(1) – Daum, http://cfile236.uf.daum.net/attach/153F130B4988EDCF76504B 44. www.researchgate.net,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mbustor-pressure-drop-measurements-at-two-reference-velocity-conditions_fig2_228665957#:~:text=gas%20turbine%20combustor%20pressure%20drops,to%20200%20feet%20per%20second. 45. Combustor pressure drop measurements at two reference velocity condition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mbustor-pressure-drop-measurements-at-two-reference-velocity-conditions_fig2_228665957 46. Efficiency of Gas Turbines – Petrotech | Control Systems Solutions, https://petrotechinc.com/efficiency-of-gas-turbines/ 47. A Sensitivity Study of Brayton Cycle Power Plant Performance – OSTI, https://www.osti.gov/servlets/purl/6865714 48. 【열역학】 9강. 기체동력사이클 – 정빈이의 공부방 – 티스토리, https://nate9389.tistory.com/1584 49. Brayton Cycle with Reheat, Regeneration and Intercooling, https://www.nuclear-power.com/nuclear-engineering/thermodynamics/thermodynamic-cycles/brayton-cycle-gas-turbine-engine/brayton-cycle-with-reheat-regeneration-and-intercooling/ 50. Thermodynamics and Performance Projections for Intercooled/Reheat/Recuperated Gas Turbine Systems,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T/proceedings-pdf/GT1987/79245/V002T03A004/2397135/v002t03a004-87-gt-108.pdf 51. 온도 제한 사이클 – 에너지변환특론,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chungnam/parksuhan/5.pdf 52. Intercooled and reheat recuperative-cycle. the recuperator effectiveness now become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ntercooled-and-reheat-recuperative-cycle-the-recuperator-effectiveness-now-becomes_fig8_336212558 53. ENSC 461 Tutorial, Week#6 Brayton Cycle with Intercooling, Reheat & Regeneration A regenerative gas turbine with intercooli, https://www.sfu.ca/~mbahrami/ENSC%20461/Tutorials/T5/T5.pdf 54. WR-21, https://www.tfd.chalmers.se/~thgr/gasturbiner/Material_for_generating_slides/html_documents/WR-21.htm 55. Rolls-Royce WR-21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Rolls-Royce_WR-21 56. The WR-21 Intercooled Recuperated Gas Turbine Engine – Integration Into Future Warships, https://nippon.zaidan.info/seikabutsu/2003/00916/pdf/igtc2003tokyo_os203.pdf 57. Combined cycle power plant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ombined_cycle_power_plant 58. 발전 산업의 복합 사이클 발전소 | KROHNE 한국, https://www.krohne.com/ko-kr/industries/power-generation-industry/combined-cycle-power-plants-power-generation-industry 59. 4.2.2.2-1 Introduction Enhanced Internal Cooling of Turbine Blades and Vanes Lesley M. Wright Je-Chin Han –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https://netl.doe.gov/sites/default/files/gas-turbine-handbook/4-2-2-2.pdf 60. An Overview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 – Electrical Engineering Portal, https://electrical-engineering-portal.com/an-overview-of-combined-cycle-power-plant 61. Combined-cycle gas turbines (2022) – Ipieca, https://www.ipieca.org/resources/energy-efficiency-compendium/combined-cycle-gas-turbines-2022 62. Combined Cycle Power Plants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gas-power/resources/education/combined-cycle-power-plants 63. How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Works – Tennessee Valley Authority, https://tva.com/energy/our-power-system/natural-gas/how-a-combined-cycle-power-plant-works 64. renewableenergyfollowers.org,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3011#:~:text=HRSG%20(Heat%20Recovery%20Steam%20Generator,%ED%99%94%EB%A0%A5%EB%B0%9C%EC%A0%84%EC%86%8C%EC%9D%98%20%ED%95%B5%EC%8B%AC%EC%84%A4%EB%B9%84. 65. H.R.S.G. – SNT 에너지, https://www.hisnt.com/kor/business/hrsg.html 66. 친환경 에너지 – GSEPS, https://www.gseps.com/contents.php?pno=135?mid=17 67.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HRSG) – Mitsubishi Power, https://power.mhi.com/products/boilers/lineup/hrsg 68. power.mhi.com, https://power.mhi.com/products/boilers/lineup/hrsg#:~:text=An%20HRSG%20is%20a%20kind,a%20power%2Dgenerating%20steam%20turbine. 