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베어링의 이론, 설계 및 고장 분석: 종합 기술 보고서 서론: 저널 베어링의 개요 및 중요성 기계 시스템에서 상대 운동하는 부품 간의 마찰을 줄이고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은 그 작동 원리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하나는 볼이나 롤러와 같은 전동체를 사용하여 구름 마찰의 원리를 이용하는 구름 베어링(rolling-element bearing)이며, 다른 하나는 윤활유막을 통해 미끄럼 운동을 하는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입니다. 저널 베어링(Journal Bearing)은 미끄럼 베어링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로, 회전하는 축(저널)과 이를 감싸는 베어링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얇은 유체 막을 통해 하중을 지지합니다. 이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는 이 유막이 축과 베어링의 직접적인 금속 접촉을 완벽하게 방지하므로, 이론적으로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무한한 수명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저널 베어링은 특히 고속, 고하중 환경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터보 기계, 대형 발전기, 내연기관의 크랭크축과 같이 극한의 운전 조건을 견뎌야 하는 핵심 부품에 널리 적용됩니다. 또한, 유막 자체가 우수한 감쇠(damping) 특성을 지니고 있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므로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본 보고서는 저널 베어링의 성능을 지배하는 유체 동압 윤활의 근본 원리부터 시작하여, 실제 엔지니어링 설계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변수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나아가, 잠재적인 고장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그 예방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지식과 실제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연결하는 종합적인 기술 지침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설계 엔지니어 및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저널 베어링의 설계 최적화와 신뢰성 확보를 위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제1장: 유체 동압 윤활의 메커니즘 저널 베어링의 모든 성능은 축과 베어링 사이의 미세한 틈새에 형성되는 유막(oil film)에서 비롯됩니다. 이 유막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압력을 생성하는 과정은 정적인 상태가 아닌, 축의 회전에 의해 유발되는 동적인 현상입니다. 이를 유체 동압 윤활(hydrodynamic lubrication)이라 하며,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저널 베어링 설계의 첫걸음입니다. 1.1. 유막(Oil Film) 형성의 동적 과정 저널 베어링 내에서 부하를 지지하는 유막은 정지 상태에서 고속 회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뚜렷한 단계를 거쳐 형성됩니다. 이 과정은 베어링의 마찰 및 마모 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1단계: 정지 상태 (At Rest) 축이 회전하지 않을 때, 저널은 자체 무게와 외부 하중으로 인해 베어링 하단부에 직접 접촉하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윤활유가 저널과 베어링 사이에 존재하더라도 유압이 발생하지 않아 금속 표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합니다. 표면은 미세한 요철(asperities)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제 접촉은 이 요철들의 정점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경계 윤활(boundary lubrication) 상태라고 합니다. 이 구간에서는 마찰 계수가 높고, 시동 시 가장 큰 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단계: 시동 및 저속 회전 (Startup and Low-Speed Rotation) 축이 회전을 시작하면, 저널은 베어링 벽을 따라 “기어오르려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이때 저널 표면에 부착된 윤활유가 회전 방향으로 함께 끌려 들어가면서 저널과 베어링 사이의 틈새로 유입됩니다. 속도가 아직 충분히 빠르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유막이 형성되지는 못하지만, 부분적으로 유체 압력이 발생하여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기 시작합니다. 이 단계는 유체 윤활과 경계 윤활이 혼재하는 혼합 윤활(mixed lubrication) 상태에 해당합니다. 마찰 계수는 급격히 감소하지만, 여전히 간헐적인 금속 접촉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합니다. 3단계: 유체 동압 형성 (Hydrodynamic Pressure Buildup) 축의 회전 속도가 특정 임계치를 넘어서면, 틈새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이 증가하면서 강력한 동압이 형성됩니다. 이 압력은 저널을 완전히 들어 올려 베어링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킵니다. 이로써 금속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사라지고, 모든 하중은 유막의 압력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완전한 유체 동압 윤활(full hydrodynamic lubrication) 상태에 도달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마찰이 오직 유체의 전단 저항(viscous shear)에 의해서만 발생하므로 마찰 계수가 매우 낮고, 이론적으로 마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동적 과정은 저널 베어링의 수명에서 가장 취약한 순간이 정상 운전 중이 아니라, 기동과 정지 시점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베어링은 매 기동 및 정지 시마다 마찰과 마모가 심한 경계 및 혼합 윤활 영역을 반복적으로 통과해야 합니다. 따라서 설계 시에는 이러한 과도 구간에서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 예를 들어 윤활유에 특수 마모 방지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표면 간의 상용성이 우수한 베어링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2. 쐐기 효과(Wedge Effect)와 압력 분포 유체 동압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리는 ‘쐐기 효과(wedge effect)’에 있습니다. 축이 하중을 받아 베어링 중심에서 편심(eccentric)된 상태로 회전하면, 축과 베어링 사이의 틈새는 회전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쐐기 모양의 공간(converging gap)을 형성합니다. 