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8월 18th, 2025

Part 1: 베어링의 기초 (Fundamentals of Bearings) 서론 (Introduction) 베어링(Bearing)은 기계 시스템의 가장 근본적이면서도 고도로 정교한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거대한 발전소 터빈에서부터 초정밀 의료 기기에 이르기까지, 회전 운동이 존재하는 모든 시스템의 신뢰성과 효율성은 본질적으로 베어링의 성능에 좌우된다. 기계공학적 관점에서 베어링은 막대한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해야 하는 상충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다. 이 보고서는 베어링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 원리, 구조적 특성, 그리고 체계적 분류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이 필수적인 기계 요소에 대한 포괄적이고 분석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어링의 역사는 마찰을 줄여 운동을 용이하게 하려는 인류의 오랜 탐구 과정을 반영한다. 약 1500년경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헬리콥터 설계에 볼 베어링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 기록상 최초의 사례 중 하나이며, 18세기 중반 시계 제작자 존 해리슨이 해상용 크로노미터에 실용적인 롤러 베어링을 발명하여 정밀 기계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열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현대 베어링이 오랜 기간 축적된 공학적 지식과 첨단 기술의 집약체임을 시사한다. 1.1. 베어링의 정의와 핵심 역할 (Definition and Core Roles of Bearings) 1.1.1. 기본 정의 및 원리 (Fundamental Definition and Principles) 베어링은 기계적 운동부(일반적으로 축)를 지지하고, 그 상대 운동을 원하는 경로(예: 회전 또는 직선 운동)로 구속하며, 움직이는 부품 간의 마찰을 결정적으로 감소시키는 기계 요소로 정의된다. 베어링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접적인 금속 간 접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에너지 손실, 발열, 그리고 재료의 마모를 방지하여 원활한 운동을 구현하는 것이다. 1.1.2. 하중(Load)의 지지와 분산 (Load Support and Distribution) 베어링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회전체로부터 발생하는 힘을 지지하여 고정된 구조물(하우징)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축 자체의 무게뿐만 아니라 기계 작동 중에 발생하는 모든 운전 하중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중은 작용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레이디얼 하중 (Radial Load): 축의 회전 중심선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축방향 하중 (Axial/Thrust Load): 축의 회전 중심선과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이다. 복합 하중 (Combined Load): 레이디얼 하중과 축방향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베어링은 이러한 하중을 내부의 넓은 면적 또는 다수의 전동체에 걸쳐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야 한다. 만약 하중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면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베어링의 조기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균일한 하중 분산은 베어링의 수명과 신뢰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1.1.3. 마찰(Friction) 감소의 물리적 원리 (Physical Principles of Friction Reduction) 마찰 감소는 베어링의 존재 이유이자 가장 근본적인 역할이다. 마찰을 줄이는 방식에 따라 베어링은 두 가지 주요 계열로 나뉜다. 구름 베어링 (Rolling Bearings): 이 베어링은 저항이 큰 미끄럼 마찰(sliding friction)을 저항이 훨씬 작은 구름 마찰(rolling friction)로 변환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두 개의 마찰면 사이에 볼(ball)이나 롤러(roller)와 같은 전동체를 삽입함으로써, 무거운 물체를 통나무 위에 올려놓고 굴리는 것처럼 마찰 저항을 극적으로 감소시킨다. 미끄럼 베어링 (Plain Bearings): 이 베어링은 두 마찰면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얇은 윤활막(lubricant film)을 형성하여 마찰을 줄인다. 