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8월 19th, 2025

현대 터빈 스러스트 베어링 기술 심층 분석: 원리, 소재 및 적용

제 1장: 터보기계 축 방향 하중 관리의 기초 원리

1.1 고성능 회전 시스템에서 스러스트 베어링의 핵심적 역할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은 터빈과 같은 고성능 회전기계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축 방향 하중, 즉 추력(Thrust)을 지지하고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핵심 부품이다.1 터빈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 차이, 로터의 열팽창, 기어 맞물림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회전축(Rotor)은 축 방향으로 상당한 힘을 받게 된다. 스러스트 베어링의 일차적인 목적은 이 축 방향 힘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회전체의 축 방향 위치를 정밀하게 고정하고, 회전 부품과 고정 부품 간의 치명적인 접촉을 방지하며, 마찰과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1 터빈-발전기 시스템 전체의 신뢰성과 안정성은 베어링 및 윤활 계통의 건전성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베어링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기계의 성능 저하는 물론이고, 심각한 경우 기동 불능 상태에 빠지거나 회전체와 고정자 간의 마찰로 인한 파국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3 따라서 베어링의 온도, 진동 등 운전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예방 정비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은 터보기계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간주된다.3

1.2 유체 동압 윤활의 원리: 유막의 생성

대부분의 대형 터빈 스러스트 베어링은 유체 동압(Hydrodynamic) 윤활 원리에 기반하여 작동한다. 이 원리는 회전축(또는 스러스트 칼라/러너)과 고정된 베어링 패드 사이의 상대 운동을 이용하여 점성을 가진 윤활유(오일)를 쐐기 모양의 수렴하는 간극으로 끌어들이는 현상에 기초한다.3 이 과정에서 윤활유 내부에 강력한 압력이 형성되며, 이 압력으로 인해 생성된 얇은 유막(Oil Film)이 금속 표면들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킨다. 결과적으로 축 방향 하중은 고체 간의 접촉이 아닌, 유체 쿠션에 의해 지지되며 마찰이 획기적으로 감소한다.5 이 유막은 복합적인 구조를 가진다. 금속 표면에 분자 수준으로 흡착된 ‘흡착막(Absorbed Film)’, 유막이 매우 얇아져 표면의 미세 돌기들이 간헐적으로 접촉하는 ‘경계 윤활막(Boundary Film)’, 그리고 정상 운전 상태에서 금속 표면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완전 유막(Full Film)’으로 구성된다.3 이상적인 유체 동압 윤활 상태에서는 완전 유막이 유지되어 금속 간 접촉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기동, 정지 시 또는 급격한 충격 하중이 가해질 때는 유막이 파괴되어 경계 윤활 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이때 베어링의 소손 위험이 증가한다.3 유막의 두께와 하중 지지 능력은 윤활유의 점도( η), 회전 속도(N), 베어링에 가해지는 압력(p) 등 여러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점도와 속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낮을수록 유막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5

1.3 터빈 베어링 운전에서의 스트라이벡 곡선 분석: 경계 윤활에서 완전 유막 윤활까지

스트라이벡 곡선(Stribeck Curve)은 윤활 상태에 따른 마찰 계수의 변화를 설명하는 핵심적인 이론 모델이다. 이 곡선은 베어링의 운전 사이클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윤활 체제의 변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터빈 베어링의 성능과 수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곡선에 나타난 세 가지 주요 윤활 영역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동 및 정지 구간 (경계 윤활, Boundary Lubrication): 터빈이 정지 상태이거나 매우 낮은 속도로 회전할 때, 회전 속도가 유체 동압 유막을 형성하기에 불충분하다. 이 구간에서는 축 방향 하중이 베어링 패드 표면의 미세 돌기들을 통해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즉, 금속 간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매우 얇은 경계 윤활막을 통한 접촉이 발생한다.3 이 상태는 스트라이벡 곡선에서 마찰 계수가 가장 높은 영역에 해당하며, 베어링의 마모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위험 구간이다. 테이퍼 랜드 베어링 설계에서 ‘플랫 랜드(Flat Land)’ 영역은 바로 이 기동 및 저속 운전 시의 하중을 견디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부분이다.6 가속 구간 (혼합 윤활, Mixed-Film Lubrication): 회전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적인 유체 동압 유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일부 영역에서는 표면 돌기 간의 접촉이 일어난다. 이 혼합 윤활 영역에서는 하중이 유막 압력과 고체 접촉에 의해 동시에 지지된다. 마찰 계수는 경계 윤활 상태보다 낮지만, 완전 유막 윤활 상태보다는 높다. 정상 운전 구간 (유체 동압 윤활, Hydrodynamic Lubrication): 터빈이 설계 속도에 도달하면, 회전 운동에 의해 완전하고 안정적인 유막이 형성되어 두 금속 표면을 완벽하게 분리시킨다.3 이 상태에서는 마찰이 오직 유체의 전단 저항에 의해서만 발생하므로 마찰 계수가 최소화된다. 워케샤(Waukesha)의 다이아몬드 베어링이 이 상태에서 0.002 미만의 마찰 계수를 보이는 것은 유체 동압 윤활의 이상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다.7 결론적으로, 터빈 베어링의 설계와 소재 기술 발전의 역사는 스트라이벡 곡선의 경계 및 혼합 윤활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유 공급이 끊겼을 때 스스로 녹아 윤활제 역할을 하는 배빗 메탈(Babbitt Metal)의 ‘고장 안전(Fail-Safe)’ 특성이나 8, 경계 윤활 조건에서 탁월한 내마모성을 보이는 다결정 다이아몬드(PCD)와 같은 신소재의 개발은 7 단순히 고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넘어, 기동 및 정지와 같은 과도 운전 구간에서의 베어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적 대응이다. 따라서 베어링의 성능은 정상 운전 상태뿐만 아니라 전체 운전 사이클에 걸친 내구성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1.4 비교 개요: 터빈 분야에서의 구름 베어링과 미끄럼 베어링

