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8월 14th, 2025

원소 주기율표: 자연의 질서와 과학의 초석에 대한 심층 분석 서론 원소 주기율표는 화학의 상징이자,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의 근본적인 질서를 담아낸 과학의 가장 위대한 성취 중 하나이다. 단순히 원소들을 나열한 목록을 넘어, 주기율표는 원소들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이 어떻게 배열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도구이다. 원자 번호에 따라 배열된 원소들은 명백한 주기성을 보이며, 이 주기성을 통해 우리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고, 새로운 화합물을 설계하며, 첨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본 보고서는 원소 주기율표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주기율표가 탄생하기까지의 역사적 여정을 추적하며, 초기 과학자들의 통찰과 한계, 그리고 멘델레예프의 혁명적인 기여를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주기율표의 구조를 지배하는 양자역학적 원리를 탐구하여, 왜 주기율표가 현재의 형태를 갖게 되었는지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주기율표를 통해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주기적 성질—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 전기 음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알칼리 금속부터 비활성 기체에 이르기까지 주요 원소족의 특징을 상세히 프로파일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반도체, 배터리, 신소재, 의학 등 다양한 현대 산업 및 과학 연구 분야에서 주기율표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조명하며, 이 위대한 지식 체계의 현재적 가치와 미래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이 보고서를 통해 독자들은 주기율표가 단순한 암기의 대상을 넘어, 우주의 물질적 질서를 이해하고 인류의 미래를 개척하는 데 필수적인 지적 도구임을 명확히 인식하게 될 것이다. 제1부 질서의 탄생: 역사적 관점 원소 주기율표는 한순간의 영감으로 탄생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연금술의 신비주의에서 벗어나 물질의 본질을 규명하려 했던 수많은 과학자들의 점진적이고 누적적인 지적 여정의 산물이다. 원소들을 분류하려는 초기 시도부터 멘델레예프의 혁명적 예측, 그리고 모즐리의 물리적 원리 규명에 이르기까지, 주기율표의 발전사는 화학이 질적 기술에서 양적 과학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1 패턴의 서광: 질적 분류에서 양적 관계로의 전환 19세기 중반, 과학계는 새로운 발견의 홍수 속에 있었다. 특히 로베르트 분젠(Robert Bunsen)과 구스타프 키르히호프(Gustav Kirchhoff)가 개발한 분광 분석법과 같은 새로운 분석 기술 덕분에 알려진 원소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60여 종에 달하는 원소들이 발견되면서,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들 사이의 숨겨진 규칙을 찾으려는 노력이 시급해졌다. 초기 시도들은 단순히 외관이나 반응성에 따라 그룹화하는 수준을 넘어, 원소들의 근본적인 물리적 속성에서 수학적 패턴을 찾으려는 시도로 발전했다. 이러한 전환의 중요한 첫걸음은 독일의 화학자 요한 볼프강 되베라이너(Johann Wolfgang Döbereiner)에 의해 시작되었다. 1816년부터 1829년에 걸쳐 그는 화학적으로 유사한 성질을 가진 원소들을 세 개씩 묶을 수 있으며, 이 세 원소(삼원소, Triad) 사이에는 놀라운 양적 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했다. 그는 세 원소를 원자량 순으로 배열했을 때, 가운데 원소의 원자량이 양 끝에 있는 두 원소의 원자량의 산술 평균값과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인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그룹이나 할로젠 원소인 염소(Cl), 브로민(Br), 아이오딘(I) 그룹이 대표적인 예였다. 되베라이너의 ‘세 쌍 원소설’은 원소의 성질이 그들의 원자량과 수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최초의 의미 있는 증거를 제시했다. 그 후 수십 년이 지나, 영국의 화학자 존 뉴랜즈(John Newlands)는 1865년에 더 대담한 가설을 제안했다. 그는 당시 알려진 원소들을 원자량 순서대로 배열했을 때, 특정 원소로부터 여덟 번째마다 비슷한 성질을 가진 원소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이 규칙성을 음악의 음계에 빗대어 ‘옥타브 법칙(Law of Octaves)’이라고 명명했다. 뉴랜즈의 원소표는 현대 주기율표의 행과 열 개념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시도였다. 그러나 이들 초기 모델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되베라이너의 세 쌍 원소설은 일부 원소 그룹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었다. 뉴랜즈의 옥타브 법칙은 더 큰 문제에 직면했다. 그의 표는 가벼운 원소들에서는 잘 들어맞았지만, 원자량이 큰 원소로 갈수록 규칙성이 깨졌으며,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를 위한 공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당시 화학회에서는 “화학 원소를 가지고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냐? 차라리 알파벳 순서로 배열해보라”는 조롱 섞인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냉담한 반응에 뉴랜즈는 연구를 중단했고, 그의 업적은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가 성공을 거둔 후에야 뒤늦게 재평가받았다. 이러한 초기 시도들을 단순히 ‘실패한 역사’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이들의 진정한 의의는 방법론적 전환에 있다. 연금술에 뿌리를 둔 초기 화학이 주로 질적 관찰에 의존했던 반면, 되베라이너와 뉴랜즈는 원소의 근본적 속성인 ‘원자량’이라는 정량적 데이터에서 수학적 법칙을 찾으려 했다. 산술 평균을 사용한 되베라이너나 ‘8’이라는 고정된 간격을 제시한 뉴랜즈는, 원소의 성질이 임의적인 것이 아니라 발견 가능한 수리적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핵심 전제를 세웠다. 그들의 모델이 불완전했던 것은 데이터와 이론의 부족 때문이었지, 과학적 접근법의 오류가 아니었다. 이들은 멘델레예프가 답할 위대한 질문을 과학계에 던짐으로써, 그의 혁명을 위한 철학적, 방법론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1.2 멘델레예프 혁명: 예측과 검증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화학자 드미트리 멘델레예프(Dmitri Mendeleev)는 이전의 시도들을 뛰어넘는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겼다. 1869년, 그는 당시까지 발견된 63종의 원소를 배열하는 과정에서 화학의 패러다임을 바꿀 통찰을 제시했다. 그는 원소들을 단순히 원자량 순서로 나열하는 것을 넘어, 화학적 성질의 유사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두 가지 혁명적인 결단을 내렸다. 첫째, 그는 자신의 표에 과감히 빈칸을 남겨두었다. 이는 단순히 미완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이 빈칸들이 아직 인류가 발견하지 못한 미지의 원소들을 위한 자리라고 확신에 차서 주장했다. 둘째, 그는 주기율의 힘을 빌려 이 미지의 원소들이 어떤 성질을 가질 것인지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게 예측했다. 그는 산스크리트어 접두사를 사용하여 이 예측된 원소들에 ‘에카-알루미늄(eka-aluminium)’, ‘에카-붕소(eka-boron)’, ‘에카-규소(eka-silicon)’ 등의 이름을 붙였다. 멘델레예프의 천재성은 이 예측들이 현실로 증명되면서 만천하에 드러났다. 그가 ‘에카-알루미늄’으로 예측했던 원소는 1875년 프랑스의 부아보드랑에 의해 발견되어 ‘갈륨(Gallium)’으로 명명되었고, ‘에카-규소’는 1886년 독일의 빙클러에 의해 발견되어 ‘저마늄(Germanium)’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놀라운 점은 이들 원소의 실제 성질이 멘델레예프가 수년 전에 예측했던 값과 거의 일치했다는 것이다. 자료 출처: 이러한 예측의 성공은 과학계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초기에는 그의 표에 있는 빈칸과, 일부 원소(예: 텔루륨과 아이오딘)를 원자량 순서가 아닌 화학적 성질에 따라 재배열한 것 때문에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그러나 갈륨과 저마늄의 발견은 그의 주기율이 단순한 우연이나 짜맞추기가 아님을 명백히 증명했다. 여기서 멘델레예프의 업적이 이전의 시도들과 근본적으로 다른 지점이 드러난다. 되베라이너나 뉴랜즈의 작업이 이미 알려진 지식을 정리하는 ‘분류 체계’에 가까웠다면,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미지의 현상을 예측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과학 이론’의 반열에 올랐다. 