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체역학 저널 베어링의 오일 월(Oil Whirl) 및 오일 휩(Oil Whip) 불안정성에 대한 심층 분석: 메커니즘, 진단 및 완화 전략 제 1부: 유체 유발 불안정성의 기초 오일 월과 오일 휩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기계 시스템 내에서 유체 필름이 어떻게 거동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리적,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정립해야 한다. 본 장에서는 유체 동압 윤활의 기본 원리에서부터 회전체 안정성을 예측하는 복잡한 수학적 모델에 이르기까지, 이 불안정성 현상의 기초를 다룬다. 1.1. 유체 동압 윤활 체제 유체 동압 저널 베어링의 핵심 원리는 베어링 내부에서 축(저널)이 회전하면서 윤활유의 점성과 결합하여 가압된 오일 “쐐기(wedge)”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압력은 금속 간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 회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힘을 생성하여 표면을 분리시킨다. 작동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저널은 베어링 중심과 동심원으로 회전하지 않고 편심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렴-발산 형태의 간극이 형성된다. 윤활유는 이 수렴하는 쐐기 영역으로 끌려 들어가고, 압착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유체 동압이 발생한다. 최소 유막 두께 지점에서 이 압력이 최고조에 달하며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 유막 내의 압력 분포는 수학적으로 레이놀즈 방정식(Reynolds equation)에 의해 기술된다. 이 방정식은 얇은 유막 유동에 대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s)을 단순화한 것이다. 이 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는 층류, 비압축성, 뉴턴 유체와 같은 몇 가지 핵심 가정이 전제된다. 이 방정식의 해는 베어링의 반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정적 상태와 동적 상태의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안정적인 “평형 위치” 에서 “교란력” 이 가해져 불안정성이 시작된다는 점은 두 상태의 본질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정적 평형은 회전체 무게와 같은 외부 하중과 정상 상태의 유체 동압 사이의 힘의 균형을 의미한다. 반면, 불안정성은 정상 상태가 아니라 교란에 대한 시스템의 동적 응답이다. 오일 필름은 정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능력과 동시에 동적 운동을 증폭시킬 잠재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안정적으로 운전 중인 기계의 축은 고정된 편심률과 자세각(attitude angle)을 유지하며 정적인 힘의 균형을 이룬다. 이때 서지, 충격, 불평형과 같은 일시적인 현상이 발생하면 축은 이 평형 위치에서 순간적으로 벗어난다. 이후의 거동은 이 운동(속도 및 변위)에 대한 오일 필름의 반응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유막의 반력이 복원력을 가지며 양(+)의 감쇠를 제공한다면 축은 평형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유막의 반력이 에너지를 재생성하며 음(-)의 감쇠를 제공한다면, 이는 운동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축이 바깥쪽으로 나선을 그리며 지속적인 궤도 운동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불안정성의 시작이다. 1.2. 자려 진동의 발생 오일 월과 오일 휩은 자려 진동(self-excited vibration)으로 분류된다. 이는 진동을 지속시키는 에너지가 시스템 외부가 아닌 내부의 비진동성 동력원, 즉 축 자체의 회전 에너지로부터 공급됨을 의미한다. 회전하는 축은 오일 필름에 원주 방향 속도를 부여하며, 이 선회하는 오일의 평균 속도는 축 표면 속도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 저널이 교란을 받아 움직일 때, 유체 동압은 단순히 저널을 복원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만 작용하지 않는다. 상당한 크기의 접선 방향 힘 성분이 저널의 세차 운동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만약 이 접선 방향 힘이 시스템의 고유 감쇠를 극복할 만큼 충분히 강하면, 궤도 운동에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여 진동을 유지하고 증폭시킨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모든 속도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불안정 임계 속도(threshold speed of instability)”를 초과할 때 나타난다. 