터빈의 스러스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이론적으로는 구름 베어링과 미끄럼 베어링(유체막 베어링) 두 가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적용 분야와 운전 조건에 따라 그 역할이 명확히 구분된다. 구름 베어링 (Rolling-Element Bearings): 볼(Ball)이나 롤러(Roller)와 같은 전동체를 사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2, 주로 중소형 기계에 널리 사용된다. 기동 마찰이 적고 표준화가 잘 되어 있어 설계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대형 고속 터빈과 같은 극한의 운전 조건에서는 속도 한계, 하중 지지 능력의 한계, 그리고 반복적인 접촉 응력으로 인한 피로 수명 문제 때문에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1 미끄럼 베어링 (Fluid-Film Bearings): 유체 동압 윤활 원리를 이용하는 미끄럼 베어링은 대형 터보기계 분야에서 지배적인 기술이다. 정상 운전 중 금속 간 접촉이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무한한 수명을 가질 수 있으며, 유막의 감쇠(Damping) 효과 덕분에 회전축의 진동을 억제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데 매우 유리하다.9 또한, 구름 베어링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거대한 하중과 초고속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반면, 깨끗하고 냉각된 윤활유의 지속적인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윤활 시스템의 고장은 즉시 베어링 파손으로 이어진다는 단점이 있다.9

제 2장: 유체 동압 스러스트 베어링 설계의 핵심 기술

2.1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 자기 정렬 및 하중 분배 메커니즘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Tilting Pad Thrust Bearing)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패드(Pad 또는 Shoe)가 캐리어 링(Carrier Ring)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각 패드는 피봇(Pivot)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Tilting) 있어,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라 최적의 유체 동압 쐐기(Hydrodynamic Wedge)를 스스로 형성하는 자기 정렬(Self-Aligning) 능력을 갖추고 있다.11 이러한 특성 덕분에 높은 안정성과 탁월한 하중 지지 능력을 발휘하여 고성능 터보기계에 표준적으로 사용된다.12

2.1.1 동적 하중 균등화를 위한 피봇과 레벨링 플레이트의 역할

피봇은 각 패드가 하중, 속도, 유온 변화에 독립적으로 반응하여 기울어질 수 있게 하는 핵심 요소다.11 특히 킹스베리(Kingsbury) 베어링과 같은 설계에서는 이 패드들이 레벨링 플레이트(Leveling Plate) 또는 균등화 링크(Equalizing Link) 시스템 위에 놓인다. 이 정교한 기계적 장치는 전체 축 방향 추력이 모든 패드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11 만약 하나의 패드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면, 레벨링 플레이트가 움직여 인접한 패드들이 하중을 나누어 받게 함으로써 특정 패드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이러한 자기 균등화(Self-Equalizing) 기능은 회전축의 정렬 불량(Misalignment)이나 열적 변형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므로 대형 터빈의 신뢰성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13

2.1.2 유체 동압 쐐기 형성 및 압력 분포

회전하는 러너(Runner)가 패드 위를 지나갈 때, 각 패드의 틸팅 작용은 유입부(Leading Edge)와 유출부(Trailing Edge) 사이에 수렴하는 쐐기 형태의 공간을 만들어낸다.12 윤활유가 이 쐐기 공간으로 끌려 들어가면서 압축되어 국부적인 고압 영역이 형성되고, 이 압력이 하중을 지지한다. 단방향 회전 기기에서는 최적의 압력 쐐기 형성을 위해 피봇의 위치를 패드 중심에서 회전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킨 오프셋 피봇(Offset Pivot)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패드 길이의 약 60% 지점에 피봇을 위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양방향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심 피봇(Center Pivot) 패드를 사용한다.13

2.2 테이퍼 랜드 스러스트 베어링: 설계 및 운전 특성

테이퍼 랜드 스러스트 베어링(Tapered Land Thrust Bearing)은 패드가 기울어지지 않는 고정 형상(Fixed-Geometry) 베어링이다. 유체 동압 양력(Lift)에 필요한 쐐기 형상이 베어링 표면에 정밀하게 가공된 고정된 테이퍼(Taper) 또는 램프(Ramp)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6 이 설계는 틸팅 패드 베어링에 비해 부품 수가 적고 구조가 단순하여 기계적으로 매우 견고하다는 장점이 있다.6