축의 회전에 따라 윤활유가 이 쐐기 공간으로 강제로 끌려 들어가면, 유로가 좁아지면서 유체의 흐름이 저항을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유체 내부에 압력이 축적되며, 이 압력 분포가 합쳐져 외부 하중과 평형을 이루는 지지력을 발생시킵니다. 압력은 쐐기가 시작되는 넓은 부분에서부터 점차 증가하여 최소 틈새(minimum film thickness) 직전에 최대치에 도달하고, 그 이후 틈새가 다시 넓어지는 구간에서는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 비대칭적인 압력 분포가 바로 저널을 부상시키는 힘의 원천입니다. 1.3. 레이놀즈 방정식의 개념적 이해 이러한 유체 동압 윤활 현상을 수학적으로 기술하는 지배 방정식이 바로 레이놀즈 방정식(Reynolds Equation)입니다. 이 방정식은 유체역학의 기본 원리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을 윤활 유막과 같은 매우 얇은 층에 적용하여 단순화한 것입니다. 레이놀즈 방정식은 베어링 내의 압력 분포(P)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즉, 압력 구배(\nabla P)는 윤활유의 점도(\eta), 축의 회전 속도(N), 그리고 유막 두께(h)의 함수임을 보여줍니다. 복잡한 미분 방정식 형태를 띠고 있어 해석적인 해를 구하기는 어렵지만, 이 방정식의 존재 자체가 저널 베어링의 성능(하중 지지력, 마찰 손실 등)이 이들 변수에 의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현대의 베어링 설계는 대부분 이 레이놀즈 방정식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여 압력 분포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베어링의 성능 특성을 예측합니다. 1.4. 윤활 원리에 따른 분류 저널 베어링은 유막의 압력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동압(Hydrodynamic) 베어링: 본 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과 베어링의 상대 운동(회전)에 의해 유체 동역학적으로 압력이 자체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대부분의 고속 회전 기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정압(Hydrostatic) 베어링: 외부 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의 윤활유를 베어링 틈새로 직접 공급하여 압력을 형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축이 회전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도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정밀 공작기계나 시동 시 마찰이 없어야 하는 특수 설비에 사용됩니다. 제2장: 스트라이벡 곡선과 좀머펠트 수: 윤활 상태의 정량적 이해 유체 동압 윤활의 메커니즘을 이해했다면, 다음 단계는 특정 운전 조건에서 베어링이 어떤 윤활 상태에 놓이게 될지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트라이볼로지(tribology, 마찰/마모/윤활에 관한 학문) 분야에서는 스트라이벡 곡선(Stribeck Curve)과 좀머펠트 수(Sommerfeld Number)라는 강력한 공학적 도구를 사용합니다. 2.1. 스트라이벡 곡선 해부 스트라이벡 곡선은 베어링의 마찰 계수와 핵심 운전 변수들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 곡선을 통해 설계자는 베어링의 현재 윤활 상태를 진단하고 목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X축 (좀머펠트 수): 가로축은 윤활 상태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인 좀머펠트 수(또는 그와 유사한 허시 수, Hersey Number)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윤활유의 점도(\mu 또는 \eta), 축의 회전 속도(N), 그리고 베어링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하중(P)을 조합한 변수(\eta N/P)를 포함합니다. Y축 (마찰 계수, f): 세로축은 마찰력을 하중으로 나눈 값인 마찰 계수를 나타냅니다. 경계 윤활 (Boundary Lubrication): 좀머펠트 수가 매우 낮은 영역(저속, 고하중, 저점도)에서 나타납니다. 이 구간에서는 유막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금속 표면 간의 접촉이 지배적이며, 마찰 계수가 높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마찰 특성은 윤활유 첨가제와 표면 재질에 크게 의존합니다. 혼합 윤활 (Mixed Lubrication): 경계 윤활과 유체 윤활 사이의 과도기적 영역입니다. 좀머펠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막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금속 접촉이 줄어들어 마찰 계수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곡선에서 가장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는 구간입니다. 유체 윤활 (Hydrodynamic Lubrication): 좀머펠트 수가 충분히 큰 영역에서 나타납니다. 유막이 축을 완전히 들어 올려 표면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입니다. 마찰 계수는 최소점에 도달한 후, 속도나 점도가 더 증가함에 따라 유체 자체의 전단 저항이 커져 완만하게 다시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2.2. 좀머펠트 수의 공학적 의미 좀머펠트 수(S)는 저널 베어링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단일 무차원 변수입니다. 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S = \left( \frac{\mu N}{P} \right) \left( \frac{r}{c} \right)^2 여기서 \mu는 윤활유의 동점도, N은 초당 회전수, P는 단위 투영 면적당 하중, r은 저널 반경, c는 반경 방향 틈새를 의미합니다. 좀머펠트 수의 공학적 가치는 설계자가 제어할 수 있는 모든 핵심 변수—윤활유 특성(\mu), 운전 조건(N, P), 기하학적 형상(r, c)—를 하나의 숫자로 통합하여 베어링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는 데 있습니다. 즉, 동일한 좀머펠트 수를 갖는 베어링들은 크기나 운전 조건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윤활 상태(예: 동일한 편심률, 최소 유막 두께 비율)를 보입니다. 이 덕분에 엔지니어는 표준화된 차트나 방정식을 사용하여 복잡한 계산 없이도 베어링의 성능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2.3. 설계 도구로서의 활용 스트라이벡 곡선과 좀머펠트 수는 실제 설계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됩니다. 먼저, 설계자는 목표로 하는 운전 지점을 스트라이벡 곡선 상에서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찰이 낮고 안정적인 유체 윤활 영역의 특정 지점을 목표로 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마찰 계수가 가장 낮은 지점이 반드시 최적의 설계점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스트라이벡 곡선의 최저점은 혼합 윤활로 넘어가기 직전의 경계에 해당하며, 이 지점은 매우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만약 이 지점에서 운전 중 마찰열로 인해 유온이 미세하게 상승하면, 윤활유의 점도(\eta)는 감소하게 됩니다. 