이 속도 이하에서는 시스템의 감쇠가 모든 교란을 억제하기에 충분하지만, 임계 속도를 넘어서면 오일 필름으로부터 공급되는 불안정화 에너지가 지배적이 되어 자려 진동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음의 감쇠(negative damping)”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연성 강성 계수(cross-coupled stiffness coefficients)가 운동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음의 감쇠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직관적이지 않을 수 있다. 회전체 동역학에서 강성은 동적 강성을 의미한다. 직접 강성(K{xx})은 단순한 스프링처럼 작용하지만, 연성 강성(K{xy})은 X 방향의 변위가 Y 방향의 힘을 유발함을 의미한다. 세차 운동하는 축에 이 힘이 작용할 때, 특정 위상 관계를 가지면 축의 궤도 운동에 양(+)의 일을 하게 된다. 각 사이클 동안 시스템에 일을 한다는 것은 에너지를 추가하는 것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에너지를 제거하는 감쇠기(damper)의 역할과 정반대이다. 따라서 연성 강성은 이러한 “음의 감쇠” 효과를 일으키는 주된 메커니즘이다. 감쇠는 속도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힘으로 정의된다. 세차 운동하는 축은 궤도에 접하는 속도 벡터를 가진다. 연성 강성력(K{xy} 등)은 이를 유발한 변위에 수직으로 작용한다. 정방향 세차 운동 궤도에서 이 수직력은 접선 속도 벡터와 같은 방향의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속도와 같은 방향의 힘 성분은 양의 일(Force \cdot Displacement > 0)을 하여 시스템에 에너지를 추가한다. 이 에너지 입력은 직접 감쇠 항(C{xx}, C{yy})에 의한 에너지 소산을 상쇄하고 압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진폭이 베어링 간극에 의해 제한될 때까지 진동이 증폭된다. 이것이 자려 진동의 본질이다. 1.3. 회전체 동역학의 언어: 동특성 계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유체 필름 힘은 정적 평형 위치를 기준으로 8개의 동특성 계수, 즉 4개의 강성 계수(K{xx}, K{xy}, K{yx}, K{yy})와 4개의 감쇠 계수(C{xx}, C{xy}, C{yx}, C{yy})로 선형화된다. 이 계수들은 베어링의 동적 특성을 나타내며 회전체 동역학 모델의 필수 입력값이다. 직접 강성 (K{xx}, K{yy}): 같은 방향의 변위에 저항하는 복원력. 연성 강성 (K{xy}, K{yx}): 수직 방향(예: X)의 변위로 인해 다른 방향(예: Y)에서 생성되는 힘. 이 계수들이 불안정성의 주된 원인이다. 대부분의 베어링에서 $K{xy}$와 $K{yx}$는 크기가 다르고 부호가 반대이다. 직접 감쇠 (C{xx}, C{yy}): 같은 방향의 속도에 저항하는 힘. 에너지를 소산시켜 안정성을 제공한다. 연성 감쇠 (C{xy}, C{yx}): 수직 방향의 속도로 인해 다른 방향에서 생성되는 힘.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대칭적인 경향이 있다 (C{xy} \approx C_{yx}). 선형화된 힘-운동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egin{Bmatrix} F_x \ Fy \end{Bmatrix} = – \begin{bmatrix} K{xx} & K{xy} \ K{yx} & K{yy} \end{bmatrix} \begin{Bmatrix} x \ y \end{Bmatrix} – \begin{bmatrix} C{xx} & C{xy} \ C{yx} & C{yy} \end{bmatrix} \begin{Bmatrix} \dot{x} \ \dot{y} \end{Bmatrix} 여기서 $[K]$와 $[C]$는 각각 계수들로 구성된 2 \times 2 행렬이다. 강성 행렬의 비대칭성(K{xy} \neq K{yx})은 앞서 설명한 에너지 공급 메커니즘의 수학적 표현이다. 직접 감쇠에 대한 연성 강성의 비율이 크면 불안정성 가능성이 높다는 강력한 지표가 된다. 이 계수들은 상수가 아니라 운전 조건의 함수라는 점이 실용적인 적용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계의 안정성은 고정된 속성이 아니라 동적인 상태이다. 8개의 계수는 회전 속도(\Omega), 윤활유 점도(\mu), 그리고 하중에 따라 변하는 저널 편심률(\epsilon)에 따라 변한다. 이는 기계가 특정 속도나 하중에서는 안정적이지만 다른 조건에서는 불안정해질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속도를 높이면 종종 편심률이 감소하는데, 이는 안정화에 기여하는 직접 감쇠 항에 비해 불안정화를 유발하는 연성 강성 항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시스템을 불안정 임계점 너머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안정성 분석은 단일 K, C 값 집합으로 수행될 수 없으며, 각 운전 지점(속도, 하중, 온도)에 대해 계수들을 계산해야 한다. 조머펠트 수(Sommerfeld number)는 이러한 변수들을 편리하게 그룹화하는 무차원 파라미터이다. 