2.2.1 고정 형상 설계에서의 오일 쐐기 동역학

유체 동압 원리는 틸팅 패드 베어링과 동일하지만, 쐐기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이로 인해 테이퍼 랜드 베어링은 변화하는 운전 조건이나 축 정렬 불량에 대한 적응성이 틸팅 패드 베어링보다 떨어진다. 하중 지지 능력은 가공된 테이퍼 각도에 크게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작은 경사각이 더 두꺼운 유막을 형성하여 하중 지지 능력을 향상시킨다.15

2.2.2 과도 상태에서 플랫 랜드 영역의 중요 기능

이 설계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는 테이퍼의 끝부분에 위치한 평평한 영역, 즉 ‘플랫 랜드(Flat Land)’이다. 이 영역은 전체 패드 면적의 약 10%를 차지하며, 유체 동압 쐐기가 완전히 형성되기 전인 기동 및 저속 운전 구간에서 추력을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6 따라서 플랫 랜드는 베어링의 마모가 집중되는 매우 중요한 표면이며, 이 영역의 허용 압력은 약 300 psi 수준으로 제한된다. 만약 기동 시 과도한 추력이 이 부분에 가해지면, 배빗 메탈의 심각한 마모로 이어질 수 있다.6

2.3 첨단 설계 기술: 직접 윤활 방식

고속 운전(평균 미끄럼 속도 50 m/s 이상) 환경에서는 베어링 캐비티 전체를 윤활유로 채우는 전통적인 ‘침수 윤활(Flooded Lubrication)’ 방식이 유체의 교반(Churning) 및 난류로 인해 상당한 동력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13 워케샤 베어링과 같은 선도 제조업체에 의해 개발된 ‘직접 윤활(Directed Lubrication)’ 방식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이다. 이 시스템은 노즐을 사용하여 냉각된 고압의 윤활유를 각 패드의 유입부로 직접 분사한다. 이를 통해 유막 형성과 열 제거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신선한 오일을 패드 표면에 정확히 공급하면서, 침수된 캐비티에서 발생하는 교반 손실을 최소화한다. 직접 윤활 방식은 동력 손실을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으며, 베어링 표면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13 틸팅 패드 베어링과 테이퍼 랜드 베어링의 선택은 단순히 기술적 우위를 넘어, 기계의 운전 특성과 요구 신뢰성에 대한 근본적인 설계 철학의 차이를 반영한다. 테이퍼 랜드 베어링은 고정된 형상과 적은 부품 수로 인해 기계적 단순성과 견고함을 제공한다.6 이는 완벽하게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조건에서 운전되는 기계에 대해 비용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솔루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베어링의 성능은 특정 설계 지점에서 최적화되어 있다. 반면, 틸팅 패드 베어링은 피봇과 레벨링 플레이트라는 복잡한 기계 시스템을 포함한다.11 이러한 복잡성은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잠재적인 고장 지점을 추가하지만, 그 대가로 ‘적응성’을 얻는다. 각 패드가 스스로 정렬하는 능력은 13 대형 터보기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축 정렬 불량, 열 변형, 부하 변동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건에 대한 탁월한 내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베어링 선택은 어떤 베어링이 더 우수한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터빈의 실제 운전 환경과 요구 조건에 어떤 설계 철학이 더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부하 변동이 적은 기저부하용 발전 터빈은 테이퍼 랜드의 단순성을 선호할 수 있지만, 잦은 기동/정지나 부하 변동을 겪는 터빈은 틸팅 패드의 적응성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될 것이다.

2.4 스러스트 베어링 설계 비교 분석

터빈 엔지니어가 특정 용도에 맞는 베어링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다양한 성능 지표를 종합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다음 표를 제시한다. 이 표는 각 베어링 유형의 핵심적인 장단점을 명확히 하여, 복잡한 설계 상충 관계를 한눈에 파악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준다.

제 3장: 소재 과학과 터빈 베어링 성능의 상관관계

3.1 배빗 메탈 (주석 및 납 기반 합금): 산업 표준 소재

배빗 메탈은 부드러운 백색 금속 합금으로, 일반적으로 주석(Tin) 또는 납(Lead)을 기반으로 하며, 안티몬(Antimony)과 구리(Copper)의 단단한 결정이 부드러운 기지(Matrix)에 분산된 구조를 가진다.8 이러한 금속 기지 복합재 구조가 배빗 메탈의 우수한 베어링 성능의 핵심이다. 성능 특성 면에서, 단단한 결정들은 실제 하중을 지지하는 표면 역할을 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기지는 마모되면서 윤활유가 흐를 수 있는 미세한 경로를 형성한다.8 배빗 메탈의 핵심적인 장점은 눌어붙음(Galling)에 대한 뛰어난 저항성, 축의 미세한 변형에 순응하는 순응성(Conformability), 그리고 윤활유에 포함된 작은 오염 입자를 표면에 포획하여 축의 손상을 방지하는 매립성(Embeddability)이다. 특히 중요한 특성은 ‘고장 안전(Fail-Safe)’ 기능이다. 배빗 메탈은 녹는점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 중단과 같은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부드러운 주석 기지가 먼저 녹아 일시적인 윤활제 역할을 함으로써, 훨씬 더 고가인 강철 재질의 터빈 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준다.8 ASTM B23 표준에 따라 다양한 등급의 배빗 메탈이 있으며, 주석 기반 합금(예: Grade 1, 2, 3)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고속, 고하중 환경에 주로 사용되는 반면, 납 기반 합금(예: Grade 7, 8, 13, 15)은 경제성이 높아 저속, 저하중 조건에 적용된다.8

