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터빈 저널 베어링 기술에 대한 종합 기술 보고서
Executive Summary
본 보고서는 현대 터빈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인 저널 베어링 기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한다. 터빈 저널 베어링은 단순한 회전체 지지 기능을 넘어, 마찰 저감, 진동 감쇠, 정밀한 축 정렬 유지 등 터빈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결정짓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보고서는 먼저 유체 동압 윤활의 기본 원리인 쐐기 효과(Wedge Effect)와 스퀴즈 막 효과(Squeeze Film Effect)를 물리적으로 설명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레이놀즈 방정식의 중요성을 다룬다. 이어서 베어링 기술의 발전 과정을 추적하며, 단순한 원통형 고정 베어링에서부터 오일 훨(oil whirl)과 같은 동적 불안정성을 억제하기 위해 개발된 레몬 보어, 압력 댐과 같은 프로파일 보어 베어링, 그리고 오늘날 고속 터빈의 표준으로 자리 잡은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TPJB)에 이르기까지 각 설계의 구조적 특징, 성능, 그리고 안정성 측면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베어링 표면에 사용되는 재료 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통적인 배빗 메탈(Babbitt Metal)의 야금학적 특성과 제조 공정부터 가혹한 운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PEEK와 같은 고성능 폴리머 복합재료 및 DLC(Diamond-Like Carbon) 코팅과 같은 첨단 소재 기술의 동향을 심도 있게 탐구한다. 보고서는 베어링 설계가 전체 터빈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명확히 한다. L/D 비율, 간극과 같은 핵심 설계 변수와 베어링의 성능을 정량화하는 Sommerfeld 수, 그리고 시스템 안정성을 예측하는 강성 및 감쇠 계수와 같은 회전체 동역학적 파라미터의 의미를 분석한다. 더 나아가, 전산유체역학(CFD)과 같은 고급 시뮬레이션 기술이 어떻게 베어링 성능 최적화와 안정성 예측에 기여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가스 터빈, 증기 터빈, 수력 터빈 등 각기 다른 운전 환경에 따라 베어링 설계 철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하고, 베어링의 생명선인 윤활 시스템의 복잡성과 신뢰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미래 기술 동향으로는 오일프리(Oil-free) 터보 기계를 위한 에어 포일 베어링 및 자기 베어링 기술과, 내장형 센서를 통해 예지 보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베어링’ 기술의 잠재력을 조망한다. 본 보고서는 터빈 베어링 기술의 과거와 현재를 종합하고 미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엔지니어와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 1장: 유체 동압 저널 베어링의 기초 원리
1.1. 터보 기계에서의 핵심 역할 및 기능
터빈 저널 베어링은 단순한 기계적 지지대를 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거대한 로터 시스템의 성능, 효율, 그리고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 요소이다. 그 기능은 다각적이며, 각 기능은 터빈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지지 및 정렬 (Support and Alignment): 베어링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수 톤에 달하는 터빈 로터의 무게를 지지하고, 회전축이 고정된 케이싱 내에서 정밀하게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1 미세한 축 정렬 오류라도 발생하면 과도한 진동, 부품 마모, 심각한 경우 기계 전체의 파괴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은 로터에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여 부드럽고 중심이 잡힌 회전을 보장해야 한다.1 마찰 저감 (Friction Reduction): 터빈과 같이 분당 수천에서 수만 회 회전하는 고속 회전 기계에서 마찰은 에너지 손실, 과도한 열 발생, 부품의 조기 마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1 저널 베어링은 회전축(저널)과 베어링 표면 사이에 얇은 윤활유 막(oil film)을 형성하여 고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유체 간의 전단(shear)으로 대체한다. 