분류 체계는 기존의 데이터를 정리하지만, 과학 이론은 미래의 발견을 이끄는 힘을 가진다. 멘델레예프는 주기율표를 통해 화학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으며, 그의 표는 새로운 원소를 찾는 탐험가들의 지도가 되었다. 이 예측 능력이야말로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의 아버지’로 불리는 이유이며, 그의 업적이 화학의 역사에서 혁명으로 기록되는 핵심이다. 1.3 진정한 배열 원리: 모즐리와 원자 번호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는 화학의 위대한 이정표였지만, 완벽하지는 않았다. 그의 시스템은 ‘원자량’을 기본 배열 순서로 삼았기 때문에 몇 가지 모순이 발생했다. 대표적인 예가 코발트(Co, 원자량 58.93)와 니켈(Ni, 원자량 58.69)의 순서였다. 원자량만 따지면 니켈이 코발트 앞에 와야 했지만, 화학적 성질을 고려하면 코발트가 니켈 앞에 위치해야만 했다. 멘델레예프는 화학적 성질을 우선시하여 이 순서를 바로잡았지만, 왜 이런 ‘역전’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는 설명할 수 없었다. 이 수수께끼는 영국의 젊은 물리학자 헨리 모즐리(Henry Moseley)에 의해 풀리게 된다. 1913년, 모즐리는 당시 최신 기술이었던 X선 분광학을 이용한 독창적인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다양한 원소 표적에 고에너지 전자를 충돌시켜 각 원소에서 방출되는 고유한 X선을 측정했다. 그의 위대한 발견은 방출된 X선의 진동수(\nu)와 원소의 특성 사이에 명확한 수학적 관계가 있다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X선 진동수의 제곱근(\sqrt{\nu})은 어떤 정수값에 정비례했다. 모즐리는 이 정수값이 바로 원자핵의 양전하 수, 즉 ‘원자 번호(Z)’라고 명명했다. 모즐리의 법칙 (Moseley’s Law): \sqrt{\nu} = k(Z – \sigma) (여기서 \nu는 X선 진동수, Z는 원자 번호, k와 \sigma는 상수이다.) 이 발견은 주기율표의 근본적인 배열 원리가 원자량이 아니라 원자 번호임을 명백히 밝혔다. 원자 번호 순서로 원소들을 다시 배열하자 멘델레예프의 표에 남아있던 모순들(코발트-니켈 문제 등)이 모두 완벽하게 해결되었다. 이제 각 원소는 고유하고 명확한 정수 번호를 갖게 되었으며, 주기율표는 흔들리지 않는 물리적 기반 위에 서게 되었다. 모즐리는 또한 자신의 법칙을 이용해 당시 주기율표에 비어있던 43번, 61번, 72번, 75번 원소의 존재를 정확히 예측했다. 모즐리의 업적은 화학과 물리학의 위대한 융합을 상징한다. 멘델레예프의 작업이 순수하게 화학적 관찰(반응성, 화합물 형태 등)에 기반했다면, 모즐리의 연구는 그의 스승이었던 러더퍼드가 막 규명한 원자 구조에 대한 물리학적 탐구였다. 모즐리는 멘델레예프가 관찰한 주기적인 ‘화학적 성질’이 원자핵의 양성자 수라는 근본적인 ‘물리적 속성’의 직접적인 결과임을 증명했다. 복잡해 보이는 화학 반응의 세계가 원자 내부의 더 단순하고 근본적인 물리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이로써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자들의 도구를 넘어, 화학과 물리학을 잇는 견고한 다리가 되었다. 안타깝게도 이 천재 과학자는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1915년 갈리폴리 전투에서 27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그의 요절은 과학계의 큰 비극으로 남았으며, 살아있었다면 노벨상 수상이 거의 확실시되었다. 그의 죽음은 이후 각국에서 핵심 과학 인재를 전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도(전문연구요원 등)를 만드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1.4 현대적 형태의 완성: 시보그와 내부 전이 금속 모즐리에 의해 주기율표의 기본 골격이 확립되었지만,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형태가 완성되기까지는 마지막 한 조각의 퍼즐이 남아있었다. 이는 주기율표의 가장 무거운 원소들의 위치에 관한 문제였다. 1940년대 이전까지 악티늄(Ac) 이후의 원소들, 즉 토륨(Th), 프로트악티늄(Pa), 우라늄(U) 등은 그들의 화학적 성질이 전이 금속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주기율표의 d-구역(d-block)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은 인물은 미국의 핵화학자 글렌 시보그(Glenn T. Seaborg)였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플루토늄(Pu)을 비롯한 새로운 초우라늄 원소들을 합성하던 시보그와 그의 연구팀은 이 새로운 원소들의 화학적 성질이 d-구역 원소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1945년, 시보그는 주기율표의 구조를 재편하는 대담한 제안을 내놓았다. 그는 악티늄(Ac)부터 시작하는 원소들이 주기율표 6주기의 란타넘족(lanthanides)과 유사한 새로운 계열을 형성한다는 ‘악티늄족 가설(actinide concept)’을 주장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이 원소들은 d-오비탈이 아닌 내부의 f-오비탈을 채우는 ‘f-구역(f-block)’ 원소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주기율표의 본문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란타넘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행으로 분리하여 주기율표 하단에 배치해야 했다. 시보그의 제안은 처음에는 동료 과학자들의 회의적인 반응에 부딪혔지만, 그가 아메리슘(Am), 퀴륨(Cm) 등 더 많은 악티늄족 원소들을 성공적으로 발견하고 그 성질을 규명함에 따라 그의 가설은 정설로 받아들여졌다. 이로써 현대 주기율표의 특징적인 모습, 즉 f-구역의 란타넘족과 악티늄족이 아래에 분리되어 있는 형태가 완성되었다. 시보그는 10개의 원소를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위대한 업적을 기려 106번 원소는 ‘시보귬(Seaborgium, Sg)’으로 명명되었다. 시보그의 업적은 주기율표가 정적인 문서가 아니라 과학의 발전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고 확장되는 살아있는 프레임워크임을 보여준다. 멘델레예프가 화학적 성질을 바탕으로 미지의 원소를 예측했고, 모즐리가 물리적 원리를 통해 그 예측의 정확성을 더했다면, 시보그는 이 예측과 조직의 힘을 인공적으로 합성된 초중량 방사성 원소의 영역까지 확장시켰다. 이는 주기율표의 구조가 단순히 발견된 것을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무엇이 발견될 수 있으며 그 성질은 어떠할지를 알려주는, 과학에서 가장 성공적인 예측 모델 중 하나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제2부 양자 설계도: 주기성의 물리적 기반 주기율표의 우아한 구조는 우연의 산물이 아니다. 그것은 원자 내부에서 전자의 행동을 지배하는 양자역학의 법칙들이 시각적으로 구현된 결과물이다. 역사적 발견의 과정을 넘어 이제 우리는 주기율표의 행과 열, 그리고 구역들이 왜 그러한 형태를 띠게 되었는지 그 근본적인 물리적 원인을 탐구할 것이다. 2.1 원자의 구조: 양자 규칙 고전적인 원자 모형과 달리, 현대 양자역학 모델에서 전자는 행성처럼 정해진 궤도를 도는 입자가 아니다. 대신, 전자는 원자핵 주변의 특정 공간에서 발견될 확률 분포로 존재하는 ‘확률 구름’으로 묘사되며, 이 확률 분포 영역을 원자 오비탈(atomic orbital) 또는 궤도함수라고 부른다. 각 오비탈의 에너지, 모양, 공간적 방향 등은 주양자수(n), 부양자수(\ell), 자기양자수(m_\ell)와 같은 일련의 양자수들에 의해 결정된다. 전자는 원자핵 주변에 층을 이루며 존재하는데, 이 층을 전자 껍질(electron shell)이라 하며 주양자수(n)로 구분한다. n=1, 2, 3, \dots으로 갈수록 전자 껍질은 원자핵에서 멀어지고 에너지가 높아진다. 각 전자 껍질은 하나 이상의 부껍질(subshell)로 구성되며, 이는 부양자수(\ell)에 의해 s, p, d, f 등으로 명명된다. 원자 내에서 전자들이 이러한 껍질과 부껍질에 배치되는 방식, 즉 전자 배치(electron configuration)는 임의적이지 않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 원리에 의해 엄격하게 지배된다. 쌓음 원리 (Aufbau Principle): 전자는 가능한 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의 오비탈부터 차례대로 채워진다. 이는 마치 건물의 아래층부터 사람이 차례로 입주하는 것과 같다. 파울리 배타 원리 (Pauli Exclusion Principle): 하나의 원자 내에서 두 전자가 동일한 양자 상태를 가질 수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하나의 오비탈에는 최대 2개의 전자까지만 채워질 수 있으며, 이 두 전자는 서로 반대의 스핀(spin)을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훈트의 규칙 (Hund’s Rule): 같은 에너지 준위를 가진 여러 오비탈(예: 3개의 p-오비탈)에 전자가 채워질 때, 가능한 한 많은 오비탈에 전자가 하나씩 홀로 채워진 후에야 두 번째 전자가 쌍을 이루어 채워진다. 이는 버스의 빈 좌석에 먼저 한 명씩 앉으려는 경향과 유사하다. 이 추상적인 양자역학의 규칙들이 바로 주기율표라는 구체적인 구조를 만들어내는 설계도이다. 주기율표의 각 주기의 길이(2, 8, 18, 32)는 우연이 아니다. 