하중은 이 유체막 내부의 압력에 의해 지지되며, 직접적인 표면 접촉이 제거되어 전단 저항(shear resistance)이 최소화된다. 윤활제로는 오일, 그리스, 심지어 공기나 가스도 사용될 수 있다. 1.1.4. 회전 운동의 정밀도 유지 (Maintaining Precision of Motion) 베어링은 축이 정해진 중심선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회전하도록 보장하여, 원치 않는 축의 흔들림이나 편심(runout)을 최소화하는 정밀 부품이다. 기어와 축 같은 부품 간의 정확한 정렬(alignment)을 유지하는 것은 동력 전달 장치의 올바른 작동과 부품의 조기 마모 방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또한, 안정적이고 구속된 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기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5. 동력 전달 계통에서의 중요성 (Importance in Power Transmission Systems) 기어박스, 엔진, 전기 모터와 같은 모든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과 기어를 지지하며 토크와 동력의 효율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베어링은 마찰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기계 전체의 효율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킨다. 마찰로 인해 열로 낭비되는 에너지가 줄어들고, 더 많은 입력 동력이 유용한 일로 전환된다. 이는 자동차 변속기부터 대형 산업 기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회전 기기에서 에너지 효율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베어링의 네 가지 핵심 역할—하중 지지, 마찰 감소, 정밀도 유지, 동력 전달—은 독립적인 기능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 효율적인 동력 전달은 효과적인 마찰 감소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높은 정밀도는 적절한 하중 분산과 안정적인 윤활막 형성에 필요한 특정 간극과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즉, 정밀한 형상 제어를 통해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마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동력이 손실 없이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베어링의 한 가지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면(예: 마모로 인한 정밀도 저하), 이는 연쇄적으로 다른 기능들의 저하를 초래하여 마찰 증가, 동력 손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시스템 전체의 고장으로 이어진다. 1.2. 베어링의 주요 구성 요소 (Key Components of a Bearing) 이 섹션에서는 구성 요소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구름 베어링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미끄럼 베어링의 구조는 1.3.1절에서 상세히 다룬다. 1.2.1. 궤도륜: 내륜 및 외륜 (Raceways: Inner Ring & Outer Ring) 궤도륜은 전동체가 구르는 정밀하게 연삭된 경로(궤도면)를 제공하는 경화강 링이다. 내륜(Inner Ring)은 축에 끼워지고, 외륜(Outer Ring)은 하우징에 장착된다. 궤도 홈의 기하학적 형상(예: 깊은홈 볼 베어링의 깊은 홈)은 베어링의 하중 지지 특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고순도의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예: SUJ2)으로 제작되며, 전체 또는 표면을 경화 처리하여 구름 피로와 마모에 대한 탁월한 저항성을 갖도록 한다. 1.2.2. 전동체 (Rolling Elements: Balls, Rollers) 전동체는 궤도륜 사이에서 구름 운동을 통해 마찰을 줄이는 핵심 부품이다. 전동체의 형상은 베어링의 기본 특성을 결정한다. 볼 (Balls): 구형의 전동체로, 궤도면과 ‘점 접촉(point contact)’을 한다. 이 구조는 마찰이 매우 낮아 고속 회전 용도에 적합하다. 롤러 (Rollers): 원통형, 테이퍼형, 구면형 등 다양한 형태의 원통형 전동체로, 궤도면과 ‘선 접촉(line contact)’을 한다. 접촉 면적이 넓어 볼보다 훨씬 무거운 하중을 지지할 수 있지만, 마찰이 더 크고 속도 한계가 낮다. 전동체의 재질은 궤도륜과 유사하게 높은 경도와 피로 강도가 요구된다. 고성능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질화규소(\text{Si}_3\text{N}_4)와 같은 세라믹 재료가 사용되는데, 이는 밀도가 낮아(더 높은 속도 가능), 경도가 높고, 내부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1.2.3. 리테이너 (Retainer/Cage) 리테이너는 전동체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잡아주는 부품이다. 