결과적으로 안정성 분석은 회전 속도에 따른 시스템의 고유치(eigenvalue)를 계산하여, 고유치의 실수부가 양수가 되는 지점, 즉 불안정성의 시작점을 찾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불안정 임계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제 2부: 오일 월과 오일 휩의 구별 및 진단 이론적 배경에서 실제적인 식별로 전환하여, 월과 휩의 명확한 특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현대 진동 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이들을 높은 신뢰도로 진단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2.1. 오일 월: 전조 불안정성 오일 월은 축이 베어링 간극 내에서 궤도 운동을 하는 자려, 정방향 세차, 동기하(subsynchronous) 진동이다. 이는 유체 유발 불안정성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오일 월의 결정적인 특징은 그 주파수가 축의 회전 속도(RPM)에 정비례한다는 점이다. 이 주파수는 통상적으로 RPM의 0.38배에서 0.48배 범위에 있다. 이 주파수는 윤활유의 평균 원주 속도에 해당한다. 축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월 주파수도 함께 증가하여 거의 일정한 비율을 유지한다. 진동 진폭은 동기(1x) 진동보다 훨씬 클 수 있으며, 베어링 간극에 의해 제한된다. 궤도 형태는 특징적으로 원형 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우며 , 이는 진동이 거의 순수하게 회전 방향으로만 진행됨을 나타낸다. 2.2. 오일 휩: 임계 공진 상태 오일 휩은 오일 월로부터 발전하는 더 심각하고 위험한 형태의 불안정성이다. 이는 별개의 현상이 아니라 월이 악화된 상태이다. 전환 메커니즘은 기계의 회전 속도가 특정 지점에 도달하여 오일 월 주파수(약 0.4x~0.5x RPM)가 회전체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 거의 항상 1차 굽힘 모드(1차 위험 속도)와 일치할 때 발생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운전 속도가 1차 위험 속도의 2배를 초과할 때 일어난다 (\Omega > 2 \times \omega{crit1}). 이 일치가 발생하면, 진동 주파수는 회전체의 고유 진동수에 “고정(lock-in)”되어 축 속도가 더 증가하더라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핵심적인 진단상의 차이점이다. 오일 휩은 RPM과 무관한 고정 주파수 진동인 반면, 오일 월 주파수는 RPM에 종속적이다. 오일 휩은 본질적으로 매우 위험한 불안정 상태이다. 오일 필름의 에너지가 이제 회전체를 고유 공진 주파수에서 가진하여 매우 큰 진동 진폭을 유발한다. 월의 진폭은 베어링 간극에 의해 제한되지만, 휩은 전체 회전체의 굽힘을 포함하므로 최대 진폭은 베어링이 아닌 최대 모드 변위 지점(예: 축 중앙)에서 발생한다. 이는 씰 파손, 블레이드 마찰, 축의 피로 파괴 또는 절단과 같은 파국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훨씬 더 높은 잠재력을 가진다. 2.3. 고급 진단 기법 캐스케이드/워터폴 선도(Cascade/Waterfall Plots): 이 도구들은 월과 휩을 구별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다. 월 신호: 캐스케이드 선도(주파수 대 RPM)에서 오일 월은 0에서 시작하여 약 0.4-0.5의 기울기를 가진 대각선으로 나타난다. RPM이 증가함에 따라 주파수 피크는 이 선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휩 신호: 월 선이 1차 위험 속도를 나타내는 수평선과 교차할 때 휩으로의 전환이 일어난다. 그 지점부터 RPM이 계속 증가하더라도 지배적인 동기하 주파수 피크는 그 수평선 위에 머물러 고정된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시각적 증거는 결정적이다. 축 궤도 선도(Shaft Orbit Plots): 이 선도는 축 중심선의 경로를 보여준다. 공통 신호: 월과 휩 모두 정방향 세차 운동을 하는 원형 궤도를 생성한다. 키페이저®/위상 마커 구별법: 회전당 한 번의 위상 마커(키페이저®)는 진단에 매우 중요하다. 월: 월 주파수가 0.5x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궤도 선도에는 두 개의 키페이저 점이 나타난다. 이 점들은 축이 한 사이클의 궤도를 완성하기 직전에 두 바퀴를 완전히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반대 방향으로 천천히 세차하는 것처럼 보인다(스트로보스코프 효과). 휩: 휩 상태에서는 고정된 휩 주파수와 증가하는 운전 속도의 비율이 계속 변하며 단순한 정수비가 아니다. 이로 인해 궤도 선도에는 여러 개의, 종종 뒤섞이거나 불규칙하게 움직이는 키페이저 점들이 나타난다. 전체 스펙트럼 분석(Full Spectrum Analysis): 이 기술은 궤도를 정방향 및 역방향 세차 성분으로 분해한다. 월/휩 신호: 핵심 특징은 진동이 거의 전적으로 정방향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전체 스펙트럼 선도는 “정방향(forward)” 섹션의 동기하 주파수에서 큰 피크를 보이고 “역방향(reverse)” 섹션에서는 해당 피크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원형의 정방향 세차 특성을 확인시켜 주며, 상당한 역방향 성분을 가질 수 있는 마찰(rub)과 같은 다른 문제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표 1: 오일 월과 오일 휩의 비교 진단 특성 이 표는 엔지니어들을 위한 빠른 참조 진단 가이드 역할을 하며, 위에서 논의된 핵심적인 구별 특징들을 요약한다. 