이는 각 전자 껍질(n)에 포함된 s, p, d, f 부껍질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전자의 총 개수에 의해 정확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2주기가 8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이유는 두 번째 껍질(n=2)이 2개의 전자를 수용하는 2s 오비탈과 6개의 전자를 수용하는 2p 오비탈로 구성되어 총 8개의 전자를 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기율표는 양자역학의 복잡한 규칙과 원자 내 전자 배치의 해답을 시각적으로 압축해 놓은, 궁극의 ‘요약 노트’라 할 수 있다. 2.2 구조 해독: 주기, 족, 그리고 블록 주기율표의 구조는 원자의 전자 배치를 체계적으로 반영한다. 가로줄인 ‘주기’, 세로줄인 ‘족’, 그리고 네 개의 ‘블록’은 각각 원자 구조의 특정 측면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주기 (Period): 주기율표의 가로줄을 주기라고 하며, 1주기부터 현재 7주기까지 존재한다. 주기의 번호는 해당 주기의 원소들이 채우고 있는 가장 바깥쪽 전자 껍질의 주양자수(n)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2주기 원소인 리튬(Li)부터 네온(Ne)까지는 두 번째 전자 껍질(n=2)에 전자가 채워진다. 새로운 주기는 새로운 전자 껍질이 채워지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족 (Group): 주기율표의 세로줄을 족이라고 하며, 국제 표준에 따라 1족부터 18족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같은 족에 속한 원소들은 매우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공유하는데, 이는 그들이 동일한 수의 원자가 전자(valence electron), 즉 가장 바깥쪽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 반응은 주로 이 원자가 전자에 의해 일어나므로, 원자가 전자의 수가 같으면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하게 된다. 블록 (Block): 주기율표는 가장 높은 에너지의 전자가 어떤 종류의 오비탈을 채우고 있는지에 따라 네 개의 주요 구역, 즉 블록으로 나뉜다. s-블록 (s-block): 1족과 2족 원소들이 해당된다. 가장 바깥쪽 전자가 s-오비탈을 채운다. p-블록 (p-block): 13족부터 18족까지의 원소들이 해당된다. 가장 바깥쪽 전자가 p-오비탈을 채운다. d-블록 (d-block): 3족부터 12족까지의 전이 금속들이 해당된다. 안쪽 껍질의 d-오비탈($ (n-1)d $)을 채운다. f-블록 (f-block): 란타넘족과 악티늄족 원소들이 해당된다. 더 안쪽 껍질의 f-오비탈($ (n-2)f $)을 채운다. 주기율표의 기하학적 형태 자체가 양자 오비탈 구조의 직접적인 지도라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s-블록이 2개의 족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s-오비탈이 최대 2개의 전자를 수용하기 때문이다. p-블록이 6개의 족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3개의 p-오비탈이 총 6개의 전자를 수용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d-블록은 10개, f-블록은 14개의 족 너비를 가진다. 이는 각각 5개의 d-오비탈(10개 전자)과 7개의 f-오비탈(14개 전자)의 전자 수용 능력과 정확히 일치한다. 따라서 주기율표의 모양과 크기는 원자 부껍질의 에너지 준위와 용량에 대한 시각적 표현이며, 이 근본적인 연결을 이해하는 것이 모든 화학의 출발점이다. 2.3 정보 해석: 각 칸이 말해주는 것 주기율표의 각 칸은 해당 원소에 대한 핵심 정보를 압축하여 담고 있다. 이 정보들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은 주기율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이다. 원자 번호 (Atomic Number, Z): 각 칸의 상단에 표시되는 정수이다. 이는 원소의 가장 근본적인 정체성을 나타내며, 원자핵에 포함된 양성자의 수를 의미한다. 원자 번호가 다르면 완전히 다른 원소이다. 주기율표는 바로 이 원자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원소 기호 (Element Symbol): 원소의 이름을 나타내는 한두 글자의 약어이다 (예: 수소는 H, 헬륨은 He, 리튬은 Li). 이 기호는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과학적 약속이다. 원자량 (Atomic Mass): 일반적으로 칸의 하단에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로 표시된다. 이 값은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키는데,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원자량은 단일 원자 하나의 질량이 아니다. 이것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해당 원소의 모든 동위 원소들의 질량을 그 존재 비율에 따라 가중 평균한 값이다. 동위 원소 (Isotope): 양성자의 수는 같아 원자 번호는 동일하지만, 중성자의 수가 달라 질량수가 다른 원자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연계의 염소(Cl)는 대부분 질량수가 35인 염소-35와 질량수가 37인 염소-37이 약 3:1의 비율로 섞여 존재한다. 정수가 아닌 이유: 원자량이 소수 값을 갖는 이유는 바로 이 동위 원소들의 질량과 존재 비율을 고려한 가중 평균이기 때문이다. 이 상대적 질량의 기준은 질량수 12인 탄소-12(¹²C) 원자로, 이 원자의 질량을 정확히 12.00으로 정의하고 다른 모든 원자들의 질량을 이와 비교하여 나타낸다. 원자량이라는 이 단순해 보이는 소수점 숫자에는 사실 심오한 정보가 담겨 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각 원소의 동위 원소 비율은 태초의 별 내부와 초신성 폭발에서 일어난 핵융합 과정, 그리고 수십억 년에 걸친 행성 형성과 방사성 붕괴의 역사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납(Pb)의 원자량은 그 납이 포함된 광석이 우라늄(U)이 풍부했는지 토륨(Th)이 풍부했는지에 따라 미세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우라늄과 토륨의 방사성 붕괴 사슬의 최종 산물이 서로 다른 납의 동위 원소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원자량은 단순한 화학적 상수가 아니라, 우주의 역사와 핵물리학, 그리고 지질학의 이야기가 압축된 작은 데이터 포인트인 셈이다. 제3부 원소의 리듬: 주기적 성질의 체계적 분석 제2부에서 논의된 양자역학적 구조는 원소들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에 예측 가능한 패턴, 즉 ‘주기성’을 부여한다.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성질들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주기적 성질’이라 한다. 이러한 경향을 이해하면 특정 원소의 성질을 그 위치만으로도 예측할 수 있다. 3.1 원동력: 유효 핵전하와 가리움 효과 주기적 성질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개념은 ‘유효 핵전하’이다. 핵전하 (Nuclear Charge, Z): 원자핵에 있는 양성자에 의한 총 인력이다. 주기율표에서 오른쪽으로 한 칸 갈 때마다 양성자가 하나씩 추가되므로 핵전하는 1씩 꾸준히 증가한다. 가리움 효과 (Shielding/Screening Effect): 다전자 원자에서는 안쪽 껍질에 있는 전자들이 바깥쪽 껍질(원자가)에 있는 전자들을 밀어내는 반발력을 작용한다. 이 반발력은 원자핵의 인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데, 이를 가리움 효과라고 한다. 유효 핵전하 (Effective Nuclear Charge, Zeff): 가리움 효과를 고려했을 때, 원자가 전자가 실제로 느끼는 알짜 핵의 인력을 유효 핵전하라고 한다 (Z{eff} = Z – \text{가리움 상수}). 이것이 주기적 성질의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동력이다. 유효 핵전하의 경향성은 다음과 같다. 같은 주기에서 (왼쪽 → 오른쪽): 유효 핵전하는 증가한다. 양성자가 추가되어 핵전하(Z)는 증가하지만, 새로 추가되는 전자는 같은 전자 껍질에 들어가기 때문에 서로를 효과적으로 가리지 못한다. 따라서 핵의 인력이 강해지는 효과가 더 크다. 같은 족에서 (위 → 아래): 유효 핵전하는 거의 일정하거나 약간만 증가한다. 핵전하(Z)는 크게 증가하지만, 새로운 전자 껍질이 통째로 추가되면서 안쪽 전자들의 가리움 효과도 매우 커져 증가한 핵전하를 대부분 상쇄하기 때문이다. 3.2 원자 반지름 및 이온 반지름 정의: 원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보통 동일한 원자 두 개가 결합했을 때 핵 간 거리의 절반으로 정의한다. 주기적 경향성: 같은 주기에서 (왼쪽 → 오른쪽): 원자 반지름은 감소한다. 이는 유효 핵전하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핵이 가장 바깥쪽 전자들을 더 강하게 끌어당겨 전자 구름이 수축하기 때문이다. 같은 족에서 (위 → 아래): 원자 반지름은 증가한다. 아래로 갈수록 새로운 전자 껍질이 추가되어 원자가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훨씬 더 먼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 효과가 유효 핵전하의 미미한 증가 효과를 압도한다. 이온 반지름: 원자가 이온이 될 때 크기가 변한다. 양이온(Cation)은 전자를 잃으면서 전자 껍질이 줄어들거나 전자 간 반발력이 감소하여 원래의 중성 원자보다 크기가 작아진다. 반면, 음이온(Anion)은 전자를 얻으면서 전자 간 반발력이 증가하여 원래 원자보다 크기가 커진다. 3.3 이온화 에너지 (Ionization Energy, IE) 정의: 기체 상태의 중성 원자 1몰에서 전자 1몰을 떼어내어 1가 양이온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다 (X(g) \rightarrow X^+(g) + e^-). 