또한 전동체가 하중 영역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강판 프레스 리테이너 (Pressed Steel): 가장 일반적이며 비용 효율적이다. 황동/청동 절삭 리테이너 (Machined Brass/Bronze): 강도와 감쇠 특성이 우수하여 고속 또는 고진동 환경에 사용된다. 폴리아미드 리테이너 (Polyamide/Nylon): 경량이며 마찰 특성이 좋아 초고속 회전에 적합하지만, 온도에 대한 제약이 있다. 이론적으로 베어링의 하중 및 속도 용량은 궤도륜과 전동체에 의해 결정되지만, 실제 운전 환경에서는 리테이너가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초고속 회전 시, 전동체에는 엄청난 원심력이 가해져 외륜 쪽으로 강하게 밀리게 된다. 리테이너는 이 힘을 견디며 전동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강판 프레스 리테이너는 이러한 조건에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전동체와 리테이너 포켓 사이의 미끄럼 마찰과 그로 인한 발열은 고속에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고속 용도에서는 황동 절삭 리테이너나 경량의 폴리아미드 리테이너와 같이 더 견고하고 마찰이 적은 특수 리테이너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리테이너는 단순히 전동체를 분리하는 수동적인 부품이 아니라, 베어링의 성능 한계를 결정하는 능동적이고 핵심적인 부품이다. 1.2.4. 실 (Seal) 및 실드 (Shield) 실과 실드는 베어링 양쪽에 장착되어 내부의 윤활제는 유지하고 외부의 오염물질(먼지, 수분 등)은 차단하는 보호 장치이다. 실드 (Shields): 일반적으로 강판으로 만들어진 비접촉식 덮개로, 내륜과 미세한 틈새를 형성한다. 큰 입자로부터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하면서 추가적인 마찰이 거의 없어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호칭 번호 뒤에 ‘Z’ 또는 ‘ZZ’로 표기된다. 실 (Seals): 일반적으로 강판에 합성고무(예: 니트릴 고무)를 부착한 형태로, 실의 끝부분(립, lip)이 내륜 표면에 가볍게 접촉한다. 미세한 오염물질과 수분에 대해 탁월한 밀봉 성능을 제공하지만, 접촉으로 인해 마찰이 발생하여 최대 회전 속도를 제한한다. 호칭 번호 뒤에 ‘DDU’나 ‘2RS’ 등으로 표기된다. 1.3. 베어링의 분류 (Classification of Bearings) 베어링은 작동 원리에 따라 크게 미끄럼 베어링(Plain/Sliding Bearings)과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s)의 두 가지 계열로 분류된다. 이 두 계열 사이의 선택은 상당한 장단점을 수반하는 중요한 공학적 결정이다. 아래 표는 두 베어링 계열의 핵심적인 특성을 비교하여 각 유형의 적용 영역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Table 1: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의 핵심 특성 비교 (Comparison of Key Characteristics: Plain vs. Rolling Bearings) 1.3.1. 미끄럼 베어링 (Plain Bearings / Sliding Bearings) 작동 원리 및 윤활 체계 (Operating Principles and Lubrication Regimes) 미끄럼 베어링은 고정된 하우징과 회전하는 축(저널, journal) 사이에 분리막을 형성하여 기능한다. 이 막의 상태는 윤활 체계(lubrication regime)를 결정하며, 이는 스트라이벡 곡선(Stribeck Curve)으로 가장 잘 설명된다. 유체 윤활 (Hydrodynamic Lubrication): 충분한 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축의 회전 운동이 쐐기 모양의 간극으로 윤활제를 끌어들여 압력을 가진 유체막을 형성하고, 이 압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며 두 표면을 완전히 분리시킨다. 이는 마찰이 극도로 낮고 마모가 거의 없는 이상적인 작동 상태이다. 이 압력은 기계의 운동 자체에 의해 생성된다(동압). 경계 윤활 (Boundary Lubrication): 기동, 정지 시 또는 고하중/저속 조건에서 유체막이 표면의 미세한 돌기(asperity) 간 접촉을 막을 만큼 충분히 두껍지 않을 때 발생한다. 마찰이 높으며, 마모는 표면에 형성된 화학적 첨가제 층에 의해서만 방지된다. 혼합 윤활 (Mixed Lubrication): 경계 윤활과 유체 윤활 사이의 전이 상태로, 하중의 일부는 유체막이, 나머지는 표면 돌기가 지지한다. 건식 윤활 (Dry Lubrication): 액체 윤활제 없이 작동하는 ‘오일리스(oilless)’ 베어링이다. PTFE(테프론), 흑연, 이황화몰리브덴(\text{MoS}_2)과 같은 저마찰 재료나 고체 윤활제를 내장하여 기능한다. 극고온/저온, 진공 환경 또는 오일 오염이 허용되지 않는 식품 및 의료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주요 형식 및 응용 (Principal Types and Applications) 저널 베어링 (Journal Bearing): 원통형 슬리브가 축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이나 캠축 등에 널리 사용된다. 