점도 감소는 좀머펠트 수(\eta N/P)를 낮추는 효과를 가져와 운전점을 곡선의 왼쪽, 즉 마찰이 급격히 증가하는 혼합 윤활 영역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는 다시 마찰열을 증가시켜 점도를 더욱 떨어뜨리는 악순환(thermal runaway)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마찰 최저점에서 의도적으로 조금 더 오른쪽, 즉 좀머펠트 수가 더 높은 유체 윤활 영역을 목표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약간의 마찰 증가를 감수하는 대신, 운전 조건 변화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 여유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공학적 절충입니다. 목표 운전점이 정해지면, 해당 지점의 좀머펠트 수를 기준으로 설계 변수들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하중(P)과 속도(N), 베어링 형상(r, c)이 정해져 있다면, 목표 좀머펠트 수를 만족시키는 데 필요한 윤활유의 점도(\mu)를 계산하여 적절한 윤활유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사용할 윤활유가 정해져 있다면, 베어링이 안전한 유체 윤활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허용 가능한 최대 하중이나 최소 속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3장: 저널 베어링의 핵심 설계 변수 최적화 저널 베어링의 성능은 몇 가지 핵심적인 기하학적 및 물리적 변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러한 변수들은 서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어, 어느 하나를 변경하면 다른 성능 특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성공적인 설계는 이들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적용 분야에 맞게 최적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입니다. 3.1. 반경 방향 틈새 (Radial Clearance, c) 반경 방향 틈새는 저널과 베어링 사이의 반경 차이로, 유막이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설계 변수입니다. 틈새의 크기는 베어링의 성능에 극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틈새가 너무 작은 경우 (Too Small): 틈새가 부족하면 윤활유의 유동이 제한되어 마찰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합니다. 이는 베어링 온도의 과도한 상승으로 이어져 윤활유 점도를 떨어뜨리고, 심한 경우 유막이 파괴되어 소착(seizure)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전 중 발생하는 열팽창을 수용할 공간이 부족하여 베어링이 파손될 위험도 있습니다. 틈새가 너무 큰 경우 (Too Large): 틈새가 과도하면 유체 동압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유압 저항이 감소하여 충분한 압력을 생성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베어링의 하중 지지 능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낳습니다. 또한, 넓은 틈새는 축의 진동을 억제하는 유막의 감쇠 효과를 약화시켜, 후술할 오일 훨(oil whirl)과 같은 동적 불안정성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최적의 틈새는 이 두 극단 사이의 균형점에서 결정됩니다. 일반적인 설계 지침으로는 저널 직경의 1/1000 ~ 1.5/1000 정도의 지름 틈새(diametral clearance, 2c)를 권장하지만 , 이는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속 또는 고하중 운전 조건에서는 열 발생이 많으므로, 냉각을 위한 윤활유 유량을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틈새를 더 크게 설계하기도 합니다. 3.2. 길이-직경 비 (Length-to-Diameter Ratio, L/D) 베어링의 길이(L)와 저널의 직경(D)의 비율인 L/D 비는 베어링의 축 방향 압력 분포와 측면 누유(side leakage)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짧은 베어링 (Short Bearings, L/D < 1): L/D 비가 작을수록 베어링 양 끝단으로 빠져나가는 윤활유의 양, 즉 측면 누유가 많아집니다. 이로 인해 베어링 중앙부의 평균 압력이 낮아져 동일한 조건의 긴 베어링에 비해 하중 지지 능력이 떨어집니다. 하지만, 많은 양의 유량이 베어링을 통과하므로 마찰열을 제거하는 냉각 성능은 매우 우수합니다. 긴 베어링 (Long Bearings, L/D > 1): L/D 비가 클수록 측면 누유가 줄어들어 유압을 더 높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더 큰 하중 지지 능력으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유량이 적어 냉각 성능이 떨어지고, 축의 정렬 불량(misalignment)에 매우 민감하여 베어링 끝단에 국부적인 고압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L/D 비가 동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복합적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L/D 비가 증가할수록 안정성이 감소한다고 보고하는 반면, 특정 조건에서는 더 높은 L/D 비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이는 L/D 비가 다른 설계 변수들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안정성에 영향을 미침을 시사합니다. 결론적으로, 반경 방향 틈새와 L/D 비는 독립적인 변수가 아니라 베어링의 “유압 임피던스(hydraulic impedance)”를 결정하는 상호 연관된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좁은 틈새와 높은 L/D 비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큰 ‘고임피던스’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높은 압력을 형성하여 하중 지지 능력은 뛰어나지만, 유량이 적어 냉각에는 불리합니다. 반대로, 넓은 틈새와 낮은 L/D 비는 유체가 쉽게 흐르는 ‘저임피던스’ 시스템을 만듭니다. 이 경우, 냉각 성능은 우수하지만 압력 형성이 어려워 하중 지지 능력은 저하됩니다. 따라서 설계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주된 과제가 하중 지지인지(고임피던스 설계) 아니면 열 제거인지(저임피던스 설계)를 판단하여 이 두 변수를 종합적으로 최적화해야 합니다. 3.3. 온도 효과 및 열 평형 저널 베어링의 작동 중 유막 내에서 발생하는 유체의 전단 마찰은 열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입니다. 이 열은 윤활유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는 다시 윤활유의 점도를 현저히 떨어뜨립니다. 점도 감소는 좀머펠트 수를 낮춰 베어링의 운전점을 불안정한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베어링에서 발생하는 열과 윤활유 흐름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이 평형을 이루는, 즉 열 평형(thermal equilibrium) 상태에 도달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계자는 예상 발열량을 계산하고, 이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윤활유 공급량과 공급 방식을 결정해야 합니다. 