유체의 내부 마찰은 고체 마찰에 비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을 극적으로 줄이고 터빈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킨다.1 진동 감쇠 (Vibration Damping): 터빈 로터는 불균형 하중, 유체력, 공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항상 진동한다.1 저널 베어링의 윤활유 막은 단순한 윤활 작용을 넘어, 효과적인 댐퍼(damper)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했을 때, 유막은 이를 흡수하고 소산시켜 진동이 시스템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한다. 유막의 이러한 감쇠 능력은 터빈의 안정적인 운전과 부품의 피로 파괴 방지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다.1
1.2. 유체 동압 윤활의 물리적 원리
저널 베어링의 모든 기능은 ‘유체 동압 윤활(Hydrodynamic Lubrication)’이라는 물리적 현상에 기반한다. 이는 외부 펌프의 도움 없이, 회전축의 운동 자체만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압력 유막을 형성하는 원리이다.5 이 현상은 유체의 점성, 기하학적 형상, 그리고 상대 운동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주로 ‘쐐기 효과’와 ‘스퀴즈 막 효과’로 설명된다. 유체 특성 (점성): 유체 동압 윤활의 근간은 유체의 점성(viscosity)이다. 점성은 유체가 흐르거나 변형될 때 이에 저항하는 내부 마찰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성이다.3 뉴턴의 점성 법칙(τ=μdydu)에 따르면, 유체 내의 전단 응력(τ)은 점성 계수(μ)와 속도 구배(dydu)에 비례한다. 바로 이 점성 저항이 압력을 발생시키는 원동력이 된다.3 “쐐기 효과” (Wedge Effect): 정상적인 운전 상태에서 하중을 지지하는 가장 핵심적인 원리이다. 터빈 로터가 회전하면, 저널은 하중 방향으로 인해 베어링 중심에서 약간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편심으로 인해 저널과 베어링 사이의 간극은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는 쐐기(wedge) 형태를 띤다.3 회전하는 저널은 점성을 가진 윤활유를 이 쐐기 형태의 좁은 간극으로 계속해서 끌고 들어간다. 유입되는 유량에 비해 출구 쪽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되고, 이 점성 저항으로 인해 간극 내에 높은 유체 동압이 형성된다. 이 압력이 외부 하중에 저항하여 저널을 떠받치게 되는 것이다.3 “스퀴즈 막 효과” (Squeeze Film Effect): 이는 주로 동적인 상황, 즉 진동이나 충격 하중이 가해질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 평면이 서로 접근할 때, 그 사이의 유체는 바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유체의 점성 저항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스퀴즈 막 효과라고 한다.3 이 압력은 두 면이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역할을 하며,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강력한 감쇠(damping)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터빈 베어링의 뛰어난 진동 감쇠 능력은 바로 이 스퀴즈 막 효과에 크게 의존한다.3 레이놀즈 방정식 (The Reynolds Equation): 이 모든 유체 동압 현상을 수학적으로 통합하여 기술하는 것이 바로 레이놀즈 방정식이다.3 이 방정식은 유체 운동의 기본 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Navier-Stokes equations)을 얇은 유막 흐름에 적용하고 몇 가지 가정을 통해 유도된 2차 편미분 방정식이다.3 레이놀즈 방정식은 베어링 내의 압력 분포(P)를 저널의 표면 속도, 유막 두께(간극 형상, h), 그리고 윤활유의 점성(μ)의 함수로 나타낸다.7 이 방정식을 풀어 압력 분포를 계산하면, 이를 적분하여 베어링의 하중 지지 능력, 마찰 손실, 유량 등 모든 핵심 성능 지표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놀즈 방정식은 현대 저널 베어링 설계 및 해석의 이론적 근간을 이룬다.3 유체 동압 베어링의 설계는 본질적으로 하중 지지를 위한 ‘쐐기 효과’와 진동 감쇠를 위한 ‘스퀴즈 막 효과’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다. 