스러스트 베어링 (Thrust Bearing):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보통 축의 칼라(collar)와 마주 보는 평평한 패드나 링의 형태를 띤다. 틸팅 패드 베어링 (Tilting Pad Bearing): 베어링 면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세그먼트, 즉 ‘패드(pad)’로 구성되어 각 패드가 개별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고도의 기술이 집약된 베어링이다. 원리: 축이 회전하면 각 패드가 자동으로 기울어져 최적의 유체 동압 쐐기를 형성하여 하중 지지 능력과 안정성을 극대화한다. 장점: 이 설계는 고정된 형상의 베어링에서 고속 회전 시 흔히 발생하는 유체막 불안정 현상인 ‘오일 훨(oil whirl)’과 ‘오일 휩(oil whip)’을 근본적으로 억제한다. 가스터빈 및 대형 회전기기 적용 사례 (Application Case: Gas Turbines & Large Rotating Machinery) 가스터빈, 증기 터빈, 대형 산업용 펌프와 같은 고속, 고출력 회전기계는 로터 지지를 위해 미끄럼 베어링, 특히 틸팅 패드 베어링을 독점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구름 베어링이 이러한 기기에서 요구되는 극한의 속도, 하중, 그리고 긴 수명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오일막이 제공하는 우수한 감쇠(damping) 특성은 고속 회전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틸팅 패드 베어링의 개발은 단순히 기존 베어링을 개선한 것이 아니라, 현대 고속 터보 기계(제트 엔진, 발전용 터빈 등)의 등장을 가능하게 한 핵심적인 기반 기술(enabling technology)이었다. 초기의 고속 기계들은 단순한 저널 베어링을 사용했으나, 특정 속도 이상에서 유체막 자체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며 파국적인 고장을 일으키는 ‘오일 훨’ 현상 때문에 운전 속도에 명확한 한계가 있었다. 틸팅 패드 설계는 각 패드가 독립적으로 움직여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지속적인 원주 방향 압력 분포가 형성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즉, 로터를 불안정한 궤도로 밀어내는 ‘교차 결합력(cross-coupling force)’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속도의 장벽을 제거함으로써, 틸팅 패드 베어링은 엔지니어들이 이전에는 도달할 수 없었던 속도로 작동하는 터빈과 압축기를 설계할 수 있는 길을 열었고, 이는 현대 항공 및 발전 산업의 근간을 이루게 되었다. 1.3.2. 구름 베어링 (Rolling Bearings) 작동 원리 (Operating Principle) 구름 베어링은 두 궤도륜 사이에 전동체를 넣어 구름 마찰 원리를 이용한다. 미끄럼 베어링에 비해 고도로 표준화되어 있어 상호 교환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중 방향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Load Direction) 레이디얼 베어링 (Radial Bearing): 주로 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중 작용선과 베어링 축에 수직인 평면이 이루는 각도인 접촉각(contact angle)이 일반적으로 $0^{\circ}$에서 45^{\circ} 사이다. 스러스트 베어링 (Thrust Bearing): 주로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접촉각이 $45^{\circ}$보다 크며, 일반적으로 $90^{\circ}$이다. 전동체 형상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by Rolling Element Geometry) 볼 베어링 (Ball Bearing): 구형 전동체(점 접촉)를 특징으로 한다. 깊은홈 볼 베어링 (Deep Groove Ball Bearing): 가장 보편적이고 다목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이다. 궤도에 깊고 연속적인 홈이 있어 레이디얼 하중과 양방향의 축방향 하중을 모두 감당할 수 있다. 전기 모터와 같이 고속 및 저소음 운전이 요구되는 곳에 이상적이다.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내륜과 외륜의 궤도가 서로 상대적으로 편향되어 있어 일정한 접촉각(15^{\circ}, 25^{\circ}, 40^{\circ} 등)을 형성한다. 무거운 복합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한쪽 방향의 축방향 하중만 감당한다. 공작기계 스핀들과 같은 고정밀, 고속 용도에서 두 개를 쌍으로(배면 또는 정면 조합)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접촉각이 클수록 축방향 하중 지지 능력은 증가하지만 최고 속도는 감소한다. 자동조심 볼 베어링 (Self-Aligning Ball Bearing): 두 줄의 볼과 구면 형상의 외륜 궤도면을 가진다. 이 구조 덕분에 축과 하우징 사이에 정적 또는 동적 중심 오차(misalignment)가 발생하더라도 베어링이 이를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동일 크기의 깊은홈 볼 베어링보다 하중 지지 능력은 낮다. 