필요시에는 외부 냉각 장치를 추가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3.4. 급유구 및 오일 홈 설계 윤활유를 베어링 틈새로 공급하는 급유구(oil inlet)의 위치와 오일 홈(oil groove)의 형상은 베어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급유구는 반드시 베어링 내에서 압력이 가장 낮은 영역에 위치해야 합니다. 만약 고압 영역에 급유구를 설치하면, 내부의 높은 유압 때문에 윤활유가 틈새로 들어가지 못하고 오히려 역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의 반대편이 저압 영역에 해당합니다. 오일 홈은 베어링의 축 방향으로 윤활유를 고르게 분배하여 윤활 및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오일 홈은 유체 동압이 형성되는 쐐기 영역을 단절시켜 압력 형성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신중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제4장: 재료 선정: 베어링과 축의 성공적인 결합 저널 베어링 시스템의 성공은 베어링과 축(저널)이라는 두 부품의 재료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짝을 이루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베어링 재료는 종종 서로 상충되는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가집니다. 4.1. 베어링 재료의 필수 특성 이상적인 베어링 재료는 다음과 같은 핵심 특성들을 균형 있게 갖추어야 합니다. 순응성 (Conformability): 축의 미세한 정렬 불량이나 기하학적 오차를 수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능력입니다. 순응성이 좋은 재료는 국부적인 고압 발생을 방지하고 하중을 베어링 표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시켜 안정적인 유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재료일수록 순응성이 우수합니다. 매입성 (Embeddability): 윤활유에 섞여 들어온 미세한 이물질이나 마모 입자들을 재료 표면 내에 박아 넣어, 이들이 축 표면에 흠집(scoring)을 내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입니다. 매입성이 좋으면 3체 마모(third-body abrasion)를 줄여 축과 베어링 모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 역시 부드러운 재료에서 더 잘 나타납니다. 내피로성 (Fatigue Strength): 내연기관과 같이 하중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환경에서 균열이나 박리(spalling) 없이 반복적인 응력을 견디는 능력입니다. 이는 베어링의 내구성과 수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강한 재료가 우수한 내피로성을 보입니다. 상용성 (Compatibility/Anti-Scoring): 기동, 정지 등 경계 윤활 조건에서 축과 베어링의 금속 표면이 직접 접촉할 때, 서로 눌어붙거나(welding) 용착(seizure)되지 않고 미끄러질 수 있는 저항성입니다. 이는 재료 조합 간의 화학적, 물리적 친화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내식성 (Corrosion Resistance): 윤활유 자체나, 고온에서 윤활유가 산화되면서 생성되는 산성 물질에 의한 화학적 부식에 저항하는 능력입니다. 열전도성 (Thermal Conductivity): 마찰로 인해 발생한 열을 베어링 표면에서 하우징으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방출하는 능력입니다. 열전도성이 높으면 베어링의 과열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작동 온도를 유지하는 데 유리합니다. 4.2. 주요 베어링 재료 분석 이러한 요구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베어링 재료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이트 메탈 (Babbitt Alloys): 주석(tin) 또는 납(lead)을 기반으로 하는 합금입니다. 순응성과 매입성이 매우 뛰어나 축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탁월하지만, 내피로성과 고온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고하중 애플리케이션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구리 합금 (Copper Alloys): 청동(bronze)과 황동(brass)이 대표적입니다. 화이트 메탈보다 강도와 내피로성이 월등히 높아 더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순응성과 매입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져 정밀한 조립과 깨끗한 윤활 관리가 요구됩니다. 알루미늄 합금 (Aluminum Alloys): 우수한 내피로성과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며, 내식성도 좋아 현대의 고성능 엔진에 널리 사용됩니다. 주석 등을 첨가하여 상용성을 개선한 합금이 많습니다. 비금속 재료 (Non-metallic Materials): 폴리머 계열(PTFE, 나일론 등)은 자체 윤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무급유 운전이 가능하고 내식성이 뛰어납니다. 그러나 금속에 비해 강도와 열적 한계가 낮습니다. 탄소-흑연이나 세라믹 재료는 고온, 부식성 환경과 같은 극한 조건에서 사용됩니다. 표 4.1: 주요 베어링 재료의 특성 비교 4.3. 저널(축) 재료의 요구 조건 베어링과 접촉하는 저널, 즉 축의 재료 선정 또한 시스템의 성공에 매우 중요합니다. 축은 베어링 재료보다 훨씬 더 높은 경도와 강도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하고 저렴한 베어링에서 먼저 일어나도록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축은 높은 강도와 피로 저항성을 가져야 하며, 특히 저널 표면은 유체 동압 유막 형성을 촉진하고 마모에 저항하기 위해 매우 매끄럽고 단단하게 가공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고탄소강이나 합금강을 단조한 후, 표면을 연삭하고 고주파 열처리 등으로 표면 경화 처리를 하여 사용합니다. 제5장: 윤활 시스템 설계: 윤활유의 역할과 선택 윤활유는 저널 베어링 시스템의 혈액과도 같습니다. 단순히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넘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기능 유체입니다. 따라서 운전 조건에 맞는 최적의 윤활유를 선택하고 공급하는 것은 설계의 핵심 과제 중 하나입니다. 5.1. 윤활유의 핵심 기능 윤활유는 저널 베어링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 윤활 (Lubrication): 유체 동압 유막을 형성하여 축과 베어링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마찰과 마모를 최소화합니다. 냉각 (Cooling): 베어링 내에서 마찰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운반, 방출함으로써 베어링의 과열을 방지합니다. 세정 (Cleaning): 마모 입자나 외부 오염 물질을 유체 내에 분산시켜 순환을 통해 필터로 운반함으로써 베어링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합니다. 