3.2 고성능 폴리머: PEEK의 부상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은 탁월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그리고 고온 성능을 겸비한 고성능 반결정성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19

3.2.1 베어링 등급 PEEK의 마찰 특성

베어링용으로 사용되는 PEEK는 탄소 섬유, 흑연, PTFE와 같은 충전재를 첨가하여 성능을 강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충전재들은 PEEK의 마찰 특성(Tribological Properties)을 크게 향상시켜 마찰 계수를 낮추고 내마모성을 높이며,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열전도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21

3.2.2 운전상의 이점

PEEK로 라이닝된 베어링은 최대 260°C (480°F)의 온도에서 연속 사용이 가능하여, 배빗 메탈의 사용 한계를 훨씬 뛰어넘는다.19 또한, 물이나 증기에 의한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학 물질에 대해 안정적이어서, 공정 유체로 윤활되는 시스템이나 윤활유 오염 위험이 있는 환경에 이상적인 소재다.19 미셸 베어링(Michell Bearings)과 같은 제조업체들은 터빈 및 압축기의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솔루션으로 PEEK 소재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다.24

3.3 극한 조건을 위한 첨단 소재: 세라믹과 다결정 다이아몬드(PCD)

세라믹 (Ceramics): 질화규소(Silicon Nitride)와 같은 세라믹 소재는 극한의 환경을 위해 사용된다. 최대 1200°C에 이르는 초고온 내열성, 높은 경도, 낮은 열팽창 계수, 그리고 낮은 마찰 계수 등의 장점을 가지며, 초고속 스핀들과 같은 특수 분야에 적용된다.25 다결정 다이아몬드 (Polycrystalline Diamond, PCD): 최첨단 소재 기술을 대표하는 PCD는 가장 혹독한 환경에서 비할 데 없는 성능을 제공한다. 워케샤 베어링의 자료에 따르면, PCD 표면은 극도의 경도(마모성 입자에 대한 저항성), 매우 높은 열전도성(신속한 열 방출), 그리고 경계 윤활을 포함한 모든 윤활 영역에서의 탁월한 성능을 특징으로 한다.7 이러한 특성 덕분에 저점도, 부식성 또는 마모성 입자를 포함한 공정 유체를 사용하는 응용 분야에 매우 적합하며, 종종 별도의 윤활 시스템을 필요 없게 만들어 기계 설계를 단순화하는 데 기여한다.7 터빈 베어링 소재의 발전 과정은 단순히 더 강하고 오래가는 부품을 만드는 것을 넘어, 터빈 전체의 열역학적 효율 향상이라는 거대한 목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과 같은 열기관의 효율은 근본적으로 작동 온도가 높을수록 향상된다는 열역학 법칙(카르노 정리)을 따른다.27 전통적인 배빗 베어링은 상대적으로 낮은 녹는점으로 인해 터빈의 전체 작동 온도를 제한하는 일종의 ‘열적 병목 현상’을 만들어냈다.9 즉, 베어링의 내열 한계가 터빈의 효율 향상을 가로막는 제약 조건이 된 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터빈 설계자들은 더 뜨거운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베어링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요는 배빗의 온도 한계를 훨씬 뛰어넘어 연속 운전이 가능한 PEEK와 같은 고온 폴리머의 채택을 직접적으로 촉진했다.21 더 나아가 세라믹이나 PCD와 같은 극한 소재의 개발 역시 동일한 논리적 흐름 위에 있다.7 이들은 단순한 점진적 개선이 아니라, 터보기계 전체가 더 효율적인 열역학적 영역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가능 기술(Enabling Technology)’이다. 따라서 베어링 소재 과학은 터보기계의 부수적인 분야가 아니라, 발전 효율 향상이라는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3.4 첨단 베어링 소재 특성 비교

아래 표는 주요 베어링 소재의 핵심적인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여, 특정 응용 분야에 가장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표는 성능 요구사항과 예산 제약 사이에서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리는 데 유용한 다중 기준 분석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제 4장: 다양한 터빈 환경에 특화된 엔지니어링

4.1 증기 터빈: 고속, 고온, 고압 조건

운전 환경: 증기 터빈은 높은 회전 속도와 고온·고압의 증기 환경에서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27 로터 시스템은 종종 길고 무거워 굽힘(Bending)에 취약하며, 이로 인해 베어링에는 탁월한 정렬 유지 및 감쇠 능력이 요구된다.12 베어링 솔루션: 고속 안정성과 로터의 변형을 수용하는 능력이 뛰어난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이 표준으로 사용된다.12 배빗 라이닝 패드가 일반적이지만, 고온단(High-Temperature Stage)에서는 PEEK와 같은 첨단 소재가 필요할 수 있다. 윤활 시스템은 물이나 증기와 같은 오염 물질의 유입을 철저히 방지하고 충분한 냉각 성능을 제공하도록 견고하게 설계되어야 한다.12