롤러 베어링 (Roller Bearing): 다양한 형태의 원통형 전동체(선 접촉)를 특징으로 한다. 원통 롤러 베어링 (Cylindrical Roller Bearing): 원통형 롤러를 사용한다. 매우 높은 레이디얼 하중 지지 능력과 고속 성능을 제공하지만, 턱(flange)이 없는 구조에서는 축방향 하중을 거의 지지하지 못한다. 무거운 레이디얼 하중이 작용하는 산업용 기어박스나 전동기에 적합하다. 테이퍼 롤러 베어링 (Tapered Roller Bearing): 원뿔형 롤러가 원뿔형 궤도면 위를 구른다. 이 테이퍼 구조는 매우 무거운 레이디얼 하중과 축방향 하중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자동차 휠 허브나 중장비 변속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구면 롤러 베어링 (Spherical Roller Bearing): 두 줄의 술통형(barrel-shaped) 롤러와 공통의 구면 외륜 궤도를 가진다. 자동조심 볼 베어링과 유사한 원리이지만 훨씬 더 견고하다. 매우 무거운 레이디얼 하중, 상당한 축방향 하중, 그리고 큰 중심 오차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어 광산 설비, 파쇄기, 제지 기계 등 가혹한 산업 환경에서 대체 불가능한 역할을 한다. 아래 표는 주요 구름 베어링 형식별 특성과 대표적인 적용 분야를 요약하여, 특정 요구사항에 맞는 베어링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Table 2: 주요 구름 베어링 형식별 특성 및 용도 요약 (Summary of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by Major Rolling Bearing Type) 결론 (Conclusion) 베어링은 기계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하는 정밀 핵심 부품으로, 하중 지지, 마찰 감소, 운동 정밀도 유지라는 상호 의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베어링의 선택은 근본적인 공학적 트레이드오프(trade-off)에 의해 결정된다. 볼 베어링의 ‘점 접촉’은 고속 회전에 유리하고, 롤러 베어링의 ‘선 접촉’은 고하중 지지에 유리하다. 미끄럼 베어링은 유막을 통해 탁월한 충격 흡수 능력을 제공하는 반면, 구름 베어링은 낮은 기동 마찰과 높은 표준화라는 장점을 가진다. 어떤 유형의 베어링이든, 그 성능과 수명은 윤활의 질에 의해 결정적으로 좌우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베어링 기술은 더 높은 에너지 효율(저마찰), 증대된 동력 밀도(고하중/고속), 그리고 극한 환경에서의 신뢰성 향상이라는 산업계의 요구에 부응하여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세라믹이나 고기능성 폴리머와 같은 신소재 개발과 첨단 윤활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결국, 베어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현대 기계 시스템을 설계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1. 베어링이란 (구조 & 종류 & 추천 용도), https://nettb.tistory.com/entry/%EB%B2%A0%EC%96%B4%EB%A7%81%EC%9D%B4%EB%9E%80-%EA%B5%AC%EC%A1%B0-%EC%A2%85%EB%A5%98-%EC%B6%94%EC%B2%9C-%EC%9A%A9%EB%8F%84 2. 베어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2%A0%EC%96%B4%EB%A7%81 3. 베어링의 작동 원리 – 지식 – Sun Rises Group Limited, https://ko.suvbearing.com/info/the-working-principle-of-bearings-73687752.html 4.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기계 공학에서 그 역할은 무엇입니까? – 지식, https://ko.sgsabearing.com/info/what-is-a-bearing-what-is-its-role-in-mechani-85605618.html 5. 1. 베어링의 종류, https://m.ohmye.co.kr/web/ohmye/ETC/bearing.pdf 6. 베어링 핸드북 (기초편), http://www.dscon.co.kr/adm/data/product/1710240004_1.pdf 7. 모터가 베어링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회사 소식 – 뉴스, https://ko.zjwxbearing.com/news/why-do-motors-use-bearings-77697860.html 8. 베어링 하우징 – 지식, https://ko.welongcasting.com/info/bearing-housing-87622077.html 9. 베어링 하중과 그것이 기계에 미치는 영향 이해 -FHD, https://fhdbearings.com/ko/blog/bearing-loads/ 10. 레이디얼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의 차이점 – lkpb bearing, https://lkpbearing.com/ko/difference-between-radial-and-thrust-bearings/ 11. 