쐐기 효과를 극대화하여 하중 지지 능력을 높이는 설계는 유막의 강성(stiffness)을 증가시키지만, 때로는 과도한 강성으로 인해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감쇠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감쇠 능력을 최적화한 설계는 특정 운전 조건에서 최대 하중 지지 능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터빈의 회전체 동역학적 특성, 즉 예상되는 정적 하중과 동적 진동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강성과 감쇠의 최적 조합을 제공하는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레이놀즈 방정식의 유도 과정에 포함된 가정들(예: 등온, 층류, 비압축성 유체)은 실제 터빈 베어링의 가혹한 운전 환경과 차이를 보인다. 고속 회전으로 인한 유체 전단은 상당한 열을 발생시켜 유막 내 점성 분포를 변화시키고(비등온 효과), 때로는 난류를 유발하기도 한다.1 이러한 실제 현상과 이론적 가정 사이의 간극은 전통적인 해석 결과와 실제 베어링 거동 간의 차이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다. 이 때문에 오늘날의 최첨단 터빈 베어링 설계에서는 이러한 복합적인 물리 현상을 고려하는 열-유체 동압(Thermo-hydrodynamic, THD) 해석이나 전산유체역학(CFD)과 같은 더욱 정교한 시뮬레이션 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제 2장: 저널 베어링 설계의 종합적 분류
터빈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저널 베어링의 설계 역시 단순한 형태에서 고도로 복잡하고 안정적인 형태로 진화해왔다. 이러한 발전의 역사는 터빈의 운전 속도 증가와 그에 따른 회전체 동역학적 안정성 문제 해결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2.1. 고정 프로파일 베어링: 설계, 성능, 안정성의 절충
고정 프로파일 베어링은 베어링 내경의 기하학적 형상이 고정된 형태를 총칭한다.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단순 원통형 및 다중 홈 베어링: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완벽한 원통형 내경을 가진 슬리브 베어링이다.8 윤활유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홈(groove)을 가공하기도 한다.9 이 베어링은 구조가 간단하고 이론적인 하중 지지 능력이 우수하지만,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대칭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속, 경하중 조건에서 유막 자체의 힘에 의해 발생하는 자려 진동(self-excited vibration)인 ‘오일 훨(oil whirl)’에 매우 취약하다. 이 불안정성 때문에 현대의 고속 터빈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0 안정성 향상을 위한 프로파일 보어 베어링: 오일 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어링 내경의 대칭성을 의도적으로 파괴하여 안정화 힘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베어링들이다. 레몬 보어 (타원형) 베어링: 베어링을 상하로 분할하는 면에 얇은 심(shim)을 삽입한 상태에서 내경을 원통으로 가공한 후, 심을 제거하여 타원형으로 만든다.4 이로 인해 수직 방향의 간극이 수평 방향보다 커지게 되어, 저널에 일종의 예압(preload)을 가하는 효과를 낸다. 이 예압은 저널의 위치를 안정시키고 유막의 강성과 감쇠를 증가시켜 단순 원통형 베어링보다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한다.8 오프셋 하프 베어링: 베어링의 상부 반쪽을 하부 반쪽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offset)시켜 조립한 형태이다.4 이는 수평 방향으로 매우 좁은 간극을 형성하여 강력한 예압을 발생시키고 뛰어난 안정성을 확보하지만, 한쪽 방향 회전에만 사용 가능한 단점이 있다. 압력 댐 베어링: 단순 원통형 베어링의 상부 반쪽에 넓고 얕은 릴리프 홈을 파고, 이 홈이 회전 방향으로 갑자기 끝나는 지점에 ‘댐(dam)’ 또는 ‘계단(step)’을 만든 구조이다.4 회전하는 윤활유가 이 댐에 부딪히면서 국부적으로 높은 압력 지대가 형성되고, 이 압력이 저널을 아래쪽으로 강하게 누르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 인위적인 하중은 저널이 베어링 하부에서 더 큰 편심률을 갖도록 강제하여 유막의 강성을 높이고 오일 훨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기존에 불안정 문제를 겪는 기계의 개선책으로 널리 사용된다.4