이는 복잡한 진단 정보를 쉽게 소화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엔지니어는 관찰된 동기하 진동이 월인지 휩인지 신속하게 판단해야 한다. 주파수 거동(속도 종속 대 고정), 키페이저 패턴, 최대 진폭 위치 등을 체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이러한 진단은 휩에 대한 대응(즉각적인 정지)이 월(단기적으로 관리 가능할 수 있음)보다 훨씬 시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제 3부: 유발 요인 및 완화 전략 이 장에서는 불안정성을 조장하는 조건들을 분석하고, 일시적인 조치와 영구적인 해결책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 3.1.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파라미터 조머펠트 수(Sommerfeld Number): 이 무차원 파라미터는 베어링 설계 및 안정성 분석에서 중요한 도구이다. 점도(\mu), 속도(N 또는 \Omega), 하중(P 또는 W), 그리고 형상(R, C, L, D)을 연관시킨다. 높은 조머펠트 수(고속, 경하중, 고점도에서 발생)는 낮은 편심률에 해당하며, 이때 저널은 거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 영역이 바로 베어링이 불안정성에 가장 취약한 구간이다. 안정성 선도는 종종 조머펠트 수에 대해 그려져 안정 및 불안정 운전 영역을 정의한다. 베어링 하중: 가벼운 반경 방향 하중은 불안정성의 주요 원인이다. 하중이 무거울수록 저널의 편심률이 증가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연성 강성력에 비해 안정화에 기여하는 직접 감쇠력과 복원력을 증가시킨다. 윤활유 특성: 점도 (\mu): 주로 온도 변화로 인한 오일 점도의 변화는 동특성 계수와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낮은 점도는 때때로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캐비테이션/공기 혼입: 저압 상태에서 용존 가스가 방출되거나(가스 캐비테이션) 오일이 증발하는 현상(증기 캐비테이션)은 압력 분포를 변경하여 베어링 강성 및 감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고유 진동수를 월 주파수에 더 가깝게 이동시켜 휩을 유발할 수 있다. 베어링 형상: 과도한 베어링 간극이나 마모는 저널이 궤도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 감쇠를 감소시키고 불안정성을 조장한다. 회전체 유연성: 회전체 자체의 동적 특성(질량 및 강성)이 고유 진동수를 결정한다. 오일 휩은 근본적으로 베어링의 유체 동역학과 회전체의 구조 동역학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3.2. 운전 및 환경적 유발 요인 이 섹션에서는 한계적으로 안정적인 기계를 월/휩 상태로 몰아갈 수 있는 실제적인 시나리오를 나열한다. 공정 변화: 압축기가 서지(surge) 또는 스톤월(stonewall) 근처에서 운전되는 등 기계 부하의 변화는 베어링 하중을 변경할 수 있다. 외부 진동: 인접 기계의 진동력이 기초나 배관을 통해 전달되어, 만약 그 주파수가 월 주파수와 일치한다면 불안정성을 촉발하는 데 필요한 초기 “교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씰 효과: 래버린스 씰이나 압축기/터빈 슈라우드에서의 공기역학적 힘(예: “알포드 힘”)은 베어링과 별개로 불안정성에 기여하거나 심지어 원인이 되는 상당한 연성 강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축 정렬 불량(Misalignment): 축 정렬 불량은 베어링에 불균일한 하중을 가하여 특정 베어링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월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3.3. 수정 조치: 임시 방편에서 영구 해결책까지 단기적(운전적) 조치: 영구적인 해결책이 시행될 때까지 기계를 안정시키기 위한 임시적인 조치들이다. 오일 온도/압력 변경: 오일 온도를 높이면 점도가 낮아지고, 낮추면 점도가 높아진다. 두 변화 모두 동특성 계수를 이동시켜 안정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급 압력을 변경하는 것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어된” 결함 유도: 의도적으로 약간의 불평형이나 축 정렬 불량을 도입하여 베어링 하중을 증가시키면 편심률이 높아져 회전체가 안정화될 수 있다. 이는 매우 섬세하고 위험한 조치로, 위급한 상황에서 전문가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베어링 표면 “거칠게 하기”: 비상시에는 베어링 표면을 긁거나 홈을 파서 월을 유발하는 일관된 오일 쐐기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 장기적(공학적) 해결책: 불안정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방법들이다. 