농기계 베어링은 농기계의 마찰을 줄이고 동력 전달을 향상시키는 데 어떤 역할을 합니까?, https://kr.dhk-intl.com/news/industry-news/what-role-do-agricultural-machinery-bearings-play-in-reducing-friction-and-enhancing-power-transmission-in-agricultural-equipment.html 12. 구름 베어링 (Rolling Bearing) – KPAC 한국폴리아세탈(주), https://www.gpac-kpac.com/tech/tech01.php?Code=Tech7&SM=View&Seq=4 13. Chapter 06 베어링 6-1,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2.pdf 14. 구름 베어링과 미끄럼 베어링 – 접시꽃 – 티스토리, https://bubidi.tistory.com/152 15. 윤활(潤滑, lubrication), https://rbe.jnu.ac.kr/bbs/mechauto/357/1777/download.do 16. 볼 베어링의 깊은 홈이란 무엇입니까? – 지식, https://ko.zwzmachinery.com/info/what-is-deep-groove-in-ball-bearing–89770507.html 17. www.ntnkorea.co.kr, https://www.ntnkorea.co.kr/product/03_01/#:~:text=%EB%B2%A0%EC%96%B4%EB%A7%81%2C%20%EB%B0%B0%EC%9B%8C%EB%B4%85%EC%8B%9C%EB%8B%A4!&text=%EB%B2%A0%EC%96%B4%EB%A7%81%EC%9D%80%20%E3%80%8C%EB%B3%BC%E3%80%8D%EB%98%90%EB%8A%94%E3%80%8C,%EB%B3%BC%EC%9D%B4%20%EB%A7%8E%EC%9D%B4%20%EB%81%BC%EC%9B%8C%EC%A0%B8%20%EC%9E%88%EC%8A%B5%EB%8B%88%EB%8B%A4. 18. 1 구름베어링의 형식과 특징, http://www.jybearing.co.kr/pdf/NSK_ballbearing.pdf 19. 볼 베어링의 볼은 베어링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https://kr.ydbearing.net/news/industry-news/the-balls-of-a-ball-bearing-are-the-main-component-of-the-bearing.html 20. 베어링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2%A0%EC%96%B4%EB%A7%81 21. 베어링 기초 | SKF, https://www.skf.com/kr/products/rolling-bearings/principles-of-rolling-bearing-selection/general-bearing-knowledge/bearing-basics 22. 구름 베어링-Ⅰ (Rolling Bearing-Ⅰ), https://www.gpac-kpac.com/download.php?Lang=Kr&Code=Tech7&Seq=4 23. 베어링에 대해 알려주세요 – 지식, https://ko.zjwxbearing.com/info/take-you-to-know-the-bearing-83406542.html 24. 베어링 – 위키원, http://wiki.hash.kr/index.php/%EB%B2%A0%EC%96%B4%EB%A7%81 25. 엔진베어링의 윤활과 손상 -Tribology and Lubricants – Korea Science,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198511920196317.page?&lang=ko 26. 1. 베어링의 총괄적 개념과 종류, http://www.randb.co.kr/wp-content/uploads/2014/12/Bearing-%EC%9E%90%EB%A3%8C-%EC%A3%BC%EB%A3%A8%EB%B3%B4%EC%9E%90%EB%A3%8C.pdf 27. 미끄럼 베어링의 윤활특성(마찰 특성) – 공부하는 아버지 – 티스토리, https://cool991326.tistory.com/entry/%EB%AF%B8%EB%81%84%EB%9F%BC-%EB%B2%A0%EC%96%B4%EB%A7%81%EC%9D%98-%EC%9C%A4%ED%99%9C%ED%8A%B9%EC%84%B1%EB%A7%88%EC%B0%B0-%ED%8A%B9%EC%84%B1 28. 조회수 – 에스제이케미칼, https://sj-chemical.co.kr/default/menu4/m3.php?com_board_basic=read_form&com_board_idx=8&sub=3&com_board_search_code=&com_board_search_value1=&com_board_search_value2=&com_board_page= 29. 스트리벡 커브 윤활 특성 시험기-BRUKER사 모델 UMT TRIBOLAB, https://ihanmi.co.kr/%EC%8A%A4%ED%8A%B8%EB%A6%AC%EB%B2%A1_%EC%BB%A4%EB%B8%8C_%EC%9C%A4%ED%99%9C_%ED%8A%B9%EC%84%B1_%EC%8B%9C%ED%97%98%EA%B8%B0/ 30. 제품소개 – (주)신한국오일레스, http://www.lubo.kr/product_main.html 31. 무급유 BEARING전문 – (주)금영메탈/기일산업, http://www.8325271.co.kr/page/04_dry/01_dry.html 32. 오일레스 베어링 – SOM, https://sgometal.co.kr/?page_id=333 33. Oilless Bearing 사업부 – 진영테크, http://www.oilless.biz/oilless1.php 34. 