69. How Do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Work? – Infographic | 360training, https://www.360training.com/blog/how-do-heat-recovery-steam-generators-work 70.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Heat_recovery_steam_generator 71.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s (HRSGs) in Combined Cycle Plants – Ansgar Industrial, https://www.ansgarindustrial.com/blog/2024/08/19/heat-recovery-steam-generators-hrsgs-in-combined-cycle-plants/ 72. Heat-Recovery Steam Generators: Understand the Basics – Angelfire, https://www.angelfire.com/md3/vganapathy/hrsgcep.pdf 73. 발전용 가스터빈의 재료기술,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7578f960292f41d69a3cd3a91f3c8dbf&fileSn=1&bbsId= 74. Keadby2 Power Station: the future of power … – Siemens Energy, https://www.siemens-energy.com/us/en/home/stories/power-generation-in-uk.html 75. Siemens’ large gas turbine breaks world record for combined cycle efficiency | IFRF, https://ifrf.net/ifrf-blog/siemens-large-gas-turbine-breaks-world-record-for-combined-cycle-efficiency/ 76. Keadby2 Power Station: the future of power generation in the UK – Siemens Energy, https://www.siemens-energy.com/global/en/home/stories/power-generation-in-uk.html 77. 9HA Gas Turbine | 9HA.01 and 9HA.02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gas-power/products/gas-turbines/9ha 78. 9ha Fact Sheet Oct15 | PDF | Gas Turbine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342619302/9ha-Fact-Sheet-Oct15 79. GE’s 7HA and 9HA plants rated at more than 61% CC efficiency – McIlvaine Company, http://www.mcilvainecompany.com/Decision_Tree/subscriber/Tree/DescriptionTextLinks/GASTURBINES/GEHighTemp.pdf 80. HA technology now available at industry-first 64 percent efficiency | GE News, https://www.ge.com/news/press-releases/ha-technology-now-available-industry-first-64-percent-efficiency 81. Comprehensive Overview of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Plants Trends: 2025-2033 – Market Insights Report, https://www.marketreportanalytics.com/reports/combined-cycle-gas-turbine-ccgt-plants-224164 82.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Aircraft Gas Turbines And …, https://simpleflying.com/aircraft-gas-turbines-differences-guide/ 83. GER-3767C SINGLE-SHAFT COMBINED-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content/dam/gepower-new/global/en_US/downloads/gas-new-site/resources/reference/ger-3767c-single-shaft-combined-cycle-power-generation-system.pdf 84. Single shaft Gas turbine, Two-shaft Gas turbine … – The piping talk, https://thepipingtalk.com/single-shaft-gas-turbine-two-shaft-gas-turbine-multi-spool-gas-turbine/ 85. WHY GAS TURBINES SPLIT UP – The Process Technology and Operator Academy, https://www.processtechacademy.com/why-gas-turbines-split-up/ 86. SPLIT SHAFT/ FREE TURBINE ENGINE – 12Charlie.com, http://www.12charlie.com/Chapter_14/Chap14Page006.htm 87. Natural Gas Peaking Plants: Types, Pros, & Cons | Diversegy, https://diversegy.com/natural-gas-peaking-plants/ 88. Gas Turbine Market Size, Industry Analysis 2021 – 2030, https://www.alliedmarketresearch.com/gas-turbine-market-A07223 89. Gas Turbine Market Size And Share | Industry Report, 2033 – Grand View Research, https://www.grandviewresearch.com/industry-analysis/gas-turbine-market 90. Resources, Case Studies, White Papers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gas-power/resources?filter1=case-studies 91. U.S. Gas Turbine Market Size, Share | Forecast Report [2030] – Fortune Business Insights, https://www.fortunebusinessinsights.com/u-s-gas-turbine-market-109020 92. Superalloy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Superalloy 93. (PDF) Nickel Based Super Alloys For Gas turbine Application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4706724_Nickel_Based_Super_Alloys_For_Gas_turbine_Applications 94. Tungsten in Superalloys, https://www.itia.info/wp-content/uploads/2024/06/ITIA_TISA_29052024.pdf 95. Ceramic Matrix Composites (CMCs) For Gas Turbine Applications, https://www.electrochem.org/dl/ma/201/pdfs/1108.pdf 96. Ceramic matrix composites take flight in LEAP jet