이온화 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전자가 원자핵에 강하게 묶여 있음을 의미한다. 주기적 경향성: 같은 주기에서 (왼쪽 → 오른쪽): 이온화 에너지는 전반적으로 증가한다. 유효 핵전하가 증가하고 원자 반지름이 감소함에 따라 원자가 전자를 떼어내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같은 족에서 (위 → 아래): 이온화 에너지는 감소한다. 원자가 전자가 더 높은 에너지 껍질에 있어 원자핵으로부터 멀고, 더 효과적으로 가려져 있어 상대적으로 쉽게 떼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외적 경향: 이온화 에너지의 증가는 주기 내에서 완벽하게 매끄럽지 않다. 주목할 만한 예외는 다음과 같다. 2족 vs 13족 (예: Be > B): 2족 원소(예: 베릴륨, Be)는 안정적인 s-오비탈(ns^2)이 모두 채워진 전자 배치를 가진다. 반면, 13족 원소(예: 붕소, B)의 마지막 전자는 에너지적으로 약간 더 높은 p-오비탈에 존재하므로, 2족 원소의 전자보다 떼어내기가 더 쉽다. 따라서 이온화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15족 vs 16족 (예: N > O): 15족 원소(예: 질소, N)는 훈트의 규칙에 따라 p-오비탈이 안정적으로 반쯤 채워진(np^3) 전자 배치를 가진다. 16족 원소(예: 산소, O)는 p-오비탈 중 하나에 전자가 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np^4), 이 쌍을 이룬 전자들 사이의 반발력 때문에 오히려 전자 하나를 떼어내기가 더 쉬워져 이온화 에너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 원자에서 전자를 차례로 떼어낼 때 필요한 에너지를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IE_1, IE_2, \dots)라고 한다. 전자를 떼어낼수록 양이온의 전하가 커져 남은 전자를 더 강하게 끌어당기므로, 순차적 이온화 에너지는 항상 증가한다 (IE_1 < IE_2 < IE_3 < \dots). 특히, 안정한 내부 껍질(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의 전자를 떼어낼 때 이온화 에너지가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이 지점을 통해 원소의 원자가 전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3.4 전자 친화도 (Electron Affinity, EA) 및 전기 음성도 (Electronegativity) 전자 친화도: 기체 상태의 중성 원자가 전자 하나를 얻어 1가 음이온이 될 때 방출하는 에너지이다 (X(g) + e^- \rightarrow X^-(g)). 전자 친화도가 크다는 것은 전자를 얻어 안정해지려는 경향이 강함을 의미한다. 주기성은 이온화 에너지와 유사하여, 대체로 주기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고(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 족에서 아래로 갈수록 감소하지만 예외가 많다. 할로젠(17족) 원소들이 가장 큰 전자 친화도를 가진다. 전기 음성도: 화학 결합 내에서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자신 쪽으로 끌어당기는 능력의 상대적인 척도이다. 이는 실제 에너지가 아닌, 라이너스 폴링(Linus Pauling)이 제안한 상대적인 값으로, 가장 전기 음성도가 큰 플루오린(F)을 4.0으로 기준 삼는다. 주기적 경향성: 전기 음성도는 같은 주기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같은 족에서 아래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는 유효 핵전하와 원자 반지름의 경향성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중요성: 두 원자 간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그들 사이에 형성될 화학 결합의 종류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차이가 거의 없으면 비극성 공유 결합, 중간 정도이면 극성 공유 결합, 매우 크면 이온 결합이 형성된다. 이 모든 주기적 성질들은 개별적인 현상이 아니다. 원자 반지름, 이온화 에너지, 전자 친화도, 전기 음성도는 모두 원자가 전자가 느끼는 유효 핵전하와 전자가 위치한 전자 껍질이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물리적 요인의 다양한 발현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효 핵전하가 크고 반지름이 작은 원소(예: 플루오린)는 논리적으로 자신의 전자를 떼어내기 어려워 이온화 에너지가 높고, 외부 전자를 강하게 끌어당겨 전자 친화도와 전기 음성도가 모두 높을 수밖에 없다. 반대로 유효 핵전하가 작고 반지름이 큰 원소(예: 세슘)는 모든 값이 낮을 것이다. 이처럼 주기적 성질들의 상호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은, 개별 사실을 암기하는 것을 넘어 주기율의 깊은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는 길이다. 제4부 원소 가족 순례: 주요 족 프로파일 주기율표의 세로줄, 즉 '족'은 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원소들의 모임이다. 이는 같은 족 원소들이 동일한 수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비슷한 방식으로 반응하고 유사한 형태의 화합물을 만든다. 이제 주기율표의 주요 '가족'들을 순례하며 그들의 개성과 공통점을 탐구해 본다. 4.1 원형적 금속: 알칼리 금속(1족)과 알칼리 토금속(2족) 알칼리 금속 (Alkali Metals, 1족): 수소(H)를 제외한 리튬(Li), 나트륨(Na),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프랑슘(Fr)이 속한다. 전자 배치와 특징: 원자가 전자 배치가 ns^1으로, 단 하나의 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 전자를 쉽게 잃고 안정적인 +1가 양이온(M^+)이 되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이로 인해 모든 원소 중 반응성이 가장 큰 금속 집단이다. 물리적 성질: 은백색의 광택을 띠지만(세슘은 옅은 금색)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광택을 잃는다. 밀도가 매우 낮아 리튬, 나트륨, 칼륨은 물에 뜰 정도이며, 칼로 쉽게 잘릴 만큼 무르다. 녹는점과 끓는점 또한 다른 금속에 비해 현저히 낮다. 화학적 성질: 반응성이 매우 커서 공기 중의 산소나 물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특히 물과 반응하면 수소 기체(H_2)를 발생시키고 강한 염기성 수용액(수산화물, 예: NaOH)을 만든다. 이러한 높은 반응성 때문에 석유나 파라핀 액체 속에 넣어 보관해야 한다. 족 아래로 내려갈수록 원자 반지름이 커져 원자가 전자를 더 쉽게 잃으므로 반응성은 더욱 커진다. 알칼리 토금속 (Alkaline Earth Metals, 2족): 베릴륨(Be), 마그네슘(Mg), 칼슘(Ca), 스트론튬(Sr), 바륨(Ba), 라듐(Ra)이 속한다. 전자 배치와 특징: 원자가 전자 배치가 ns^2으로, 2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 두 개의 전자를 잃고 안정적인 +2가 양이온(M^{2+})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리적/화학적 성질: 알칼리 금속보다는 단단하고 밀도가 높으며 녹는점도 높지만, 여전히 반응성이 큰 금속에 속한다. 알칼리 금속만큼 격렬하지는 않지만 물과 반응하여 염기성 수산화물을 생성한다. 반응성은 족 아래로 내려갈수록 증가한다. 공기 중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며, 할로젠 원소와 반응하여 염을 만든다. 칼슘은 인체 뼈의 주성분이며, 마그네슘은 가볍고 튼튼한 합금 재료로, 바륨 화합물은 X선 조영제로 사용되는 등 실용적으로 널리 쓰인다. 4.2 산업의 일꾼: 전이 금속 (d-블록) 정의: 주기율표의 3족부터 12족에 해당하는 d-블록 원소들을 총칭한다. 철(Fe), 구리(Cu), 니켈(Ni), 은(Ag), 금(Au), 백금(Pt) 등 우리에게 친숙한 대부분의 금속이 여기에 속한다. 일반적 성질: 높은 밀도와 녹는점, 우수한 열 및 전기 전도성, 특유의 금속 광택 등 전형적인 금속의 성질을 보인다. 독특한 화학적 특징: 전이 금속은 주족 원소(s, p-블록)와 구별되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진다. 다양한 산화수: ns 오비탈과 (n-1)d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가 비슷하여, 잃을 수 있는 전자의 수가 다양하다. 이로 인해 철이 $Fe^{2+}$와 Fe^{3+} 이온을 모두 형성하는 것처럼 하나의 원소가 여러 가지 산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색깔을 띠는 화합물 형성: 전이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나 수용액은 대부분 아름다운 색을 띤다. 이는 d-오비탈의 전자들이 가시광선 영역의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다른 에너지 준위로 전이(d-d transition)하기 때문이며, 우리 눈에는 흡수된 빛의 보색이 보이게 된다. 촉매 활성: 많은 전이 금속과 그 화합물들은 뛰어난 촉매로 작용한다. 다양한 산화수를 가질 수 있는 능력 덕분에 반응물과 일시적인 결합을 형성하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화학 반응 속도를 높이는 데 유리하다. 