4.2 가스 터빈: 극한의 열 환경에서의 소재 및 윤활 과제

운전 환경: 가스 터빈은 모든 터빈 유형 중 가장 혹독한 열 환경에 노출된다. 연소 온도는 1100°C (2000°F)를 초과하며, 최신 기종의 터빈 입구 온도는 1425°C (2600°F)에 달하기도 한다.28 이러한 극한의 열 부하는 베어링을 포함한 모든 부품에 심각한 과제를 제기한다. 베어링 솔루션: 이 분야는 소재 과학의 한계를 시험하는 영역이다. 냉각 및 단열 설계를 통해 배빗 메탈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높은 온도를 견디고 윤활유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PEEK, 세라믹 등 첨단 소재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24 또한, 효과적인 열 관리와 동력 손실 감소를 위해 직접 윤활 방식이 널리 채택된다.13

4.3 수력 터빈: 저속, 수직축 구성에서의 고하중 엔지니어링

운전 환경: 수력 터빈은 회전 속도는 낮지만 엄청난 축 방향 하중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수직축 방식의 경우, 스러스트 베어링은 발전기 회전자, 터빈 러너, 그리고 축 전체의 무게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막대한 수력 추력까지 모두 지지해야 한다.31 베어링 솔루션: 킹스베리와 같은 전문 제조업체에서 공급하는 대구경 틸팅 패드 스러스트 베어링이 업계 표준으로 사용된다.32 수력 터빈 베어링의 주된 과제는 속도로 인한 발열이 아니라, 패드에 가해지는 엄청난 압력을 관리하는 것이다. 설계는 낮은 속도에서도 안정적인 유막이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35 이를 위해 기동 시 회전이 시작되기 전에 고압의 오일을 주입하여 회전체를 강제로 부상시키는 정압 리프팅(Hydrostatic Jacking) 시스템이 흔히 사용되어 경계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한다.33 터빈 유형별 스러스트 베어링의 핵심적인 고장 유발 요인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가스 및 증기 터빈의 경우, 주된 고장 요인은 열(Thermal) 문제, 즉 과열 및 윤활유 열화이다. 반면, 수력 터빈의 경우, 주된 고장 요인은 기계적(Mechanical) 문제, 즉 극심한 압력으로 인한 유막 파괴와 저속에서의 경계 마모이다. 가스/증기 터빈 관련 자료들은 극한의 온도를 핵심 과제로 강조하며 27, 고장은 종종 부적절한 윤활이나 냉각으로 인한 배빗 메탈의 용융 또는 오일의 탄화(Coking)와 관련이 있다.36 이에 대한 해결책은 직접 윤활 13이나 고온 소재 21와 같은 열 관리 전략에 집중된다. 반면, 수력 터빈 관련 자료들은 막대한 하중과 낮은 속도를 강조한다.32 여기서의 위험은 압력( p)에 비해 속도(N)가 너무 낮아 유막 두께를 결정하는 ηN/p 값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유막이 얇아져 경계 접촉 및 마모가 발생하는 것이다.35 이에 대한 해결책은 압력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 면적 확대나 기동 시 마모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정압 리프팅 시스템 33과 같은 기계적 접근이다. 이러한 분석은 두 가지 뚜렷한 ‘고장 경로’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가스 터빈에 맞춰 설계된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 전략(정밀한 온도 감시에 초점)은 수력 터빈(정압 리프팅 시스템의 압력 및 저주파 진동 감시가 더 중요할 수 있음)에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이는 베어링의 설계, 유지보수, 모니터링 전략이 해당 터빈의 지배적인 고장 물리 현상에 맞춰 철저히 맞춤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4.4 터빈 운전 조건과 베어링 요구사항 비교

다음 표는 각 터빈 유형의 운전 환경, 핵심적인 공학적 과제, 그리고 그에 따른 베어링 솔루션을 요약하여, 터보기계 시스템 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거시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 5장: 산업 현황 및 선도적 기술 솔루션

5.1 핵심 혁신 기업 및 제조업체 프로필

세계 베어링 시장은 SKF(스웨덴), 셰플러 그룹(FAG/INA, 독일), NSK(일본), NTN(일본), 팀켄(미국)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10 그러나 대형 터보기계용 유체 동압 베어링 분야는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특화된 시장으로,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다. 킹스베리 (Kingsbury, Inc., 미국): 틸팅 패드 베어링의 발명가 중 하나로 인정받는 선구적인 기업이다. 특히 수력 터빈 분야에서 업계 표준으로 통하며, 거대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균등화 베어링 설계로 명성이 높다.15 이들의 설계는 정교한 레벨링 플레이트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11 워케샤 베어링 (Waukesha Bearings, 미국): 오일 및 가스, 발전 산업용 고성능 유체막 베어링 분야의 선도적인 설계 및 제조업체다. 고속에서의 동력 손실을 줄이는 ‘직접 윤활’ 방식과 같은 혁신 기술과 첨단 소재 솔루션 개발로 잘 알려져 있다.13 미셸 베어링 (Michell Bearings, 영국): 틸팅 패드 베어링을 독자적으로 발명한 또 다른 역사적인 기업이다. 광범위한 틸팅 패드 저널 및 스러스트 베어링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며, 특정 화학적 또는 열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PEEK, PTFE와 같은 첨단 폴리머 라이닝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등 맞춤형 엔지니어링 역량이 뛰어나다.24