2.2.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 (TPJBs): 고속 안정성의 표준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Tilting Pad Journal Bearing, TPJB)은 현대 고속 터보 기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으로, 동적 안정성 측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구조 및 작동 원리: TPJB는 원통형 쉘 내부에 여러 개(보통 4개 또는 5개)의 독립된 패드(pad)가 배열되어 있고, 각 패드는 피봇(pivot)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경사(tilt)질 수 있는 구조이다.8 저널이 회전하면 각 패드는 저널과의 상대 운동에 의해 최적의 경사각을 스스로 형성하여 이상적인 유체 동압 쐐기를 만든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각 패드가 독립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일 훨을 유발하는 근본 원인인 교차 결합 강성(cross-coupled stiffness)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패드는 접선 방향의 힘을 지지하지 못하고 피봇팅해버리기 때문에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힘 자체가 생성될 수 없다. 이러한 원리 덕분에 TPJB는 본질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유체 동압 베어링으로 평가받으며, 증기 터빈이나 가스 터빈과 같이 불안정 요인이 많은 고속 회전 시스템에 표준으로 채택된다.11 고유의 문제점 및 설계적 해결책: 뛰어난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TPJB는 고유의 복잡한 동역학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패드 떨림(Pad Fluttering) 및 스프래깅(Spragging): 경하중, 고속 운전 조건에서는 하중을 받지 않는 상부 패드들이 유막의 힘에 의해 불안정하게 떨리거나 진동하는 ‘패드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14 이 떨림이 심해지면 패드의 앞쪽 모서리(leading edge)가 회전하는 축에 걸려 파고드는 ‘스프래깅’이라는 치명적인 파손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3 해결 방안: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 기법이 적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예압(preload)이다. 예압은 패드의 곡률 반경을 베어링의 조립 반경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 외부 하중이 없어도 패드가 항상 저널 방향으로 살짝 눌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무부하 패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13 이 외에도 피봇의 위치 및 형태 최적화, 윤활유의 점성 및 공급량 조절 등을 통해 패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13 베어링 설계의 발전 과정은 터빈의 운전 속도 증가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였다. 초기의 저속 기계는 단순 원통형 베어링으로도 충분했지만, 속도가 증가하면서 엔지니어들은 오일 훨이라는 자려 진동 문제에 직면했다.10 이에 대한 첫 번째 해결책은 레몬 보어나 압력 댐 베어링과 같이 베어링의 기하학적 대칭성을 파괴하여 안정화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었다.4 그러나 이러한 설계들은 안정성을 얻는 대신 하중 지지 능력의 감소나 단방향 회전과 같은 제약을 감수해야 했다. 가장 빠르고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궁극적인 해결책은 불안정성의 근본 메커니즘 자체를 제거하는 TPJB의 개발이었다.13 이는 성능 요구사항의 증대가 어떻게 기술의 진화를 이끄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베어링의 선택은 단순히 기계 부품을 고르는 문제가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설계 과정이다. 예를 들어, TPJB는 교차 결합 강성이 낮아 안정성은 뛰어나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압력 댐 베어링보다 감쇠 능력이 낮을 수 있다. 