보호 (Protection): 금속 표면에 유막을 형성하여 수분이나 부식성 물질로부터 베어링과 축을 보호하고 녹 발생을 방지합니다. 5.2. 점도(Viscosity)와 점도 지수(Viscosity Index, VI) 점도 (Viscosity): 윤활유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으로, 유체의 ‘끈끈함’ 즉, 흐름에 대한 저항을 의미합니다. 저널 베어링에서 점도는 양면성을 가집니다. 점도가 충분히 높아야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력한 유막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점도가 너무 높으면 유체 자체의 내부 마찰(전단 저항)이 커져 동력 손실이 증가하고, 유동성이 나빠져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최적의 점도는 좀머펠트 수 분석을 통해 결정되며, 운전 조건(하중, 속도, 온도)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되어야 합니다. 점도 지수 (Viscosity Index, VI): 온도가 변함에 따라 점도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점도 지수가 높은 윤활유는 온도 변화에도 점도 변화가 적어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이는 저온 시동 시에는 유동성이 좋아 원활한 윤활을 제공하고, 고온 운전 시에는 충분한 점도를 유지하여 유막을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하는 기계일수록 높은 점도 지수를 가진 윤활유(주로 합성유)가 매우 유리합니다. 5.3. 윤활 첨가제의 종류와 기능 현대의 윤활유는 기유(base oil)에 다양한 화학 첨가제를 배합하여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저널 베어링의 성능과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첨가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모 방지제 (Anti-Wear, AW) 및 극압제 (Extreme Pressure, EP): 기동, 정지 시 또는 과도한 하중으로 인해 유막이 파괴되어 금속 접촉이 발생하는 경계/혼합 윤활 조건에서 작동합니다. 이 첨가제들은 금속 표면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얇은 보호막을 형성, 직접적인 금속의 용착과 마모를 방지합니다. AW 첨가제는 일반적인 마모 조건에서, EP 첨가제는 더 가혹한 고압 조건에서 활성화됩니다. 산화 방지제 (Anti-Oxidants): 고온 환경에서 윤활유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화(산화)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산화는 슬러지와 바니시를 형성하여 베어링을 오염시키고, 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된 원인입니다. 점도 지수 향상제 (VI Improvers): 고분자 폴리머로, 저온에서는 응축되어 있다가 고온에서 팽창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점도 저하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멀티그레이드 엔진 오일의 핵심 첨가제입니다. 기타 첨가제: 금속 표면의 부식을 막는 부식 방지제, 윤활유에 거품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소포제(Anti-foaming agent), 오염 물질을 유중에 분산시켜 침전을 방지하는 청정분산제(Detergents/Dispersants) 등이 있습니다. 5.4. 최적 윤활유 선정 기준 최적의 윤활유를 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 운전 조건 분석: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P), 축의 회전 속도(N), 그리고 예상되는 최저 및 최고 작동 온도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필요 점도 결정: 좀머펠트 수와 스트라이벡 곡선 분석을 통해, 정상 작동 온도에서 안정적인 유체 윤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윤활유 점도를 계산합니다. 점도 지수 고려: 파악된 작동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전 구간에서 안정적인 점도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히 높은 점도 지수를 가진 윤활유를 선택합니다. 첨가제 요구 사항 평가: 운전 중 경계 윤활 조건이 빈번하게 발생하는지, 고온에 노출되는지, 수분 오염 가능성이 있는지 등을 평가하여 필요한 첨가제(AW/EP,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등)가 포함된 제품을 선택합니다. 기유 종류 선택: 운전 조건의 가혹도와 요구 수명에 따라 광유, 반합성유, 또는 완전 합성유 중에서 기유의 종류를 결정합니다. 표 5.1: 주요 윤활 첨가제의 기능 및 메커니즘 제6장: 고장 모드 분석 및 예방 전략 저널 베어링은 이론적으로 무한한 수명을 가질 수 있지만, 실제 운전 환경에서는 설계, 제조, 운전, 유지보수의 여러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고장 모드를 이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베어링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6.1. 동적 불안정성: 오일 훨(Oil Whirl)과 오일 휩(Oil Whip)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부하 베어링에서 주로 발생하는 가장 특징적인 고장 모드는 유막 자체에 의해 유발되는 자려 진동(self-excited vibration)입니다. 메커니즘: 유체 동압 유막은 축을 지지하는 힘뿐만 아니라, 회전 방향으로 축을 미는 힘도 발생시킵니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이 힘이 다른 힘들과 평형을 이루지만, 특정 조건(특히 경부하)에서는 이 힘이 축을 베어링 틈새 내에서 불안정하게 공전(whirling)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오일 훨 (Oil Whirl): 이 불안정성의 초기 단계를 오일 훨이라고 합니다. 가장 뚜렷한 특징은 축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주파수, 즉 아동기(sub-synchronous) 진동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진동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축 회전 속도(RPM)의 약 40-48% 범위에 고정됩니다. 오일 훨은 진동을 유발하지만, 그 자체로 즉각적인 파손을 일으키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오일 휩 (Oil Whip): 오일 훨 상태에서 축의 회전 속도가 계속 증가하여, 오일 훨 주파수가 로터-베어링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임계 속도)와 일치하게 되면,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진동이 격렬하게 증폭됩니다. 이 현상을 오일 휩이라고 합니다. 오일 휩 상태에서는 진동 주파수가 더 이상 축 회전 속도에 연동되지 않고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에 고정되며, 회전 속도가 더 증가해도 이 주파수를 유지합니다. 오일 휩은 매우 파괴적인 진동으로, 단시간 내에 베어링의 완전한 파손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 경부하, 과도한 베어링 틈새, 부적절한 윤활유 점도(너무 낮거나 높음), 특정 베어링 형상(특히 단순 원통형 베어링)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예방 및 대책: 설계적 접근: 안정성이 뛰어난 비원형 베어링(타원형, 다엽형 등)이나 틸팅 패드 베어링(tilting-pad bearing)을 사용하여 유막의 불안정성을 근본적으로 억제합니다. 