착이온(Complex Ion) 형성: 전이 금속 이온은 주변의 다른 분자나 이온(리간드, Ligand)으로부터 전자쌍을 제공받아 배위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안정한 착이온을 쉽게 만든다. 4.3 원형적 비금속: 할로젠 (17족) 원소: 플루오린(F), 염소(Cl), 브로민(Br), 아이오딘(I), 아스타틴(At)이 속한다. 전자 배치와 특징: 원자가 전자 배치가 ns^2np^5로, 7개의 원자가 전자를 가지고 있다. 안정적인 전자 배치를 이루기 위해 전자 한 개를 얻으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여, -1가 음이온(X^-)이 되기 쉽다. 물리적/화학적 성질: 상온에서 두 개의 원자가 결합한 이원자 분자(F_2, Cl_2 등)로 존재하며, 각각 독특한 색깔을 띤다. 반응성이 매우 큰 비금속 집단으로, 금속과 반응하여 염(salt)을 형성하기 때문에 '염을 생성하는 원소'라는 뜻의 할로젠(haloge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수소와 반응하면 할로젠화 수소를 형성하며, 이는 물에 녹아 강한 산성을 나타낸다 (예: HCl 염산). 반응성 경향: 반응성은 족 위로 갈수록 커진다. 즉, F > Cl > Br > I 순서이다. 이는 족 위로 갈수록 원자 반지름이 작고 전기 음성도가 커서 외부 전자를 더 효과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기 때문이다. 플루오린은 모든 원소 중 가장 반응성이 크다. 4.4 안정성의 정점: 비활성 기체 (18족) 원소: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제논(Xe), 라돈(Rn)이 속한다. 전자 배치와 특징: 가장 바깥쪽 전자 껍질이 모두 채워진 완벽한 전자 배치(ns^2np^6, 헬륨은 1s^2)를 가지고 있다. 물리적/화학적 성질: 색깔과 냄새가 없는 기체로, 다른 원자와 결합하지 않고 단원자 분자 상태로 존재한다. 그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화학적으로 거의 반응하지 않는 비활성(inertness)이다. 안정성의 이유: 완전히 채워진 원자가 껍질은 에너지적으로 매우 안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자를 잃거나(매우 높은 이온화 에너지), 얻거나(전자 친화도 거의 0), 공유하려는(화학 결합 형성) 경향이 전혀 없다. 이 때문에 ‘고귀한 기체(noble gas)’라고도 불린다. 물론 제논(Xe)처럼 무거운 원소들은 전기 음성도가 매우 큰 플루오린이나 산소와 제한적으로 화합물을 만들기도 하지만, 전반적으로 극도의 안정성을 보인다. 비활성 기체의 이러한 극단적인 안정성은 단순히 18족 원소만의 특징으로 끝나지 않는다. 이들의 안정성은 주기율표의 다른 원소들의 반응성을 이해하는 기준점이자 원동력이 된다. 알칼리 금속이 전자 하나를 필사적으로 버리려 하고, 할로젠이 전자 하나를 격렬하게 얻으려 하는 이유는 모두 비활성 기체와 같은 안정된 전자 배치를 얻기 위함이다. 이는 화학 결합 이론의 핵심인 옥텟 규칙(Octet Rule)의 근간을 이룬다. 즉, s-블록과 p-블록 원소들의 화학적 반응 대부분은 가장 가까운 비활성 기체의 전자 배치를 모방하려는 경향으로 설명될 수 있다. 결국, 비활성 기체의 ‘고요함’은 다른 원소들의 ‘활발함’을 이끄는 궁극적인 목표인 셈이다. 제5부 살아있는 주기율표: 응용과 미래 전망 주기율표는 박물관에 전시된 학문적 유물이 아니다. 그것은 오늘날 과학자와 엔지니어의 손에서 새로운 물질을 창조하고, 질병을 진단하며,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역동적이고 필수적인 도구이다. 주기율표의 원리를 응용하여 우리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생명의 비밀에 더 가까이 다가가고 있다. 5.1 화학 및 재료 과학의 예측 엔진 주기율표의 가장 큰 힘은 예측 능력에 있다. 화학자들은 원소의 주기율표상 위치를 통해 그 화학적 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반응에 효과적인 백금(Pt) 촉매가 너무 비쌀 경우, 화학자들은 같은 10족에 속한 팔라듐(Pd)이나 니켈(Ni)이 유사한 촉매 활성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고 대체재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두 원자 간의 전기 음성도 차이를 계산하면 형성될 결합의 극성을 예측할 수 있고, 이는 다시 화합물의 용해도, 녹는점, 반응성 등 중요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예측하는 단서가 된다. 이러한 예측 능력은 신소재 개발의 핵심이다. 주기율표는 새로운 물질을 설계하기 위한 ‘보물 지도’와 같다. 과학자들은 원하는 성질(예: 경도, 전도성, 내열성, 자성)을 얻기 위해 주기율표의 경향성을 바탕으로 의도적으로 원소들을 조합한다. 예를 들어, 13족 금속 질화물 반도체 결정을 성장시키는 연구에서는 주기율표의 족별 특성을 이용하여 합금상과 용융염의 반응을 제어한다. 이는 현대 재료 과학과 합금 개발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이다. 5.2 미래를 만드는 기술: 첨단 산업 응용 주기율표의 원리는 우리 삶을 바꾸는 첨단 기술의 심장부에서 뛰고 있다. 전자공학과 반도체: 현대 문명의 기반인 전자공학은 주기율표의 ‘계단’ 영역에 위치한 준금속 원소들 없이는 불가능하다. 14족의 규소(Silicon, Si)저마늄(Germanium, Ge)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 성질, 즉 반도체 성질을 가진다. 이들의 전기 전도도는 13족 원소(예: 붕소 B)나 15족 원소(예: 인 P)와 같은 불순물을 미량 첨가하는 ‘도핑(doping)’ 과정을 통해 수만 배까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집적회로(IC)가 만들어지며, 이는 모든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핵심 부품이다. 또한 13족의 갈륨(Gallium, Ga)은 비소(As)와 결합하여 고성능 화합물 반도체(GaAs)를 만들어 LED, 레이저 다이오드, 고속 통신 장비 등에 사용된다. 에너지 저장: 리튬 이온 배터리: 전기차와 휴대용 전자기기 시대를 연 리튬 이온 배터리는 주기율표 1족 2주기에 위치한 리튬(Lithium, Li)의 독특한 성질에 기반한다. 리튬은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가볍고, 가장 높은 전기화학적 전위를 가진다. 즉, 전자를 내어주려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이러한 특성은 주기율표 최상단 왼쪽에 위치한 것만으로도 예측할 수 있으며, 이 덕분에 리튬은 작고 가벼우면서도 높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이상적인 양극재 및 전하 운반체로 사용된다. 촉매와 화학 산업: 전이 금속은 현대 화학 산업의 숨은 영웅이다. 이들은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촉매로 사용되어 반응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 예를 들어,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는 백금(Pt), 팔라듐(Pd), 로듐(Rh)이 사용되어 유해 물질을 무해한 물질로 전환한다. 세계 식량 생산에 필수적인 질소 비료는 철(Fe) 촉매를 이용한 하버-보슈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된다. 또한 바나듐(V) 산화물은 황산 제조 공정의 핵심 촉매이며, 최근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에도 활용된다. 이러한 귀금속 촉매의 높은 가격은 주기율표상의 유사 원소를 이용한 저렴한 대체 촉매 개발 연구를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5.3 생명과 의학의 원소: 방사성 동위원소 활용 주기율표의 원소들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도 혁신을 가져왔다. 특정 원소의 동위원소 중 일부는 원자핵이 불안정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이를 방사성 동위원소(Radioisotope)라고 한다. 의학계는 이들의 화학적 성질과 방사선 방출 특성을 결합하여 질병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치료한다. 의학 진단 (영상): 특정 방사성 동위원소를 체내에 투여하면, 우리 몸은 이를 안정한 동위원소와 화학적으로 동일하게 취급하여 특정 장기나 조직으로 보낸다. 외부 검출기로 이 방사선을 추적하면 해당 장기의 형태나 기능을 영상으로 얻을 수 있다. 요오드-131 (¹³¹I): 갑상선은 체내의 요오드를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방사성 요오드-131을 투여하면 갑상선의 기능 이상이나 갑상선암 전이 여부를 영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플루오린-18 (¹⁸F): 포도당(glucose) 분자에 방사성 플루오린-18을 붙인 FDG(Fluorodeoxyglucose)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사성의약품이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보다 대사가 활발하여 포도당을 많이 소모하므로, FDG가 암 조직에 축적되는 것을 영상화하여 암의 위치, 병기 설정, 재발 판정 등에 활용한다. 테크네튬-99m (⁹⁹ᵐTc), 탄소-11 (¹¹C) 등도 뼈, 뇌, 심장 등 다양한 장기의 진단에 사용된다. 의학 치료 (방사선 치료): 더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암세포와 같은 특정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요오드-131 (¹³¹I): 진단과 마찬가지 원리로, 더 많은 양의 요오드-131을 투여하여 갑상선암 수술 후 남아있는 암세포나 전이된 암 조직을 파괴하는 치료에 사용된다. 루테슘-177 (¹⁷⁷Lu): 특정 암세포 표면에만 결합하는 분자(리간드)에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인 루테슘-177을 결합시킨다. 