engine, https://www.ornl.gov/news/ceramic-matrix-composites-take-flight-leap-jet-engine 97. Ceramic Matrix Composites for Aero Engine Applications—A Review – MDPI, https://www.mdpi.com/2076-3417/13/5/3017 98. Pioneering the development of CMCs – Rolls-Royce, https://www.rolls-royce.com/media/our-stories/discover/2019/pioneering-cmcs.aspx 99. (PDF) Recent Studies in Turbine Blade Cool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7828995_Recent_Studies_in_Turbine_Blade_Cooling 100. Recent Studies in Turbine Blade Cooling – SciSpace, https://scispace.com/pdf/recent-studies-in-turbine-blade-cooling-tcu5ygwol0.pdf 101. An Investigation of Coolant Within Serpentine Passages of a High-Pressure Axial Gas Turbine Blade | J. Turbomach. | ASME Digital Collection,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turbomachinery/article/139/9/091006/382382/An-Investigation-of-Coolant-Within-Serpentine 102. Impact of Additive Manufacturing on Internal Cooling Channels With Varying Diameters and Build Directions | J. Turbomach. | ASME Digital Collection,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turbomachinery/article-abstract/doi/10.1115/1.4050336/1101298 103. Impact of Additive Manufacturing on Internal Cooling Channels With Varying Diameters and Build Directions | J. Turbomach.,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turbomachinery/article/143/7/071003/1101298/Impact-of-Additive-Manufacturing-on-Internal 104. Effect of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Parameters on Turbine Cool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7072263_Effect_of_Additive_Manufacturing_Process_Parameters_on_Turbine_Cooling 105. Exploring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oling Designs – Blacklight – PSU-ETD, https://etda.libraries.psu.edu/catalog/21686ajw324 106. U.S. Department of Energy Hydrogen Program Plan, https://www.hydrogen.energy.gov/docs/hydrogenprogramlibraries/pdfs/hydrogen-program-plan-2020.pdf?Status=Master 107. (PDF) Hydrogen Combustion in Gas Turbine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2376587_Hydrogen_Combustion_in_Gas_Turbines 108. www.mdpi.com, https://www.mdpi.com/1996-1073/16/20/7174#:~:text=The%20higher%20hydrogen%20combustion%20temperatures,a%20high%20H%202%20content. 109. Hydrogen: Not a solution for gas-fired turbines | IEEFA, https://ieefa.org/resources/hydrogen-not-solution-gas-fired-turbines 110. Hydrogen-Capable Gas Turbines | Mitsubishi Power Americas, https://power.mhi.com/regions/amer/products/hydrogen-gas-turbine 111. Hydrogen Power Plants – Siemens Energy, https://www.siemens-energy.com/us/en/home/products-services/product/hydrogen-power-plants.html 112. Global Top 15 Gas Turbine Manufacturers 2025 – Blackridge Research & Consulting, https://www.blackridgeresearch.com/blog/list-of-global-top-gas-turbine-manufacturers-makers-companies-installers-suppliers-in-the-world 113. SSE and Siemens Energy announce hydrogen power acceleration partnership, https://www.ssethermal.com/news-and-views/2024/12/sse-and-siemens-energy-announce-hydrogen-power-acceleration-partnership/ 114. SSE Thermal and Siemens Energy partner on hydrogen-ready gas turbines, https://www.powerengineeringint.com/hydrogen/sse-thermal-and-siemens-energy-partner-on-hydrogen-ready-gas-turbines/ 115. Low-carbon Ammonia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gas-power/future-of-energy/ammonia-powered-gas-turbines 116. Ammonia-fueled gas turbines: a technology and deployment update, https://ammoniaenergy.org/articles/ammonia-fueled-gas-turbines-a-technology-and-deployment-update/ 117. Renewables Rescue Stability as the Grid Loses Spin | News – NREL, https://www.nrel.gov/news/feature/2020/renewables-rescue-stability-as-the-grid-loses-spin 118. Grid Ancillary Services Using Electrolyzer-Based Power-to-Gas Systems with Increasing Renewable Penetration – Publications, https://docs.nrel.gov/docs/fy24osti/76806.pdf 119. Inertia and the Power Grid: A Guide Without the Spin – Publications – NREL, https://docs.nrel.gov/docs/fy20osti/73856.pdf 120. Page | 1 – California ISO, https://www.caiso.com/Documents/WindPowerPlantTestResults.pdf 121. Ancillary Services Primer | NESCOE, https://nescoe.com/resource-center/ancillary-services-primer-sep2017/ 122. Ancillary services from wind and solar energy in modern power grids: A comprehensive review and simulation study – AIP Publishing, https://pubs.aip.org/aip/jrse/article/16/3/032701/3294205/Ancillary-services-from-wind-and-solar-energy-in 123. Siemens Energy HL-Class gas turbine sets World Records, https://gasturbineworld.com/siemens-energy-hl-class-gas-turbine/ 124. Impact analysis of field maintenance practices on reliability metrics – Extrica, https://www.extrica.com/article/24585 125. Impact of Gas Turbine Cyclic Operation on Engine Aging – An Investigation of the GT24/GT26 Fleet – Global Power and Propulsion Society (GPPS), https://gpps.global/wp-content/uploads/2021/01/GPPS-Zurich18-0031.pdf 126. Power Plant Cycling Costs – Publications, https://docs.nrel.gov/docs/fy12osti/55433.pdf 127. A new way to power data centers: pair clean energy and peaker plants – Canary Media, https://www.canarymedia.com/articles/clean-energy/a-new-way-to-power-data-centers-pair-clean-energy-and-peaker-plants 128. What Is a Peaking Power Plant? | Enel North America, https://www.enelnorthamerica.com/insights/blogs/what-is-a-peaking-power-plant 129. Report on the Role of Ancillary Services to Encourage Low Carbon Operability – GOV.UK,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media/65e3a2d33f694514a3035fbd/2-carbon-trust-role-ancillary-services-low-carbon-operability.pdf 130. How do different types of power plants compare in terms of startup …, https://www.quora.com/How-do-different-types-of-power-plants-compare-in-terms-of-startup-time 131. The need for flexible speed: 0-100 MW in minutes – Power Engineering International, https://www.powerengineeringint.com/news/the-need-for-flexible-speed-0-100-mw-in-minutes/ 132. Gas Turbine Market to Grow at 4.11% CAGR by 2030 – Fortune Business Insights, https://www.fortunebusinessinsights.com/press-release/global-gas-turbine-market-10912 133. Industrial Gas Turbine Market Size, Share | Industry Trend & Forecast 2030 – IndustryARC, https://www.industryarc.com/PressRelease/3885/industrial-gas-turbine-market-research 134. 증기 터빈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6%9D%EA%B8%B0%20%ED%84%B0%EB%B9%88 135. 대형선박을 위한 가스-증기터빈 복합사이클의 특성과 경험,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05686391e3244b6da544474ed9200130&fileSn=1&bbsId= 136. Merits and demerits of gas turbines – Turbo Train, https://turbotrain.net/en/merit.htm 137. Power-to-weight ratio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Power-to-weight_ratio 138. Power-to-weight ratio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Smoothieware, http://smoothieware.github.io/Webif-pack/documentation/web/html/power-to-weight_ratio.html 139. Solved Gas turbine generators have ? power to weight ratio | Chegg.com, https://www.chegg.com/homework-help/questions-and-answers/gas-turbine-generators-power-weight-ratio-diesel-generators–higher-b-lower-c-equal-q192276076 140. Gas Turbines vs. Steam Turbines – Louisiana Chemical Equipment Company, https://www.lcec.us/gas-turbines-vs-steam-turbines/ 141. How Fast start-up of steam turbine can be made?, https://www.steamforum.com/steamforum_tree.asp?master=17816 142. Difference Between Gas Turbine and Steam Turbine with Definition – Testbook, https://testbook.com/mechanical-engineering/difference-between-gas-turbine-and-steam-turbine 143. LM2500 & LM2500XPRESS Gas Turbines – GE Vernova, https://www.gevernova.com/gas-power/products/gas-turbines/lm2500 144. Diesel gensets and gas turbines. | Boat Design Net, https://www.boatdesign.net/threads/diesel-gensets-and-gas-turbines.62579/ 145. en.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Gas_turbine#:~:text=The%20first%20gas%2Dturbine%2Dpowered,operated%20as%20such%20from%201953. 