베어링 간극 최적화: 정확하고 더 조밀한 설계 간극을 가진 새 베어링을 설치한다. 베어링 예압(Preload) 증가: 베어링 형상을 수정하여 고유의 예압을 생성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 베어링 설계 변경: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은 불안정성에 취약한 베어링을 더 안정적인 설계로 교체하는 것이다. 이는 제 4부에서 자세히 다룬다. 여기서 불평형의 역설적인 역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불평형은 최소화해야 할 결함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불평형이 오일 월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운전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 약간의 불평형을 도입하는 것이 수정 조치가 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회전체-베어링 시스템 내 힘들의 비선형적이고 경쟁적인 특성을 잘 보여준다. 불평형은 동기(1x) 강제 진동을 생성하여 저널을 특정 궤도로 강제함으로써 자려적인 동기하 운동을 “압도”한다. 불평형력은 회전하는 하중을 제공하여 완벽하게 균형 잡힌 경하중 회전체보다 평균 편심률을 더 높게 유지하도록 돕고, 따라서 더 안정적인 운전 영역에 머물게 한다. 하지만 이는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다. 즉, 파국적인 동기하 불안정성을 피하기 위해 더 높은 동기 진동을 감수하는 것이다. 오일 월은 가볍고 일정한 하중(낮은 편심률) 하에서 번성한다. 불평형은 1x RPM에서 크고 회전하는 힘을 생성한다. 이 힘은 베어링에 가해지는 총 하중 벡터의 방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킨다. 저널은 이 회전하는 하중을 따라 계속 움직여야 하므로, 자려 메커니즘이 자리 잡는 데 필요한 안정적이고 낮은 편심률 상태에 정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의 사례 연구는 이러한 힘의 이중적 성격을 보여주는 실제 예시이다. 휜 회전체로 인한 높은 불평형이 베어링의 하중을 제거했고, 그 결과 동기하 진동이 발생했다. 제 4부: 안정성을 위한 공학: 고급 베어링 설계 마지막 장에서는 다양한 베어링 유형의 안정성 성능을 비교하고 특정 설계가 본질적으로 우수한 이유를 설명함으로써 설계 엔지니어에게 실행 가능한 지침을 제공한다. 4.1. 고정 형상 베어링의 비교 분석 원통형(360°) 베어링: 가장 단순한 설계이지만, 특히 경하중 및 고속에서 불안정성에 가장 취약하다. 상당한 연성 강성을 생성한다. 축 방향 홈 / 다엽(Multi-Lobe) 베어링: 축 방향 홈을 내거나 베어링을 타원형과 같은 여러 개의 엽으로 성형하면 원주 방향의 오일 필름이 분리된다. 이는 단일하고 강력한 오일 쐐기의 형성을 방해하고, 예압을 제공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여러 개의 작은 쐐기를 생성하여 원통형 베어링에 비해 안정성을 높인다. 압력 댐(Pressure Dam) 베어링: 이 설계는 베어링 상반부에 얕은 릴리프 스텝 또는 “댐”을 가공한 것이 특징이다. 오일이 이 댐을 넘어 흐르면서 고압 영역을 형성하여 저널에 추가적인 하향력을 가한다. 이 인공적인 하중은 편심률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켜, 불안정성이 발생하기 쉬운 기계에 대한 인기 있고 비용 효율적인 개조 방안이 된다. 4.2. 틸팅 패드 베어링: 불안정성에 대한 최종 해결책 이 설계는 피봇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여러 개의 개별 패드 또는 슈로 구성된다. 각 패드는 독립적으로 자체 유체 동압 쐐기를 생성한다. 안정성 메커니즘의 핵심은 각 패드가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 패드에서 발생하는 유체 동압 합력이 항상 피봇 지점을 통과한다는 점이다. 이 기하학적 구조는 저널을 월 궤도로 몰아넣을 수 있는 순수 접선 방향 힘이 생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수학적으로, 이러한 움직임의 자유는 연성 강성 계수(K{xy}, K{yx} \approx 0)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연성 강성이 없으면 자려 진동의 주된 에너지원이 제거되므로, 베어링은 본질적으로 안정적이며 오일 월과 휩에 면역성을 갖게 된다. 안정성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틸팅 패드 베어링은 일부 고정 형상 설계에 비해 더 복잡하고 비싸며, 위험 속도에서 감쇠가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경하중 하에서 “패드 플러터링(pad fluttering)”이라는 다른 현상에 취약할 수 있지만, 이는 오일 월과는 구별된다. 불안정성의 원인이 베어링 자체가 아니거나(예: 씰) 오일 제어 링과 같은 특정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틸팅 패드 베어링에서도 동기하 진동이 나타날 수 있다. 4.3. 설계 고려사항 및 권장사항 이 섹션은 회전 기계를 설계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실행 가능한 조언으로 결론을 맺는다. 권장사항 1: 산업용 가스 터빈, 고속 압축기와 같은 고속, 경하중 용도에는 틸팅 패드 베어링이 산업 표준이며 유체 유발 불안정성을 방지하는 가장 견고한 해결책이다. 