이 ‘방사선 미사일’은 혈관을 통해 온몸을 순환하다가 표적인 암세포에만 정확히 도달하여 방사선으로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이 기술은 전이성 전립선암이나 신경내분비종양 치료에 사용되며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치료+진단)’라는 새로운 분야를 열고 있다. 5.4 미지의 영역: 초중원소와 주기율표의 미래 주기율표는 118번 원소 오가네손(Oganesson, Og)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다. 전 세계의 거대 입자 가속기 연구소에서는 119번 이후의 초중원소(Superheavy element)를 합성하기 위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물질의 존재 한계를 탐구하는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이자, 원자핵의 안정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시험하는 과정이다. 과학자들은 특정 양성자와 중성자 수를 가질 때 원자핵이 상대적으로 더 안정해지는 ‘안정성의 섬(island of stability)’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만약 이 섬에 도달할 수 있다면, 수명이 매우 짧은 기존의 초중원소와 달리 비교적 오랫동안 존재하며 새로운 화학적 성질을 보여주는 원소를 발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원자 번호가 극도로 커지면 새로운 물리 현상이 나타난다. 강력한 원자핵의 전하 때문에 가장 안쪽 전자는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이게 되며,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 효과를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 상대론적 효과는 전자의 오비탈 에너지와 모양을 변화시켜, 우리가 알고 있는 주기성이 더 이상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주기율표가 과연 무한히 확장될 수 있는지, 아니면 어느 지점에서 그 규칙성이 붕괴될지는 현대 물리학과 화학의 가장 흥미로운 질문 중 하나이다. 더 나아가, 주기율표의 ‘최적 형태’에 대한 논의도 계속되고 있다. 우리가 익숙한 직사각형 표 외에도 나선형, 3차원 피라미드형 등 다양한 형태의 주기율표가 제안되었다. 이는 특정 원소들 간의 숨겨진 관계를 더 잘 드러내기 위한 시도로, 주기율표가 최종적으로 확정된 진리가 아니라 자연의 질서를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는 과학적 모델임을 보여준다. 결론 원소 주기율표는 19세기 화학자들이 물질의 혼돈 속에서 질서를 찾으려는 열망에서 시작하여, 양자역학이라는 현대 물리학의 견고한 토대 위에 세워진 과학의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다. 본 보고서는 주기율표의 역사적 발전 과정, 그 구조를 지배하는 물리적 원리, 이를 통해 나타나는 주기적 성질, 주요 원소족의 특성, 그리고 현대 과학 기술에서의 광범위한 응용에 이르기까지 다각적인 탐구를 진행했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핵심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주기율표는 단순한 분류 체계를 넘어 강력한 예측 도구이다. 멘델레예프가 미지 원소의 존재와 성질을 예측하며 그 힘을 증명한 이래, 주기율표는 신소재 설계, 화학 반응 예측, 심지어 초중원소 탐색에 이르기까지 과학적 발견을 이끄는 지침서 역할을 해왔다. 원소의 위치만으로 그 물리화학적 성질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은 화학을 경험적 학문에서 예측 가능한 과학으로 변모시켰다. 둘째, 주기율표의 구조는 우주의 근본 법칙인 양자역학의 가시적 발현이다. 주기와 족의 배열, 각 블록의 너비는 원자 내 전자 껍질과 오비탈의 구조, 그리고 전자를 지배하는 양자 규칙을 그대로 반영한다. 이는 화학적 현상이 결국 물리적 법칙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명백한 증거이며, 주기율표를 화학과 물리학을 잇는 핵심적인 다리로 만든다. 셋째, 주기율표는 인류의 삶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응용 과학의 초석이다. 반도체를 통한 정보화 혁명, 리튬 이온 배터리를 통한 에너지 혁명, 촉매를 이용한 산업 발전,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의료 혁신 등 현대 문명의 거의 모든 측면이 주기율표에 담긴 지식의 응용에 빚지고 있다. 주기율표는 실험실의 이론을 현실 세계의 기술로 전환하는 데 필수적인 로드맵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원소 주기율표는 과거의 발견을 기록하고, 현재의 이해를 체계화하며, 미래의 탐구를 안내하는 살아있는 지식 체계이다. 자연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들 사이에 숨겨진 질서와 패턴을 드러냄으로써, 주기율표는 우리가 물질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열쇠를 제공한다. 앞으로도 과학자들은 주기율표를 통해 화학적 원리를 더욱 깊이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며 문명의 지평을 넓혀나갈 것이다. 주기율표에 대한 이해는 곧 우리를 둘러싼 세계와 우주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는 길이다. 참고 자료

  1. 주기율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A%B8%B0%EC%9C%A8%ED%91%9C 2. 주기율표 (r505 판)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3%BC%EA%B8%B0%EC%9C%A8%ED%91%9C?uuid=aa3e8974-c397-4ff5-9b25-7fb24e36927f 3. 원소 주기율표 – Sigma-Aldrich, https://www.sigmaaldrich.com/KR/ko/technical-documents/technical-article/chemistry-and-synthesis/organic-reaction-toolbox/periodic-table-of-elements-names 4. 주기율표의 이해와 활용: 원소의 비밀을 풀어보자 – Goover, https://seo.goover.ai/report/202503/go-public-report-ko-099c5659-aa9e-40ce-8df0-2dd3d2095509-0-0.html 5.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 – 농부와시인 – 티스토리, https://greenhub.tistory.com/6042852 6. 주기율표의 역사 (1) 원소의 규칙성 – STA CHEMI STORY – 티스토리, https://stachemi.tistory.com/242 7. [월간 화학] 연금술과 근대화학Ⅱ(원소와 원자 이야기), https://www.chemi-in.com/686 8. periodic table(periodic table, 되베라이너의 세 쌍의 원소,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 https://m.reportworld.co.kr/science/s1223425 9. 2023 완자 화학1:주기율표:되베라이너:뉴랜즈:세쌍원소설:멘델레예프 – YouTube, 10. 되베라이너의 삼원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90%98%EB%B2%A0%EB%9D%BC%EC%9D%B4%EB%84%88%EC%9D%98_%EC%82%BC%EC%9B%90%EC%86%8C 11. 되베라이너 | PDF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884296576/%EB%90%98%EB%B2%A0%EB%9D%BC%EC%9D%B4%EB%84%88 12. [화학1 2단원] 주기율표를 만든 과학자들! (Feat. 원소들의 특징) – YouTube, 13. 과연 원소주기율표는 누가 만들었을까? –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https://m.chemworld.kr/contents/view/778 14. 과학백과사전/과학백과사전|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brd/board/390/L/menu/317?brdType=R&thisPage=1&bbsSn=28652&brdCodeValue= 15. 헬륨은 2번, 리튬은 3번? 원소 번호는 어떻게 정해질까? –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 공식블로그, https://www.chemidream.com/2772 16. [과학] 원소주기율표의 탄생배경과 역사ㅣ밸류체인타임스, https://www.valuetimes.co.kr/whatsnews/?bmode=view&idx=22634985 17. 멘델레예프가 예측한 원소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A9%98%EB%8D%B8%EB%A0%88%EC%98%88%ED%94%84%EA%B0%80_%EC%98%88%EC%B8%A1%ED%95%9C_%EC%9B%90%EC%86%8C%EB%93%A4 18. 주기율표를 만든 천재들 – 사이언스타임즈,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8%98%ED%97%AC%EB%A6%AC%EB%B2%A0-%EB%B6%95%ED%83%84%EC%A7%88%EC%82%B0-%EC%A3%BC%EA%B8%B0%EC%9C%A8%ED%91%9C%EB%A5%BC-%EB%A7%8C%EB%93%A0-%EC%B2%9C%EC%9E%AC%EB%93%A4/ 19. 과학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A%B3%BC%ED%95%99%EC%82%AC 20.