146. The Royal Navy: end of an era for gas turbines? – IMarEST, https://www.imarest.org/resource/the-royal-navy-end-of-an-era-for-gas-turbines.html 147. What Makes a Warship: Engines, https://worldofwarships.com/en/news/general-news/warship-engines/ 148. CODAG (above) [7] and CODOG (below) [8]. COGAG, combined gas and ga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CODAG-above-7-and-CODOG-below-8-COGAG-combined-gas-and-gas-turbine-has-two_fig1_264353036 149. Combined propulsion systems – RENK, https://www.renk.com/en/products/marine/hybrid-electric-solutions/combined-propulsion-systems 150. Combined diesel and gas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ombined_diesel_and_gas 151. Cogas Cosag Codas | PDF | Science & Mathematics | Technology & Engineering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694405122/cogas-cosag-codas 152. Combined diesel–electric and gas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Combined_diesel%E2%80%93electric_and_gas 153. Zumwalt-class destroyer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Zumwalt-class_destroyer 154. Naval Systems: Electric Drive Becomes Reality | Proceedings,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2018/april/naval-systems-electric-drive-becomes-reality 155. Destroyer Ship Class Info Page – Commander, Naval Surface Force Atlantic, https://www.surflant.usff.navy.mil/Organization/Operational-Forces/Destroyers/Destroyer-Ship-Class-DDG-Info-Page/ 156. MIL-S-901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MIL-S-901 157. Military-grade Flowmeters, Navy Shock Vibration & EMI Testing – Hoffer Flow Control, https://hofferflow.com/navy-shock-testing/ 158. History and Applications Using MIL-S-901 – Jonathan Engineered Solutions, https://www.jonathanengr.com/blog/mil-s-901-testing/ 159. Medium Weight Shock Testing (901) – Clark Testing, https://clarktesting.com/service/shock-testing/ 160. Signature Management | TNO, https://www.tno.nl/en/safe/maritime-defence-security/signature-management/ 161. Marine Gas Turbine – Evaluating and abating its acoustic impact | Request PDF,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6445859_Marine_Gas_Turbine_-_Evaluating_and_abating_its_acoustic_impact 162. Acoustic signatur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Acoustic_signature 163. Providing power & propulsion – Rolls-Royce, https://www.rolls-royce.com/~/media/Files/R/Rolls-Royce/documents/defence/VCOMB3425_Providing_Power_and_Propulsion.pdf 164. Acoustic Signature Management | Military Technology | DST, https://www.dst.defence.gov.au/capability/acoustic-signature-management-military-technology 165. Acoustic and thermal packaging of small gas turbines for portable power – DSpace@MIT, https://dspace.mit.edu/handle/1721.1/51648 166. An Electric-Powered Arleigh Burke–Class Destroyer Is Possible – U.S. Naval Institute, https://www.usni.org/magazines/proceedings/2025/february/electric-powered-arleigh-burke-class-destroyer-possible 167. MT30 Powering the world’s future fleets – Rolls-Royce, https://www.rolls-royce.com/~/media/Files/R/Rolls-Royce/documents/defence-aerospace/VCOMB3258-MT30-Marine-Gas-Turbine-Brochure.pdf 168. Rolls-Royce MT30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Rolls-Royce_MT30 16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Rolls-Royce MT30 Marine Gas Turbine, https://torroja.dmt.upm.es/congresos/asme_2011/data/pdfs/trk-17/GT2011-45484.pdf 170. GER-4250 – GE’s LM2500+G4 Aeroderivative Gas Turbine for Marine and Industrial Applications, https://www.gevernova.com/content/dam/gepower-new/global/en_US/downloads/gas-new-site/resources/reference/ger-4250-ge-lm2500-g4-aero-gas-turbine-marine-industrial-applications.pdf 171. General Electric LM2500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Electric_LM2500 172. LM2500™ – MTU Aero Engines, https://www.mtu.de/engines/industrial-gas-turbines/lm2500/ 173. US Navy chose ICR gas turbine for new propulsion system (Journal Article) | OSTI.GOV, https://www.osti.gov/biblio/6496147 174. WR-21 propulsion module, https://www.tfd.chalmers.se/~thgr/gasturbiner/Material_for_generating_slides/pdf_documents/MP%2037%20low%20res.pdf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