권장사항 2: 오일 월을 겪고 있는 기존의 고정 형상 베어링 기계의 경우, 압력 댐 또는 다엽 베어링으로 개조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권장사항 3: 회전체 동역학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안정성 분석은 모든 중요 회전 기계의 설계 단계에서 필수적인 과정이다. 이 분석은 시스템의 안정성 맵(감쇠 대수 대 속도)을 계산하여 불안정 임계 속도를 예측하고 운전 중 충분한 안정성 여유를 확보해야 한다. 표 2: 주요 저널 베어링 유형의 안정성 성능 비교 이 표는 엔지니어의 베어링 선정 과정을 돕기 위한 명확하고 높은 수준의 비교를 제공한다. 설계 엔지니어는 성능, 안정성, 비용 간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 이 표를 통해 최대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틸팅 패드가 최선의 선택이지만 비용이 높다는 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기계가 매우 안정적인 영역(고하중, 저속)에서 작동한다면 더 간단한 원통형 베어링으로 충분할 수 있다. 중간 사례의 경우, 압력 댐 베어링이 좋은 절충안을 제공한다. 참고 자료
- Oil Whirl and Whip Instabilities – Within Journal Bearings – Machinery Lubrication,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754/oil-whirl-whip 2. Is it oil whip? | vibration/alignment/balance, https://assetmanagementprofessionals.org/discussion/is-it-oil-whip 3.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whirl instability including effects of lubricant temperature in plain circular journal bearings – LSU Scholarly Repository, https://repository.lsu.edu/cgi/viewcontent.cgi?article=3921&context=gradschool_theses 4. Fluid Film Bearing Fundamentals and Failure Analysis, https://www.waukbearing.com/content/dam/dpc/waukbearing/wb_downloads/technical-papers/Fluid%20Film%20Bearing%20Fundamentals%20and%20Failure%20Analysis.pdf 5. Oil Whirl and Whip Instabilities – Within Journal Bearings | PDF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63846498/Oil-Whirl-and-Whip-Instabilities-Within-Journal-Bearings 6. calculation of dynamic coefficients for fluid film journal bearings, https://oaji.net/pdf.html?n=2014/1486-1417093272.pdf 7. Identification of the fluid induced instability phenomenon in journal bearings – UBC Library Open Collections –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https://open.library.ubc.ca/soa/cIRcle/collections/ubctheses/24/items/1.0344002 8. Identification of the fluid induced instability phenomenon in journal bearings – SciSpace, https://scispace.com/pdf/identification-of-the-fluid-induced-instability-phenomenon-22v8cem91u.pdf 9. On the Instability Threshold of Journal Bearing Supported Rotor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5907634_On_the_Instability_Threshold_of_Journal_Bearing_Supported_Rotors 10. Review of the Concept of Dynamic Coefficients for Fluid Film Journal Bearings – Turbomachinery Laboratory, http://turbolab.hanyang.ac.kr/Review%20of%20the%20Concept%20of%20Dynamic%20Coefficients%20for%20Fluid%20Film%20Journal%20Bearings.pdf 11. A Calculation Method And Data For The Dynamic …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5/09/A-Calculation-Method_Oil-Lubricated_ASME-1982_linked.pdf 12. Whirl/whip demonstration – NASA Technical Reports Server (NTRS), https://ntrs.nasa.gov/citations/19860020723 13. notes 