즉, TPJB가 자려 진동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로터가 고유 진동수(임계 속도)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10 그러므로 단순히 ‘가장 안정한’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로터-베어링 시스템에 대한 동역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특정 운전 조건에서 요구되는 강성과 감쇠를 최적으로 제공하는 베어링을 설계하고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표 2.1: 고정 프로파일 베어링과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의 비교 분석
제 3장: 베어링 표면의 재료 과학 및 제조 기술
터빈 저널 베어링의 성능은 기하학적 설계뿐만 아니라, 회전축과 직접 접촉하는 표면 재료의 특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베어링 재료는 낮은 마찰 계수, 높은 내마모성, 그리고 가혹한 운전 조건을 견딜 수 있는 기계적, 열적 특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3.1. 배빗 (화이트 메탈) 합금: 전통적인 핵심 소재
배빗 메탈은 1839년 아이잭 배빗(Isaac Babbitt)에 의해 발명된 이래, 수많은 개량을 거치며 오늘날까지도 터빈 베어링의 가장 보편적인 표면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19 배빗 메탈은 단일 물질이 아니라, 주석(Sn) 또는 납(Pb)을 기반으로 하는 부드러운 합금 계열을 총칭한다. 야금학적 조성 및 특성: 주석 기반 배빗 (Tin-Based Babbitt):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안티몬(Sb)과 구리(Cu)를 첨가한 합금이다.19 납 기반 합금에 비해 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하며, 열전도율이 높아 고속, 고하중 베어링에 선호된다.20 특히 발전용 터빈 베어링에는ASTM B23 Grade 2 규격(약 88-90% Sn, 7-8% Sb, 3-4% Cu)이 표준으로 널리 사용된다.21 납 기반 배빗 (Lead-Based Babbitt): 납을 주성분으로 하고 안티몬과 주석을 첨가한 합금이다.19 가격이 저렴하지만, 주석 기반에 비해 강도, 내식성, 피로 강도가 낮고 운전 온도 한계(일반적으로 120°C 이하)가 낮아 충격 하중이 적은 저속, 저부하 용도에 주로 사용된다.20 핵심 마찰 공학적 특성: 배빗 메탈의 가장 큰 특징은 부드러운 기지(matrix)에 단단한 금속간 화합물 입자(예: SnSb, Cu3Sn)가 분산된 독특한 미세구조에 있다.20 이 구조 덕분에 다음과 같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매립성 (Embeddability): 윤활유에 섞여 들어온 미세한 이물질 입자들을 부드러운 기지가 흡수하여 품어버림으로써, 고가의 터빈 축에 흠집(scoring)이 나는 것을 방지한다.20 순응성 (Conformability): 축의 미세한 정렬 불량이나 변형이 있을 때, 베어링 표면이 약간 변형되면서 이에 순응하여 국부적인 고압 발생을 막아준다.20 한계점: 배빗 메탈의 본질적인 부드러움은 동시에 낮은 기계적 강도, 특히 고온에서의 낮은 피로 강도라는 약점으로 작용한다.20 제조 및 접합 기술: 배빗 메탈 자체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강철이나 청동과 같은 강한 모재(Back Metal) 위에 얇은 층으로 라이닝(lining)하여 사용한다.21 원심 주조법: 베어링 쉘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융된 배빗 메탈을 부어 넣는 방식이다. 원심력에 의해 배빗이 쉘 내벽에 균일하고 치밀하게 분포되며, 강력한 접합력을 얻을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22 접합 신뢰성: 배빗 층과 모재 사이의 야금학적 접합은 베어링의 수명과 신뢰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접합 불량은 운전 중 하중을 받아 배빗 층이 갈라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치명적인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주조 전 모재 표면의 철저한 세척, 산세(acid etching), 주석 도금(tinning) 공정이 매우 중요하며, 제작 후에는 초음파 탐상(UT)이나 염색 침투 탐상(PT)과 같은 비파괴 검사를 통해 접합부의 완벽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22
3.2. 극한 환경을 위한 첨단 소재