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D%B4_%EA%B8%88%EC%86%8D#:~:text=%EC%A0%84%EC%9D%B4%20%EA%B8%88%EC%86%8D%EB%8F%84%20%EC%9D%BC%EB%B0%98%20%EA%B8%88%EC%86%8D,%EC%9D%B4%EC%98%A8%20%ED%98%95%ED%83%9C%EB%A1%9C%20%EC%A1%B4%EC%9E%AC%ED%95%9C%EB%8B%A4. 21.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93%9C%EB%AF%B8%ED%8A%B8%EB%A6%AC%20%EB%A9%98%EB%8D%B8%EB%A0%88%EC%98%88%ED%94%84 22. 서윤하 기자 –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https://m.chemworld.kr/contents/view/9401 23. [2023 여름 자몽시리즈] 08. 헨리 모즐리 – 뉴스룸 – 서울대학교 자연 …, https://science.snu.ac.kr/newsroom/view/2/11/919 24. 헨리 모즐리 (물리학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D%97%A8%EB%A6%AC_%EB%AA%A8%EC%A6%90%EB%A6%AC_(%EB%AC%BC%EB%A6%AC%ED%95%99%EC%9E%90) 25. 헨리 귄 제프리스 모즐리 (r79 판)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7%A8%EB%A6%AC%20%EA%B7%84%20%EC%A0%9C%ED%94%84%EB%A6%AC%EC%8A%A4%20%EB%AA%A8%EC%A6%90%EB%A6%AC?uuid=ab0c35af-8c41-4cc0-809a-fef29cc0b3e3 26. 모즐리의 법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AA%A8%EC%A6%90%EB%A6%AC%EC%9D%98_%EB%B2%95%EC%B9%99 27. 8. 주기율표, http://contents.kocw.or.kr/contents4/document/lec/2013/Sangmyung/HongSeRyeong/8.pdf 28. 주기율표에 대해 공부해봐요 Periodic Table 멘델레예프 원소 원자 – YouTube, 29. 주기율표의 역사 (3) 모즐리가 밝혀낸 원자 구조의 비밀, https://stachemi.tistory.com/267 30. 악티늄족은 무엇인가! 하편 –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https://m.chemworld.kr/contents/view/10720 31. 글렌 T. 시보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A%B8%80%EB%A0%8C_T._%EC%8B%9C%EB%B3%B4%EA%B7%B8 32. 플루토늄 원소 발견 미 화학자 시보그 사망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3756341 33. 악티늄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5%ED%8B%B0%EB%8A%84%EC%A1%B1 34. IBS 천진우 단장, 美 글렌 시보그 강연상 수상, https://www.ibs.re.kr/cop/bbs/BBSMSTR_000000000736/selectBoardArticle.do?nttId=25131&pageIndex=1&mno=sitemap_02&searchCnd=&searchWrd= 35.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073, 원자번호 118번 ‘오가네손’을 소개합니다. – LG케미토피아, https://blog.lgchem.com/2020/05/14_oganesson/ 36. 바닥상태 전자 배치와 원소의 주기율표 – 나눔 과학 자료실, http://www.sciencenanum.net/chemistry/periodicity/periodicity_09.html 37. 오비탈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8%A4%EB%B9%84%ED%83%88 38. [원자의 구조와 주기성] 단원 정리 – 나눔 과학 자료실, http://www.sciencenanum.net/chemistry/periodicity/periodicity_14.html 39. 강신종 쌤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7 주기율표 하 – 생글생글,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8031637101 40. 화학 원소 주기율표와 하나님의 질서, https://creation.com/%EC%9B%90%EC%86%8C%EC%9D%98-%ED%95%98%EB%82%98%EB%8B%98%EC%9D%98-%EC%A7%88%EC%84%9C 41. 주기율표 3 (오비탈, 쌓음 원리) – 화학 발전소 – 티스토리, https://chemistry-station.tistory.com/44 42. 주기율표 – 금성출판사 :: 티칭백과, https://dic.kumsung.co.kr/web/smart/detail.do?headwordId=780&findCategory=B002004&findBookId=25 43. dic.kumsung.co.kr, https://dic.kumsung.co.kr/web/smart/detail.do?headwordId=780&findCategory=B002004&findBookId=25#:~:text=%EC%A3%BC%EA%B8%B0%EC%9C%A8%ED%91%9C%20periodic%20table&text=%EC%9B%90%EC%86%8C%EB%93%A4%EC%9D%84%20%EC%9B%90%EC%9E%90%20%EB%B2%88%ED%98%B8%20%EC%88%9C,%EC%84%B8%EB%A1%9C%EC%A4%84%EC%9D%80%20%EC%A1%B1%EC%9D%B4%EB%9D%BC%EA%B3%A0%20%ED%95%9C%EB%8B%A4. 44. 주기율표-개관과 1족 원소 – 토막 화학 – 티스토리, https://everychemi.tistory.com/34 45. 2. 오비탈과 주기율표, 원자의 구조, 주기와 족 | 캠벨 생명과학32~35p, 46. 족 (주기율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1%B1(%EC%A3%BC%EA%B8%B0%EC%9C%A8%ED%91%9C) 47. 주기율표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3%BC%EA%B8%B0%EC%9C%A8%ED%91%9C 48. [동향]새로운 주기율표 등장…화합물 포함 – 사이언스온,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Trend.do?cn=SCTM00214363 49. 평균 원자량을 구하는 방법, https://edu.dokdok.co/post-5/1685078630150×191322624110100480 50. [화학] 3강. 원자량 질량수와 동위원소 몰(mol) 몰 질량(g/mol) 어렵지 않아요 – YouTube, 51. edu.dokdok.co, https://edu.dokdok.co/post-5/1685078630150×191322624110100480#:~:text=%EB%8F%99%EC%9C%84%20%EC%9B%90%EC%86%8C%EB%8A%94%20%EC%9B%90%EC%86%8C%EC%9D%98,%EC%9B%90%EC%9E%90%EB%9F%89%EC%9D%84%20%EA%B5%AC%ED%95%A0%20%EC%88%98%20%EC%9E%88%EC%8A%B5%EB%8B%88%EB%8B%A4. 52.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성질 질량수 평균원자량, https://school.jbedu.kr/_cmm/fileDownload/gunsanj/MABAEACBCAE/a3e3f3303f2726d747cc659d4ac96ca5 53. [화학1 2단원] 꼭 보세요. 진짜 꿀팁입니다!! 평균 원자량, 동위 원소의 중성자수 내분으로 계산하기 – YouTube, 54. 원자량을 반올림해서 질량수를 구하는 이유가 뭐임? : r/chemhelp – Reddit, https://www.reddit.com/r/chemhelp/comments/6fsyv5/why_do_we_round_up_to_the_nearest_whole_number_of/?tl=ko 55. 원자의 구조와 동위원소(+평균 원자량) – YouTube, 56. 원자량은 단위가 없다는데 amu는 뭐죠..? – 화학 (비댓 금지) – Daum 카페, https://m.cafe.daum.net/S2000/bS3/15754 57. (화학1)원자량과 몰(원리중심) – YouTube, 58. [ 고등학교 화학 ] 질량수, 원자 질량, 상대/평균 원자 질량, 원자 중량 : r/HomeworkHelp – Reddit, https://www.reddit.com/r/HomeworkHelp/comments/sfg14f/highschool_chemistry_mass_number_atomic_mass/?tl=ko 59. 주기적 성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A%B8%B0%EC%A0%81_%EC%84%B1%EC%A7%88 60. stachemi.tistory.com, https://stachemi.tistory.com/264#:~:text=%EC%A0%84%EC%9E%90%20%EA%B0%84%20%EC%A0%95%EC%A0%84%EA%B8%B0%EC%A0%81%20%EB%B0%98%EB%B0%9C,%2C%20Zeff)%EB%9D%BC%20%ED%95%9C%EB%8B%A4. 61. 가림 효과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B%A6%BC_%ED%9A%A8%EA%B3%BC 62. 유효 핵전하 (r15 판)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C%A0%ED%9A%A8%20%ED%95%B5%EC%A0%84%ED%95%98?uuid=6576559b-a29c-462c-9e26-23f675654a60 63. 유효 핵전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C%A0%ED%9A%A8%20%ED%95%B5%EC%A0%84%ED%95%98 64. 주기율표의 해석- 유효핵전하 – YouTube, 65. 2025_화학1주기율표와 주기성(유효핵전하, 원자및 이온반지름) – YouTube, 66. General Chemistry I 제8장. 원소의 주기성, https://cse.pusan.ac.kr/bbs/chem/2735/339601/download.do 67. 