5 – dynamics of a rigid rotor-fluid film bearing system – Tribology, https://rotorlab.tamu.edu/me626/Notes_pdf/Notes05%20rigid%20rotor%20on%20JBs%2010.pdf 14. Differentiating Between Fluid Induced Instability (Oil Whirl and Oil Whip) and a Rub, https://www.turbomachinerymag.com/view/differentiating-between-fluid-induced-instability-oil-whirl-and-oil-whip-and-a-rub 15. Oil Whirl and Whip | PDF | Bearing (Mechanical) | Turbine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638790303/oil-whirl-and-whip 16. Whirl and whip: Rotor/bearing stability problems – SciSpace, https://scispace.com/pdf/whirl-and-whip-rotor-bearing-stability-problems-1ib2k3ub2g.pdf 17. Analysis on Oil Whip of Steam Turbin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8585161_Analysis_on_Oil_Whip_of_Steam_Turbine 18. Preventing oil whirl for better bearing operation – Machine Design, https://www.machinedesign.com/mechanical-motion-systems/bearings/article/21831950/preventing-oil-whirl-for-better-bearing-operation 19. INSTABILITY THRESHOLD AND STABILITY BOUNDARIES OF ROTOR-BEARING SYSTEMS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5/09/Instability-Threshold-and-Stability-Boundaries-of-Rotor-Bearing-Systems_linked.pdf 20. Stability Analysis of Rotor-Bearing Systems under the Influence of Misalignment and Parameter Uncertainty – MDPI, https://www.mdpi.com/2076-3417/11/17/7918 21. Fluid induced instability of rotor systems with journal bearings – SciSpace, https://scispace.com/pdf/fluid-induced-instability-of-rotor-systems-with-journal-26pwcw4qis.pdf 22. FLUID INDUCED INSTABILITY OF ROTOR SYSTEMS WITH JOURNAL BEARINGS – Engineering Mechanics, https://www.engineeringmechanics.cz/pdf/14_1_069.pdf 23. Understanding Oil Whirl and Oil Whip – CTC, https://www.ctconline.com/media/vyxjkhgk/mdi-tech-tip-oil-whirl.pdf 24. Linearized stiffness and damping coefficients of the journal bear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Linearized-stiffness-and-damping-coefficients-of-the-journal-bearing_fig2_258516760 25. Influence of Lubricant Film Cavitation on the Vibration Behavior of a Semifloating Ring Supported Turbocharger Rotor With Thrust Bearing | J. Eng. Gas Turbines Power | ASME Digital Collection, https://asmedigitalcollection.asme.org/gasturbinespower/article/144/4/041014/1129404/Influence-of-Lubricant-Film-Cavitation-on-the 26. Turbulence Effects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Non-Circular Journal Bearings Under Large Sommerfeld Number Conditions – MDPI, https://www.mdpi.com/2075-4442/13/4/139 27. Short Bearing Analysis Applied to Rotor Dynamics, http://turbolab.hanyang.ac.kr/ShortBearingAnalysis_Kirk_Part2ResultsofBearingRespose.pdf 28. Short Bearing Analysis Applied to Rotor Dynamics, Part 2: Results of Journal Bearing Response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2/12/Short-Bearing-Analysis-Applied-to-Rotor-Dynamics-Part-2-Results-Kirk-Gunter-1976.pdf 29. Vibration Analysis & Condition Monitoring Basics: Oil Whip & Whirl in Journal Bearings, 30.