압력 댐(pressure dam)과 같은 구조를 추가하여 인위적으로 유막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운전 조건 변경: 베어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키거나, 윤활유 온도를 낮춰 점도를 높이는 것이 임시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일 휩이 발생하는 속도 영역(일반적으로 1차 임계 속도의 2배 근처)에서의 운전을 회피해야 합니다. 표 6.1: 오일 훨(Oil Whirl)과 오일 휩(Oil Whip) 비교 분석 6.2. 재료 파손 메커니즘 마모 (Wear): 연삭 마모 (Abrasive Wear): 윤활유에 유입된 모래, 금속 가루 등 단단한 오염 입자가 베어링과 축 사이에서 연마재처럼 작용하여 표면을 긁고 마모시키는 현상입니다. 깨끗한 윤활유 관리와 고성능 필터 사용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입니다. 부착 마모 (Adhesive Wear): 유막이 국부적으로 파괴되어 금속 표면의 미세 돌기들이 직접 접촉할 때 발생합니다. 접촉점에서 발생한 압력과 열로 인해 미세한 용착이 일어나고, 이것이 다시 떨어져 나가면서 한쪽 표면에서 다른 쪽으로 재료가 옮겨가는 현상입니다. 적절한 유막 유지와 상용성이 좋은 재료 조합 선택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피로 (Fatigue): 스폴링(spalling) 또는 플레이킹(flaking)이라고도 불립니다.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베어링 표면 아래에서 미세한 균열이 시작되고, 이 균열이 점차 성장하여 표면에 도달하면 재료 조각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입니다. 이는 정상적인 수명 주기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고장이지만, 과도한 하중, 충격, 정렬 불량 등에 의해 조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착 (Seizure): 유막이 완전히 파괴되어 베어링과 축이 광범위하게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치명적인 고장입니다. 급격한 마찰열 발생으로 재료가 연화되고, 최종적으로는 두 표면이 서로 눌어붙어 회전이 멈추게 됩니다. 윤활유 공급 중단, 극심한 과열, 또는 부적절하게 작은 틈새가 주된 원인입니다. 6.3. 기타 고장 원인 오염 (Contamination): 먼지, 수분, 다른 종류의 유체 등이 윤활유에 혼입되면 연삭 마모, 부식, 유막 강도 저하 등 복합적인 문제를 일으킵니다. 효과적인 밀봉(sealing)과 청결한 유지보수 환경이 중요합니다. 부적절한 설치 (Improper Installation): 축과 베어링 하우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정렬 불량(misalignment)은 베어링 끝단에 하중을 집중시켜 국부적인 마모와 조기 피로 파손을 유발합니다. 과부하 (Overloading): 설계된 하중 용량을 초과하는 부하가 가해지면 유막 두께가 감소하여 경계 윤활 상태에 빠지기 쉽고, 재료의 피로 수명을 급격히 단축시킵니다. 결론: 고성능 저널 베어링 설계를 위한 종합적 접근 본 보고서는 저널 베어링의 작동을 지배하는 유체 동압 윤활의 기본 원리에서부터 실제 설계에 필요한 핵심 변수들의 최적화, 재료 및 윤활유 선정, 그리고 잠재적 고장 모드 분석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심도 있게 다루었습니다.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저널 베어링 설계는 개별 요소들을 순차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변수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습니다. 설계의 핵심은 결국 좀머펠트 수와 스트라이벡 곡선으로 대표되는 물리적 법칙 안에서 최적의 균형점을 찾는 과정입니다. 재료의 선택, 윤활유의 점도, 베어링의 기하학적 형상(틈새, L/D 비)은 모두 특정 운전 조건(하중, 속도) 하에서 베어링이 안정적인 유체 윤활 영역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도구입니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는 ‘설계 삼각형(Design Triangle)’ 이라는 개념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이 삼각형의 세 꼭짓점은 각각 하중 지지 능력(Load Capacity), 열 안정성(Thermal Stability), 그리고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을 나타냅니다. 하나의 성능을 극대화하려는 시도는 종종 다른 성능의 희생을 동반합니다. 예를 들어, 하중 지지 능력을 높이기 위해 틈새를 줄이면 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동적 안정성을 위해 경부하를 피하면 특정 용도에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지니어의 궁극적인 역할은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하고, 이 세 가지 핵심 성능 지표 사이에서 최적의 절충안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저널 베어링 기술은 더욱 극한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진화할 것입니다. 내열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신소재(폴리머 복합재, 세라믹 등)의 적용이 확대되고 , 베어링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유막 상태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베어링 기술이 발전할 것입니다. 또한,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윤활유의 개발과 적용도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저널 베어링이 미래의 고성능 기계 시스템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 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2.pdf 2. 베어링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2%A0%EC%96%B4%EB%A7%81 3. 저널 베어링의 작동 방식 – 뉴스 – 가흥 Tisen Sliding Bearing Co., Ltd, http://ko.oilesbushing.com/news/how-journal-bearings-work-15966814.html 4. 2. 저널 베어링의 종류 및 특성, https://www.incosys.co.kr/vibration-maintenance-handbook/part-3-maintenance/part-3-chapter-1-journal-thrust-bearing/part-3-chapter-1-section-2-type-of-journal-bearing/ 5. Effect of L/D Ratio on the Performance of an Inverted Three-lobe Pressure Dam Bearing,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63662739_Effect_of_LD_Ratio_on_the_Performance_of_an_Inverted_Three-lobe_Pressure_Dam_Bearing 6. The Stribeck curve –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https://www.stle.org/files/TLTArchives/2022/07_July/Lubrication_Fundamentals.aspx 7. Mastering the Stribeck Curve for Tribological Applications – Number Analytics, https://www.numberanalytics.com/blog/mastering-stribeck-curve-for-tribological-applications 8. 