터빈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운전 온도와 압력이 기존 배빗 메탈의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에 따라 새로운 고성능 소재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머 및 복합재 베어링 (PEEK, PTFE): PEEK (Poly-ether-ether-ketone): 고온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화학성, 자기 윤활성을 유지하는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24 특히 가스 터빈 정지 후 발생하는 ‘열 침투(heat soak)’ 현상으로 인한 고온 환경에서 기존 배빗 베어링을 대체할 수 있다.15 PTFE나 흑연 같은 고체 윤활제를 첨가하거나 탄소 섬유로 강화하면 마찰 계수를 50% 이상, 마모율을 90% 이상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일부 실험에서는 배빗 메탈보다 50% 더 높은 압력을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24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매우 낮은 마찰 계수로 잘 알려진 소재이다. PTFE를 라이닝한 패드는 화이트 메탈보다 높은 하중(최대 7 MPa)을 견딜 수 있으며, 축 정렬이 불량한 조건에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보인다.26 고강도 금속 및 세라믹 솔루션: 알루미늄-주석 (AlSn): 알루미늄-주석 합금으로 라이닝된 패드는 배빗보다 우수한 내열성과 피로 저항성 덕분에 더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한다.15 구리-크롬 (CuCr) 모재: 고속, 고하중 가스 터빈의 스러스트 베어링에 주로 사용된다. 강철 모재 대신 열전도율이 월등히 높은 구리-크롬 합금을 사용하면, 배빗 표면에서 발생한 열을 훨씬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이는 배빗 층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베어링의 하중 지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15 첨단 코팅 (DLC): 다이아몬드상 카본(Diamond-Like Carbon) 코팅은 베어링 강철 표면에 수 마이크론 두께로 증착되는 초박막 코팅 기술이다. 다이아몬드에 버금가는 매우 높은 경도(1200 HV 이상)와 흑연처럼 낮은 마찰 계수를 동시에 구현한다.27 이 코팅은 고체 윤활제처럼 작용하여 윤활이 불충분한 조건에서도 마모와 소착을 방지하며, 오염된 환경에서도 베어링의 수명을 극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27 베어링 재료의 선택에는 근본적인 상충 관계가 존재한다. 배빗 메탈은 ‘부드러운’ 특성(매립성, 순응성)을 통해 고가의 터빈 축을 보호하지만, 그 대가로 자신의 내구성(피로 강도, 내열성)을 희생한다.20 반면, PEEK나 AlSn과 같은 첨단 소재들은 ‘단단한’ 특성을 통해 더 높은 하중과 온도를 견디며 터빈의 성능 한계를 확장하지만, 이물질이나 축 정렬 불량에 대해서는 배빗만큼 너그럽지 못하다. 이는 베어링 소재가 발전할수록 윤활 시스템의 청정도 관리와 정밀한 조립 및 정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짐을 의미한다. 또한, 베어링은 단일 재료가 아닌 복합 재료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 베어링의 전체 성능은 표면 재료인 배빗뿐만 아니라, 이를 지지하는 모재(backing metal)의 특성과 둘 사이의 접합 완성도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 스러스트 베어링에 강철 대신 구리-크롬 모재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더 강한 재료를 쓰는 것이 아니라, 열전도율이 높은 모재를 이용해 표면 재료인 배빗의 온도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스템적 접근 방식이다.15 이는 베어링 설계가 재료의 개별 특성뿐만 아니라 시스템 전체의 열 및 기계적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정교한 엔지니어링 분야임을 보여준다.
표 3.1: 주요 베어링 표면 재료의 특성 비교
제 4장: 회전체 동역학적 해석 및 성능 최적화
저널 베어링의 설계는 단순히 정적인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넘어, 터빈 전체의 진동 특성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회전체 동역학(Rotordynamics)의 핵심 요소이다. 베어링의 성능은 몇 가지 핵심적인 설계 변수와 운전 조건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정교한 해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화된다.