5.2 특화 기술 및 시장 전문성 분석

킹스베리: 수력 발전 산업을 중심으로 한 고신뢰성, 고하중 베어링에 특화되어 있다. 이들의 기술은 막대한 하중 하에서도 베어링의 장기 수명을 보장하기 위한 견고한 기계적 균등화 메커니즘에 중점을 둔다.32 워케샤: 고성능, 고효율 솔루션에 집중하며, 특히 석유화학 및 발전 시장에서 강점을 보인다. ‘직접 윤활’은 고속 회전기계의 효율을 높이는 핵심 기술이며, 첨단 소재 연구를 통해 성능의 한계를 넓혀가고 있다.13 미셸: 배빗, PEEK, PTFE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특정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베어링을 제공하는 데 강점을 보인다.24 이는 고객의 특수한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을 보여준다. SKF: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갖춘 글로벌 리더로서, 향상된 강재와 열처리 기술로 수명을 연장한 ‘Explorer’ 등급 베어링과 42, 내장된 센서를 통해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베어링’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26

5.3 사례 연구: 워케샤의 혹독한 환경용 다이아몬드 틸팅 패드 베어링

기술: US Synthetic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된 다결정 다이아몬드(PCD) 표면 베어링은 소재 기술의 정점을 보여준다.7 적용: 이 기술은 윤활유가 저점도이거나 부식성이 있거나 모래와 같은 마모성 입자를 포함하는 공정 유체 윤활 응용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다. PCD 표면의 극심한 경도와 높은 열전도성은 기존의 배빗 베어링이 급격히 파손될 수 있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7 영향: 이 기술은 씰(Seal)과 별도의 윤활 시스템을 제거하여 기계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게 하며, 까다로운 산업 공정에서의 신뢰성을 한 차원 높이는 중요한 기술적 진보를 의미한다.7

5.4 사례 연구: 미셸 베어링의 PEEK 및 PTFE 솔루션

기술: 미셸 베어링은 폴리머 라이닝 베어링을 상용화하여 소재 선택의 폭을 넓혔다.24 적용: 특히 PEEK 소재는 증기 및 가스 터빈,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고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배빗의 온도 한계를 넘어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 작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기계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24 영향: 이러한 소재의 유연성은 표준 소재로는 대응할 수 없는 특정 틈새 응용 분야에서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제 6장: 터빈 베어링 신뢰성의 미래: 상태 감시 및 지능형 시스템

6.1 전통적인 상태 감시(CM) 기법

온도 감지: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베어링 패드나 배출유에 내장된 열전대(Thermocouple) 또는 측온저항체(RTD)를 통해 온도를 모니터링한다. 온도의 급격한 상승은 윤활 불량, 과부하 또는 임박한 손상의 가장 중요한 지표다.3 진동 분석: 베어링 하우징에 부착된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기계의 진동 특성 변화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정렬 불량, 불균형, 유막 불안정성(Oil Whirl/Whip), 마모로 인한 간극 변화 등의 문제를 식별할 수 있다.44 오일 성분 분석: 윤활유 샘플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마모 금속 입자의 존재 여부와 종류를 파악한다. 이는 베어링이나 다른 윤활 부품의 열화 상태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한다.44

6.2 “스마트 베어링”의 출현: IoT, 내장 센서, AI의 통합

개념: ‘스마트 베어링’은 자체적으로 건강 상태와 운전 조건을 실시간으로 데이터화하는 내장형 센서를 갖춘 부품을 의미한다.26 기술: 이 시스템은 온도, 진동, 간극, 하중 등을 측정하는 소형화된 센서를 베어링 어셈블리 내에 직접 통합한다. 데이터는 현장에서 처리되거나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중앙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된다.47 리브헤어(Liebherr)나 SKF와 같은 기업들이 이러한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개발 및 상용화하고 있다.26 데이터 융합: 핵심적인 장점은 여러 유형의 센서 데이터를 융합(예: 특정 진동 주파수와 온도 상승의 상관관계 분석)하여 단일 데이터 스트림만으로는 불가능했던 훨씬 더 정확한 고장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49