이온화 에너지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D%B4%EC%98%A8%ED%99%94%20%EC%97%90%EB%84%88%EC%A7%80 68. [화학1] 원소의 주기적 성질 (2)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 – 생명과학은 낭만으로 하는거랬어, https://onsaem9134.tistory.com/18 69. 이온화 에너지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4054 70. 이온화 에너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8%A8%ED%99%94%EC%97%90%EB%84%88%EC%A7%80 71. 전자 친화도 – 나눔 과학 자료실, http://www.sciencenanum.net/chemistry/periodicity/periodicity_11.html 72. [G. Chem] 17. 전자친화도(Electron Affinity) – Herald-Lab – 티스토리, https://herald-lab.tistory.com/67 73. 전기 음성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A%B8%B0_%EC%9D%8C%EC%84%B1%EB%8F%84 74. 전기음성도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0%84%EA%B8%B0%EC%9D%8C%EC%84%B1%EB%8F%84 75. 전기음성도의 주기성 | PDF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785855634/%EC%A0%84%EA%B8%B0%EC%9D%8C%EC%84%B1%EB%8F%84%EC%9D%98-%EC%A3%BC%EA%B8%B0%EC%84%B1 76. 알칼리 금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C%B9%BC%EB%A6%AC_%EA%B8%88%EC%86%8D 77. 알칼리 금속과 할로겐 원소의 성질 – 옹달샘 전승기 – 티스토리, https://star-44.tistory.com/195 78. 알칼리 금속의 물리적 특성 – 뉴스 – Jinan Hong Sendi New Materials Co., Ltd, https://ko.hongsendi.com/news/physical-properties-of-alkali-metals-67812259.html 79. 알칼리 토금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C%B9%BC%EB%A6%AC_%ED%86%A0%EA%B8%88%EC%86%8D 80. 알칼리 토금속은 무엇인가! –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https://m.chemworld.kr/contents/view/10831 81. 전이 금속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C%9D%B4_%EA%B8%88%EC%86%8D 82. 금속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o=3969 83. 전이금속 – 위키원, http://wiki.hash.kr/index.php/%EC%A0%84%EC%9D%B4%EA%B8%88%EC%86%8D 84. 산화 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금속-플루오린 촉매 개발 성공 – 전기신문,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981 85. 전이 금속 촉매 – Sigma-Aldrich, https://www.sigmaaldrich.com/KR/ko/products/chemistry-and-biochemicals/catalysts/transition-metal-catalysts 86. 유기전이금속 촉매 연구실 – 대한화학회, https://new.kcsnet.or.kr/main/k_download/chem_download.htm?chempdf=0503058.pdf&chemyear=2005&chemmonth=03&chemvol=45 87. [1분 1개념] 9. 할로젠 원소 – YouTube, https://m.youtube.com/shorts/65KUNff_a7Q 88. 교수-학습 자료 –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https://serc.snu.ac.kr/wp-content/uploads/sites/80/2022/b/%EA%B5%90%EC%88%98%ED%95%99%EC%8A%B5%EC%9E%90%EB%A3%8C_%ED%99%94%ED%95%99_%EC%96%B4%EC%A7%84%EC%98%81_1.pdf 89. 12. 할로젠 원소 #할로젠원소 #17족원소 #음이온 #화학적성질 #원자가전자 #물리적성질, 90. 할로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D%95%A0%EB%A1%9C%EC%A0%A0 91. 12화 비활성 기체가 홀로 설 수 있는 이유, https://brunch.co.kr/@@aYgW/65 92. 비활성 기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99%9C%EC%84%B1_%EA%B8%B0%EC%B2%B4 93. chemielove.krict.re.kr, https://chemielove.krict.re.kr/resources/images/book/book_atom_q24.pdf 94. 비활성 기체, https://edu.dokdok.co/post-def/1684294897387×569579724996083700 95. 주기율표의 탄생 배경과 예시, https://gametin.tistory.com/16 96. KR100961416B1 – 주기율표 제 13 족 금속 질화물 결정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 …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0961416B1/ko 97. 규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A%B7%9C%EC%86%8C 98. [생활 속 화학 이야기] 반도체를 만드는 물질, 규소, https://news.samsungsemiconductor.com/kr/%EC%83%9D%ED%99%9C-%EC%86%8D-%ED%99%94%ED%95%99-%EC%9D%B4%EC%95%BC%EA%B8%B0-%EB%B0%98%EB%8F%84%EC%B2%B4%EB%A5%BC-%EB%A7%8C%EB%93%9C%EB%8A%94-%EB%AC%BC%EC%A7%88-%EA%B7%9C%EC%86%8C/ 99. 원소로 보는 화학사 Vol.057, 원자번호 31번 ‘갈륨’을 소개합니다. – LG케미토피아, https://blog.lgchem.com/2019/09/19_gallium/ 100. 배터리의 근원을 찾아서 – 리튬 편, https://inside.lgensol.com/2021/11/%EB%B0%B0%ED%84%B0%EB%A6%AC%EC%9D%98-%EA%B7%BC%EC%9B%90%EC%9D%84-%EC%B0%BE%EC%95%84%EC%84%9C-%EB%A6%AC%ED%8A%AC-%ED%8E%B8/ 101. 리튬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6%AC%ED%8A%AC 102.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 이슈와 안전기술 – CSIT Energy, https://www.csit-energy.com/ko/news/safety-issues-and-safety-technologies-of-lithium-ion-batteries/ 103. 118개 원소에 숨어있는 화학기술 & 인류 삶 바꿀 혁신기술…주기율표에 숨어있다, https://biochemistry.khu.ac.kr/lab/?p=3429 104. KR20170023304A – 전이금속과 질소가 도핑된 다공성 탄소 촉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20170023304A/ko 105. 그린 수소 생산 위한 이차원 소재 기반 촉매 개발 – 이로운넷,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33178 106. www.samsunghospital.c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439&DP_CODE=CIC&MENU_ID=004027015&ds_code=D0000130#:~:text=%EB%B0%A9%EC%82%AC%EC%84%B1%EB%8F%99%EC%9C%84%EC%9B%90%EC%86%8C%20(%EC%9A%94%EB%93%9C)%EB%8A%94,%EA%B0%91%EC%83%81%EC%84%A0%EC%95%94%20%EC%A1%B0%EC%A7%81%EC%9D%84%20%ED%8C%8C%EA%B4%B4%EC%8B%9C%ED%82%B5%EB%8B%88%EB%8B%A4. 107. 핵의학 – 암의 진단과 치료 – 암정보교육관 – 서울대학교 암연구소, https://cri.snu.ac.kr/information/cancer-diagnosis/info2 108. 방사성동위원소 치료의 개요 – 서울대학교병원, https://dept.snuh.org/dept/NM/index.do?menuId=004014011 109. [핫클립] 암을 치료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 YTN 사이언스 – YouTube, 110. [암 최신치료 Q&A] 방사성의약품, 안전성과 치료효과는? | 건강이야기 – 서울아산병원 뉴스룸, https://news.amc.seoul.kr/news/con/detail.do?cntId=10230 111. 원소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B%90%EC%86%8C 112. 인류 삶 바꿀 혁신기술…주기율표에 숨어있다 – 헤럴드경제,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1982895 113. 원자번호별 원소: 특성 및 활용 총정리 – Goover, https://seo.goover.ai/report/202410/go-public-report-ko-5e61543f-73cf-4241-96fd-9e87c41e2378-0-0.html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