4.1. 핵심 성능 파라미터 및 설계 변수
베어링의 동역학적 거동을 지배하는 주요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L/D 비율 (길이 대 직경 비): 베어링의 길이(L)와 직경(D)의 비율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설계 변수이다. L/D 비율이 크면(긴 베어링) 윤활유의 측면 누유가 줄어들어 하중 지지 능력은 증가하지만, 축의 휨에 의한 양 끝단의 국부적인 접촉(edge loading)에 취약하고 열 발산이 불리하다. 반대로 L/D 비율이 작으면(짧은 베어링) 열 발산에는 유리하지만 하중 지지 능력이 감소한다. 현대의 고속 터빈 설계에서는 L/D 비율을 1 이하로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29 반경 방향 간극 (Radial Clearance, C): 저널과 베어링 사이의 반경 방향 틈새로,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이 간극은 유막의 두께, 강성, 감쇠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극은 저널 반경(r)의 약 0.001배(c≈0.001×r)로 설계된다.29 최소 유막 두께 (h0): 운전 중 저널과 베어링 표면 사이가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의 유막 두께이다. 이는 베어링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최소 유막 두께가 일정 값 이하로 감소하면 표면의 미세 돌기들이 접촉하여 마모나 소착(seizure)이 발생할 수 있다. 설계 시에는 어떤 운전 조건에서도 h0가 안전 한계(예: h0>0.002×r)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29 Sommerfeld 수 (S 또는 ZN/P): 저널 베어링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무차원 수이다. 이는 윤활유의 점성(Z), 저널의 회전 속도(N), 그리고 베어링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하중(P)이라는 세 가지 주요 변수를 하나의 파라미터로 통합한 것이다.30 Sommerfeld 수가 높으면 경하중, 고속 운전 상태를 의미하며 저널은 베어링 중심 근처에서 낮은 편심률로 회전한다. 반대로 Sommerfeld 수가 낮으면 중하중, 저속 상태를 의미하며 저널은 높은 편심률을 갖게 된다. 편심률, 마찰 계수, 유량 등 베어링의 모든 주요 성능 지표는 Sommerfeld 수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어, 베어링 설계의 기본 도구로 활용된다.30
4.2. 베어링 동특성 계수와 시스템 안정성
유막은 단순한 스프링처럼 거동하지 않는다. 유막이 저널에 가하는 반력은 저널의 위치(변위)뿐만 아니라 운동 속도에도 의존한다. 강성 및 감쇠 계수: 정적 평형점 주위에서 저널이 미소하게 진동할 때, 유막의 동적인 반력은 8개의 동특성 계수(dynamic coefficients)로 선형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는 4개의 강성 계수(Kxx,Kxy,Kyx,Kyy)와 4개의 감쇠 계수(Cxx,Cxy,Cyx,Cyy)로 구성된다.18 교차 결합 계수 (Cross-Coupled Coefficients): 8개의 계수 중, 변위와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는 비대각 항들(Kxy,Kyx,Cxy,Cyx)을 교차 결합 계수라고 한다. 이 계수들은 유막이 회전 방향으로 저널을 밀어주는 효과를 나타내며, 유체 동압 불안정성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10 불안정성 해석 (오일 훨 및 오일 휩): 오일 훨 (Oil Whirl): 교차 결합 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려 진동으로, 저널이 운전 속도의 약 40-48%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베어링 간극 내에서 공전하는 현상이다. 특히 경하중, 고속 운전 조건의 원통형 베어링에서 쉽게 발생한다.10 오일 휩 (Oil Whip): 오일 훨이 더욱 심각해진 형태로, 오일 훨의 주파수가 로터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임계 속도)와 일치할 때 발생한다. 공진 현상으로 인해 진동이 급격히 증폭되어 단시간 내에 치명적인 파손을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불안정 현상이다.10 해결책: 이러한 불안정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차 결합 계수를 줄이거나 없애는 베어링 설계를 채택해야 한다. 앞서 설명한 압력 댐, 레몬 보어 베어링이 부분적인 해결책이며, 틸팅 패드 베어링은 교차 결합 강성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여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11
4.3. 베어링 설계를 위한 고급 시뮬레이션