6.3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예지 정비(PdM) 모델

CM에서 PdM으로: 상태 감시(CM)가 현재의 결함을 탐지하는 것이라면, 예지 정비(PdM)는 미래의 고장을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베어링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PdM 알고리즘의 필수적인 입력 자료가 된다.47 방법론: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은 머신러닝(ML) 및 인공지능(AI) 모델에 입력된다. 이 모델들은 베어링의 정상적인 운전 패턴을 학습하고, 전통적인 경보 시스템으로는 감지할 수 없는 미세한 이상 징후를 포착하여 고장을 조기에 예측한다.44 디지털 트윈: 물리적 베어링을 가상 공간에 동일하게 복제한 고충실도 모델인 ‘디지털 트윈’ 개념이 활용될 수 있다.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에 입력하여 응력, 온도, 마모 등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베어링의 잔여 유효 수명(Remaining Useful Life, RUL)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48 스마트 베어링과 예지 정비 기술의 등장은 발전소 운영의 경제적 리스크 모델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유지보수 패러다임을 정해진 일정에 따른 교체나 고장 후 수리와 같은 ‘비용 중심’ 활동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자산 가용성 및 수명주기 비용 최적화를 통해 ‘수익 창출’에 기여하는 활동으로 전환시킨다. 전통적인 유지보수 모델은 예방 정비(정해진 주기에 따라 부품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낭비가 발생할 수 있음) 또는 사후 정비(고장 발생 후 수리하는 방식으로, 막대한 비계획 가동 중단 비용을 초래함)에 의존했다.50 그러나 스마트 베어링은 부품의 실제 상태에 대한 지속적이고 신뢰도 높은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한다.47 예를 들어, 5년마다 베어링을 교체하는 대신, PdM 시스템은 실제 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베어링이 7년까지 안전하게 운전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불필요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베어링에서 3년 만에 초기 결함 징후를 감지하여 계획된 정비 기간에 교체함으로써,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파국적인 고장과 그로 인한 비계획 가동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유지보수를 고정적이거나 예측 불가능한 비용 항목에서, 최적화 가능한 변수 활동으로 전환시킨다. 발전소 운영자는 이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비 주기를 안전하게 연장하고, 비계획 정지를 최소화하며, 터빈의 수익 창출 가동 시간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이는 지능형 베어링 기술이 가능하게 한 자산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6.4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요약: 본 보고서는 스러스트 베어링 기술이 단순한 유체 동압 원리에서 출발하여, 복잡한 자기 정렬 기능과 다중 소재를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그리고 이제는 스스로 상태를 진단하는 지능형 부품으로 진화해 온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향후 연구 방향: 미래 연구는 자가 치유 기능을 가진 베어링 소재 개발, 더 넓은 응용 분야를 위한 자기 베어링과 같은 무윤활 베어링 시스템의 상용화 10, 스마트 베어링의 센서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그리고 더욱 정밀한 잔여 수명 예측을 위한 물리 기반 AI 모델 개발과 같은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터보기계의 신뢰성, 효율성, 그리고 경제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것이다. 참고 자료 스러스트 베어링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지식,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zwzmachinery.com/info/what-does-a-thrust-bearing-do–89770508.html 추력 베어링 분류 및 작동 원리 – 산업 지식,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yujebearing-machining.com/info/thrust-bearing-classification-and-working-prin-49426626.html