오일레스 베어링, https://sgoilless.co.kr/html/_skin/solar/files/2022-SGO_%EA%B5%AD%EB%AC%B8%2044p_%EC%9B%90%EA%B3%A0-%EC%9B%8C%ED%84%B0%EB%A7%88%ED%81%AC_0519.pdf 35. Tribology – Google Sites, https://sites.google.com/view/turbolab/research-areas/tribology 36. 4. 추력 베어링의 종류 및 특성, https://www.incosys.co.kr/vibration-maintenance-handbook/part-3-maintenance/part-3-chapter-1-journal-thrust-bearing/part-3-chapter-1-4-type-of-thrust-bearing/ 37. [보고서]500MW 표준화력 고중압 터빈용 Tilting Pad Bearing 국산화개발(예압그루브형 틸팅패드 저널 베어링의 특성 해석 프로그램 개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0700002780 38. Turbolink – TILTING PAD JOURNAL BEARING – Korea Association of Robot Industry, https://k-elecs.com/koema/view.php?idx=57699 39. Tilting Pad Bearings: Functions, Benefits & Applications, https://metatekeng.com/tilting-pad-bearings-function-benefits-and-uses/ 40. Tilting Pad Bearing Design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6/04/Tilting-Pad-Bearing-Design_linked.pdf 41. 베어링 기술,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a0ccb9da3a6c4dc785241d70fa47f2b8&fileSn=1&bbsId= 42. 가스 터빈 베어링은 가스 터빈의 중요한 부품입니다., https://kr.bhsbearings.com/news/gas-turbine-bearings-are-important-components-of-gas-turbines.html 43. 맞춤형 가스 터보 기계 베어링 공급자, 회사, https://kr.bhsbearings.com/product/journal-bearing/gas-turbine-bearings.html 44. 구름 베어링 – SKF, https://cdn.skfmediahub.skf.com/api/public/094466a66aaba637/pdf_preview_medium/094466a66aaba637_pdf_preview_medium.pdf 45. lkpbearing.com, https://lkpbearing.com/ko/difference-between-radial-and-thrust-bearings/#:~:text=%EB%A0%88%EC%9D%B4%EB%94%94%EC%96%BC%20%EB%B2%A0%EC%96%B4%EB%A7%81%EC%9D%80%20%EC%9D%BC%EB%B0%98%EC%A0%81,%EC%82%AC%ED%95%AD%EC%97%90%20%EB%A7%9E%EA%B2%8C%20%EC%A1%B0%EC%A0%95%EB%90%A9%EB%8B%88%EB%8B%A4. 46. 레이디얼 베어링과 스러스트 베어링의 주요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 회사 소식 – 뉴스, https://ko.zjwxbearing.com/news/what-is-the-main-difference-between-radial-bea-73718825.html 47. 구름 베어링의 형식별 종류, https://sulaim.tistory.com/14907767 48. 볼베어링 – 동우체인, http://dongwoochain.com/%EB%B3%BC%EB%B2%A0%EC%96%B4%EB%A7%81/ 49.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과 깊은 홈 볼 베어링의 구체적인 차이점 – 지식, https://ko.hkbearingservice.com/info/the-specific-difference-between-angular-contac-84554905.html 50. 테이퍼 롤러 베어링과 원통형 롤러 베어링의 차이점 – Chengfeng 베어링 – CF Bearing, http://ko.cf-bearing.com/news/the-difference-between-tapered-roller-bearings-and-cylindrical-roller-bearings/ 51. 원통형 롤러 베어링과 구면 롤러 베어링의 차이점 – LKPB 베어링, https://lkpbearing.com/ko/difference-between-cylindrical-and-spherical-roller-bearings/ 52. 테이퍼 롤러 베어링 소개-지난 TOP 베어링 유한 공사 – Ball Bearing, https://groove-ballbearing.com/ko/taper-roller-bearing-introduction.html 53.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고부하 용량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https://kr.ydbearing.net/news/industry-news/what-are-the-characteristics-of-the-high-load-capacity-of-tapered-roller-bearings.html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