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한 회전체 오일-휩 및 오일, https://ksfmjournal.org/xml/24258/24258.pdf 31. 진동 데이터를 활용한 회전체 고장모드별 특성과 진단 방법, https://blog.onepredict.ai/656c8781-0f6d-400d-b618-226574fe0cf3 32. Whirl and whip instabilities in rotor-bearing system considering a nonlinear force model,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23189565_Whirl_and_whip_instabilities_in_rotor-bearing_system_considering_a_nonlinear_force_model 33. Re:미끄럼베어링 Oil Whip – 질문합니다. – Daum 카페, https://cafe.daum.net/jkh5647/NCcg/72 34. Vibration response of the bearing rotor system: a spectrum cascade; b…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bration-response-of-the-bearing-rotor-system-a-spectrum-cascade-b-elaborate-spectrum_fig3_262986557 35. SOURCE OF INSTABILITY!, https://ntrs.nasa.gov/api/citations/19860020723/downloads/19860020723.pdf 36. Tech Note June 2016: Pressure Dam & Elliptical Bore Bearings, https://turboresearch.com/tech-note-june-2016/ 37. SUBSYNCHRONOUS VIBRATION PROBLEM AND SOLUTION IN MULTISTAGE CENTRIFUGAL COMPRESSOR by Paul E. Allaire – OAKTrust, https://oaktrust.library.tamu.edu/bitstreams/0c90fb3d-66ba-41fa-9914-bf54b959cc7a/download 38. Common Causes of Bearing Failure – American Roller Bearing, https://www.amroll.com/bearing-failure-modes.html 39. Failure Analysis for Plain Bearings – Machinery Lubrication,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638/failure-analysis-bearings 40. Case Studies – Turbo Research, Inc. – TRI Transmission and Bearing Corp., https://turboresearch.com/case-studies/ 41. Hydrodynamic Journal Bearings Type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6/04/Hydrodynamic-Journal-Bearings-Types-Characteristics-and-Applications_linked.pdf 42. An Overview of Tilting Pad Journal Bearings – Texas A&M University, https://rotorlab.tamu.edu/me626/Notes_pdf/Notes07_primer_tiltpadB.pdf 43. US3549215A – Hydrostatically supported tilting pad journal bearing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3549215A/en 44. TILTING PAD BEARING DESIGN by John C. Nicholas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6/04/Tilting-Pad-Bearing-Design_linked.pdf 45. Prevention of fluttering fatigue damage in a tilting pad journal bearing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45133472_Prevention_of_fluttering_fatigue_damage_in_a_tilting_pad_journal_bearing 46. Preventing Tilting Pad Fluttering in gas turbine bearings, https://gasturbineworld.com/tilting-pad-flutterring/ 47. (20 min.) Case Study: Fluid Induced Instability Vibration in Tilt Pad Bearings, https://www.mobiusconnectconference.com/agenda_items/20-min-case-study-fluid-induced-instability-vibration-in-tilt-pad-bearings/ 48. US4381128A – Vibration damping tilting pad journal bearing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US4381128A/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