유막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분류하는 방법? – 지식, https://ko.zjwxbearing.com/info/what-are-oil-film-bearings-how-to-classify-88531223.html 9. Stribeck Curves In Reciprocating Test – Bruker, https://www.bruker.com/en/products-and-solutions/test-and-measurement/tribometers-and-mechanical-testers/stribeck-curves-in-reciprocating-test.html 10. Thermal analysis of finite length journal bearings including fluid inertia – Tribology, https://rotorlab.tamu.edu/me626/Notes_pdf/Notes07%20Thermal%20Anaysis%20JBs%20w%20examples.pdf 11. Oil Whirl Monitoring – Rotating Machinery Fault Simulation, http://vlabs.iitkgp.ac.in/rmfs/exp4/index.html 12. Shaft Whipping Due to Oil Action in Journal Bearings | Dyrobes,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5/09/Shaft-Whipping-Action-Due-to-Oil-Action-in-Journal-Bearings-1925__linked.pdf 13. DyRoBeS©_BePerf Help Contents, https://dyrobes.com/help1800/BePerf_1800c.pdf 14. Effect of Change in Radial Clearance on Pressure … – DergiPark,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649573 15. Chapter 06 베어링 6-1,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3.pdf 16. Understanding Stribeck Curve in Tribology – Number Analytics, https://www.numberanalytics.com/blog/ultimate-guide-to-stribeck-curve-in-tribology 17. Sommerfeld number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Sommerfeld_number 18. [Solved] The property of a bearing material which has the ability to – Testbook, https://testbook.com/question-answer/the-property-of-a-bearing-material-which-has-the-a–5faeec7bf297323aca9c424c 19. notes 4 – static load performance of plain journal bearings, https://rotorlab.tamu.edu/me626/Notes_pdf/Notes04%20Static%20Load%20JBs%2010.pdf 20. 마멸율에 관한 저널베어링의 최적설계, https://www.jcoseik.or.kr/articles/pdf/we1X/jcoseik-2002-015-01-15.pdf 21. Performance of Tilting Pad Journal Bearings with the Same Sommerfeld Number – MDPI, https://www.mdpi.com/2076-3417/10/10/3529 22. Generic representation of a Stribeck curve based on the Sommerfeld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Generic-representation-of-a-Stribeck-curve-based-on-the-Sommerfeld-number_fig1_316221103 23. 저널 베어링의 세계 탐험 – FHD, https://fhdbearings.com/ko/blog/journal-bearings/ 24.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Bearing Clearance | FHD, https://fhdbearings.com/blog/bearing-clearance/ 25. The Role of Radial Clearance on the Performance of Foil Air Bearings, 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020081114/downloads/20020081114.pdf 26. Oil Whirl and Whip Instabilities – Within Journal Bearings – Machinery Lubrication,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754/oil-whirl-whip 27. 저널베어링의 마찰성능 실험 – Ulsan Univ. Repository – 울산대학교, https://oak.ulsan.ac.kr/bitstream/2021.oak/4465/2/000002024694.pdf 28. Effect of L/D ratio on the stability of inverted three-lobe pressure…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Effect-of-L-D-ratio-on-the-stability-of-inverted-three-lobe-pressure-dam-bearing_fig4_263662739 29. Identification of Distributed Dynamic Characteristics of Journal Bearing with Large Aspect Ratio under Shaft Bending – MDPI, https://www.mdpi.com/2077-1312/10/5/658 30. NASA TN D-7902 EFFECT OF NUMBER OF LOBES AND LENGTH-DIAMETER RATIO ON STABILITY OF TILTED-LOBE HYDRODYNAMIC JOURNAL BEARINGS AT, https://ntrs.nasa.gov/api/citations/19750009614/downloads/19750009614.pdf 31. CFD based transient analysis of hydrodynamic journal bearing –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https://ijersonline.org/HTML_Papers/Research%20Journal%20of%20Engineering%20and%20Technology__PID__2017-8-2-6.html 32. 