  1. 베어링 일반 – INCOSYS Web Si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incosys.co.kr/vibration-maintenance-handbook/part-3-maintenance/part-3-chapter-1-journal-thrust-bearing/part-3-chapter-1-section-1-bearing-generals/ 유막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분류하는 방법? – 지식,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zjwxbearing.com/info/what-are-oil-film-bearings-how-to-classify-88531223.html Chapter 06 베어링 6-1,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2.pdf 터빈 베어링의 특성과 개론,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274057843714.pdf Diamond Tilting Pad Thrust Bearings – Waukesha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aukbearing.com/content/dam/dpc/waukbearing/wb_downloads/product-lit/WB-231S10-ENUS-SE15-Diamond-Tilting-Pad-Thrust-Bearings.pdf Babbitt (alloy) – Wikipedia,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Babbitt_(alloy) Babbitt: The Other Bearing Lubrication,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29898/babbitt-bearing-lubrication 베어링 – 나무위키,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amu.wiki/w/%EB%B2%A0%EC%96%B4%EB%A7%81
  2. 추력 베어링의 종류 및 특성 – INCOSYS Web Si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incosys.co.kr/vibration-maintenance-handbook/part-3-maintenance/part-3-chapter-1-journal-thrust-bearing/part-3-chapter-1-4-type-of-thrust-bearing/ 증기 터빈 베어링의 유형은 무엇입니까?- Zhejiang BHS Journal …,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r.bhsbearings.com/news/what-are-the-types-of-steam-turbine-bearings.html Tilt Pad Thrust Bearings – Waukesha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aukbearing.com/en/products/fluid-film-bearings/thrust-bearings/tilt-pad-thrust.html 터보링크,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turbolink.co.kr/product/%EB%B0%95%EB%A7%89-%EC%9B%94-%EC%A0%80%EB%84%90-%EB%B2%A0%EC%96%B4%EB%A7%81/ 상기에서와 같은 지속적인 노력은 물론 수명관리 – Korea Scienc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374057861130.pdf TECHNICAL DATASHEET BABBITT METAL – Jaytee Alloys & Components Limite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jayteealloys.com/file/Babbitt-metal.pdf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Grades of ASTM-B23 Babbitt – Belmont Metal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belmontmetals.com/differences-between-different-grades-of-astm-b23-babbitt/ ASTM B-23 Grade 13 Babbitt – Belmont Metal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belmontmetals.com/product/astm-b-23-grade-13-babbitt/ PEEK (Polyetheretherketone) – Piedmont Plastic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piedmontplastics.com/products/peek Mechetec Peek – Polymer Industri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olymerindustries.com/mechetec-peek/ PEEK plastic – TECAPEEK – Ensinge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nsingerplastics.com/en-us/shapes/high-performance-plastics/peek PEEK bearing grade – TECAPEEK PVX black – Ensinge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nsingerplastics.com/en-us/shapes/products/peek-tecapeek-pvx-black PEEK Polymers from Victrex | PEEK Plastic Manufacture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victrex.com/en/products/polymers/peek-polymers Tilting Pad Bearings | Michell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ichellbearings.com/products/tilting-pad-bearings/ Ceramic ball bearing full high temperature bearing High Temperature Bearing Ultra High Temperature Bearings High Temperature Ceramic Bearings 초고온 베어링 고온 세락믹 베어링 완전 고온 베어링강 고온 베어링 내열성 볼 어링 (CFBEA, DME) : 대아기전(주),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sq.co.kr/4453/?idx=2835 Accio SKF Thrust Bearings: Find the Best Suppliers Instantly,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accio.com/plp/skf_thrust_bearings alliedpg.com,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lliedpg.com/latest-articles/5-differences-between-steam-and-gas-turbines/#:~:text=Steam%20turbines%20have%20a%20higher,lower%20operating%20temperatures%20and%20pressures. How Gas Turbine Power Plants Work – Department of Energy,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nergy.gov/fecm/how-gas-turbine-power-plants-work Section 4. Technology Characterization – Steam Turbin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epa.gov/sites/default/files/2015-07/documents/catalog_of_chp_technologies_section_4._technology_characterization_-_steam_turbines.pdf Gas vs. Steam Turbine – Petrotech | Control Systems Solution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etrotechinc.com/gas-vs-steam-turbine/ 스러스트 베어링의 구조와 특징 및 사용분야 알아보기,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godqhrckwdkqmffhrj.tistory.com/5 Hydro Turbine Bearings for Vertical Thrust Apps in Power-Gen …,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ngsbury.com/hydro-turbine-bearings thrust and guide bearings – GM Hydro – Le Turbine Idraulich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mhydro.it/en/bearings/ Thrust and guide bearings for the main shafts of hydro units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John_Gummer2/publication/291463201_Thrust_and_guide_bearings_for_the_main_shafts_of_hydro_units/links/59360104aca272fc556b5bd9/Thrust-and-guide-bearings-for-the-main-shafts-of-hydro-units.pdf Chapter 06 베어링 6-1,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3.pdf 베어링 고장 분석 및 진단 팁의 5가지 주요 방법을 알고 계십니까?,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jidemachinery.com/news/do-you-know-the-five-major-methods-of-bearing-75505101.html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 베어링 소개,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zjwxbearing.com/news/introduction-to-world-famous-brand-bearings-36365579.html 맨 위 10 세계의 베어링 회사 – Greensky Powe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greensky-power.com/ko/top-10-bearing-companies-in-world/ About Us – Waukesha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aukbearing.com/en/about/about-us.html Journal Pad Units – Michell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ichellbearings.com/product/jpu/ 1 – Hydrodynamic Bearings – Robust Design Ensures Success Paliers Hydrodynamiqu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ichellbearings.com/wp-content/uploads/2021/10/2-Hydrodynamic-Bearings-Robust-Design-Ensures-Success-technical-paper-2.pdf SKF Explorer spherical roller thrust bearings boost design option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dn.skfmediahub.skf.com/api/public/0901d1968033bb21/pdf_preview_medium/0901d1968033bb21_pdf_preview_medium.pdf Future Issues and Approaches to Health Monitoring and Failure Prevention for Oil-Free Gas Turbin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trs.nasa.gov/api/citations/20040062033/downloads/20040062033.pdf Fault prevention and diagnosis through SCADA temperature data analysis of an onshore wind farm | Request PDF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6487708_Fault_prevention_and_diagnosis_through_SCADA_temperature_data_analysis_of_an_onshore_wind_farm Past Journal Issues – Abstracts – COMADEM International,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comadem.com/journal/past-issues/ Investigation about journal bearing wear effect on rotating system dynamic response in time domain | Request PDF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26961615_Investigation_about_journal_bearing_wear_effect_on_rotating_system_dynamic_response_in_time_domain Smart Bearing Condition Monitoring – Liebher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liebherr.com/en-us/components/innovations/digitisation/smart-bearing-condition-monitoring-4308419 Advanced Hydrodynamic Bearing Technology – Number Analytic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umberanalytics.com/blog/advanced-hydrodynamic-bearing-technology Integration of AI in Self-Powered IoT Sensor Systems – MDPI,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6-3417/15/13/7008 베어링 고장 분석 및 방지 조치,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ko.dec-motor.com/news/bearing-failure-analysis-and-avoidance-measur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