저널 베어링 디자인의 유형 – 뉴스 – 가흥 Tisen Sliding Bearing Co., Ltd, http://ko.oilesbushing.com/news/type-of-journal-bearing-design-15708055.html 33. The Effect of Manufacturing Tolerances on the Stability of Profile Bore Bearings, https://www.waukbearing.com/content/dam/dpc/waukbearing/wb_downloads/technical-papers/Effects%20Manufacturing%20Tolerances_Stability%20of%20Profile%20Bore%20Bearings.pdf 34. Bearing materials- desired characteristics, https://web.iitd.ac.in/~rribeiro/MEL%20417%20Lubrication%20Lec%20020411.ppt 35. Bearing Properties | PDF | Bearing (Mechanical) | Wear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310998410/Bearing-Properties 36. The property of a bearing material which has the ability to accommodat d8878251a367 | ZONE TECH, https://zonetech.in/question-answer/the-property-of-a-bearing-material-which-has-the-ability-to-accommodat-d8878251a367 37. Engine Bearing Materials – Mini Mania, https://www.minimania.com/pdfile/Engine_Bearing_Materials.pdf 38. Review of Journal Bearing Materials and Current Trends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7157035_Review_of_Journal_Bearing_Materials_and_Current_Trends 39. 베어링 재료: 알아야 할 모든 것 | FHD Bearings, https://fhdbearings.com/ko/blog/bearing-materials/ 40. 일반적인 사용 베어링 재료 및 특성, https://ko.yujebearing-machining.com/info/common-used-bearing-materials-and-characterist-44992168.html 41. 커넥팅 로드·크랭크축·저어널 베어링·플라이 휠 – 강주원 자동차, http://jwkang7.wo.to/pds01/110.htm 42. 일반적인 베어링 재료의 특성 및 응용 – 뉴스, https://ko.welfinebearing.com/news/characteristics-and-application-of-common-bear-52646749.html 43. 하이브리드 복합재료 저널베어링 구조 및 그러한 구조를갖는 저널베어링의 제조방법,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0612615B1/ko 44. 샤프트의 재료 사용 – 지식 – Quanzhou Xinlida Machinery Manufactory Co., Ltd, https://ko.jkcparts.com/info/material-use-of-shaft-59292507.html 45. [제조백과] 엔진의 심장부, 크랭크축의 모든 것 – 바로발주, https://baro-order.com/magazine/%EC%97%94%EC%A7%84%EC%9D%98%EC%8B%AC%EC%9E%A5%EB%B6%80-%ED%81%AC%EB%9E%AD%ED%81%AC%EC%B6%95-%EC%B4%9D%EC%A0%95%EB%A6%AC/252/ 46. 크랭크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D%81%AC%EB%9E%AD%ED%81%AC%EC%B6%95 47. 현장 크랭크축 가공 | 크랭크핀 보수, https://www.metalockengineering.com/ko/%EC%9D%BC%EB%B0%98%EC%A0%81%EC%9D%B8-%EB%B3%B4%EC%88%98-%EC%9E%91%EC%97%85/%ED%81%AC%EB%9E%AD%ED%81%AC%EC%B6%95-%EB%B3%B4%EC%88%98-%EB%B0%8F-%EA%B5%90%EC%A0%95 48. Lubricant Effects on Bearing Life – NASA Technical Reports Server (NTRS), https://ntrs.nasa.gov/api/citations/19870006034/downloads/19870006034.pdf 49. 미끄럼 베어링의 윤활특성(마찰 특성) – 공부하는 아버지 – 티스토리, https://cool991326.tistory.com/entry/%EB%AF%B8%EB%81%84%EB%9F%BC-%EB%B2%A0%EC%96%B4%EB%A7%81%EC%9D%98-%EC%9C%A4%ED%99%9C%ED%8A%B9%EC%84%B1%EB%A7%88%EC%B0%B0-%ED%8A%B9%EC%84%B1 50. Viscosity index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Viscosity_index 51. Viscosity index of lubricants: definition & explanation – Interflon, https://interflon.com/us/news/viscosity-index-of-lubricants 52. Viscosity Index: What It Is and Why It’s Important – Machinery Lubrication,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31645/viscosity-index-important 53. Oil Viscosity Explained: Understanding the Viscosity Index of Motor Oils – Valvoline™ Global, https://www.valvolineglobal.com/en-ksa/oil-viscosity-explained/ 54. Lubricant Additives – A Practical Guide,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31107/oil-lubricant-additives 55. Lubricant Additives: A Comprehensive Guide, https://precisionlubrication.com/articles/lubricant-additives/ 56. Extreme pressure and antiwear additives in rolling bearing lubrication – UL Prospector, https://www.ulprospector.com/knowledge/11602/extreme-pressure-and-antiwear-additives-in-rolling-bearing-lubrication/ 57. Journal Bearings and Their Lubrication,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779/journal-bearing-lubrication 58. How to Calculate the Viscosity Index of a Lubricant, https://precisionlubrication.com/articles/calculate-viscosity-index-lubricant/ 59. Understanding Oil Whirl and Oil Whip – CTC, https://www.ctconline.com/media/vyxjkhgk/mdi-tech-tip-oil-whirl.pdf 60. Vibration Analysis & Condition Monitoring Basics: Oil Whip & Whirl in Journal Bearings, 61. Troubleshooting of plain bearings – Power-MI, https://power-mi.com/content/troubleshooting-plain-bearings 62. Wear – NTN Bearing Wizard, https://bearingwizard.com/rolling-bearing-damage/wear/ 63. Fatigue and wear in a journal bearing – High Power Media, https://www.highpowermedia.com/Archive/fatigue-and-wear-in-a-journal-bearing 64. Outline Friction Wear of Materials Adhesive Wear – Concordia University, http://users.encs.concordia.ca/~mmedraj/mech321/lecture_19_wear_2.pdf 65. 16. Bearing damage and corrective measures – NTN Global, https://www.ntnglobal.com/en/products/catalog/pdf/2203E_a16.pdf 66. What Causes Bearing Failures and Preventative Measures You Need to Know, https://www.bdsbearing.com/blog/bearing-fail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