현대의 고성능 터빈 베어링은 단순한 공식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정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되고 검증된다. 회전체 동역학 시뮬레이션: 베어링 해석을 통해 계산된 8개의 동특성 계수는 터빈 로터 전체를 모델링하는 회전체 동역학 시뮬레이션의 입력값으로 사용된다.36 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임계 속도, 불균형 응답, 안정성(감쇠비 또는 로그 감쇠율)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베어링의 위치나 설계를 변경하여 시스템 전체의 동적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38 전산유체역학 (CFD): 레이놀즈 방정식의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복잡한 유동 현상(예: 난류, 공동 현상)이나 열 효과가 중요한 경우, 전산유체역학(CFD) 해석이 사용된다.39 CFD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직접 수치적으로 풀어 베어링 내부의 압력, 온도, 속도 분포를 매우 상세하게 예측한다. 윤활유 공급 홈 주변의 복잡한 유동이나 패드의 국부적인 온도 상승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베어링 설계를 극한까지 최적화하는 데 활용된다.38 베어링의 8개 동특성 계수는 베어링 자체의 성능을 기술하는 파라미터인 동시에, 전체 터빈 시스템의 동역학적 거동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베어링 설계는 고립된 작업이 아니며, 그 동특성이 전체 로터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회전체 동역학 엔지니어는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베어링 설계자에게 특정 동특성 계수(예: 직접 강성 증가, 교차 결합 강성 감소)를 갖는 베어링을 요구할 수 있다. 이처럼 베어링은 전체 시스템의 동적 특성을 ‘튜닝’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두 분야의 엔지니어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최적의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밀한 설계를 향한 요구는 해석 기술의 발전을 촉진했다. 과거에는 Ocvirk의 단 베어링 근사와 같은 해석적 해법에 의존했지만 31, 컴퓨터의 발달로 레이놀즈 방정식을 직접 수치적으로 푸는 것이 가능해졌고, 이는 훨씬 높은 정확도를 제공했다.41 오늘날 터빈의 운전 조건이 더욱 극한으로 치달으면서 열 효과나 난류와 같이 레이놀즈 방정식이 무시했던 물리 현상들이 중요해졌고, 이에 따라 CFD와 같은 최고 수준의 시뮬레이션 도구가 도입되었다.23 CFD 해석은 막대한 계산 자원을 필요로 하지만, 터빈의 고장으로 인한 천문학적인 손실이나 단 1%의 효율 향상이 가져오는 경제적 가치에 비하면 그 비용은 미미하다. 이러한 경제적 동인이 베어링 설계 분야에서 끊임없이 더 정교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추구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제 5장: 적용 분야별 설계 및 시스템 통합
저널 베어링 기술은 모든 터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지만, 그 구체적인 설계 철학과 시스템 구성은 터빈의 종류(가스, 증기, 수력)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진다. 각 터빈의 고유한 운전 환경과 요구사항이 베어링의 형태, 재료, 윤활 방식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5.1. 터빈 종류별 적용 환경 비교 분석
가스 및 증기 터빈: 운전 환경: 이들 터빈은 수천에서 수만 RPM에 이르는 초고속 회전과 고온 환경이 특징이다. 특히 가스 터빈은 연소기와의 근접성 및 정지 후의 ‘열 침투(heat soak)’ 현상으로 인해 베어링이 극심한 고온에 노출된다.15 설계 대응: 고속 운전으로 인한 동적 불안정성 문제가 가장 중요하므로,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TPJB)의 사용이 거의 필수적이다.13 높은 온도와 출력 밀도 요구는 베어링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고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지향성 윤활(Directed Lubrication) 기술(예: Kingsbury의 LEG®, Waukesha의 방식)의 채택을 이끌었다.15 재료 측면에서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고성능 폴리머(PEEK)나, 열전도율과 강도가 뛰어난구리-크롬(CuCr) 모재와 같은 첨단 소재가 적용된다.15 수력 터빈: 운전 환경: 수십에서 수백 RPM에 불과한 저속 회전이 특징이지만, 로터의 무게가 수백 톤에 달하고 물의 힘으로 인한 막대한 축 방향(Thrust) 및 반경 방향(Radial) 하중이 가해진다.43 대부분의 대형 수력 터빈은 축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설계 대응: 고속 안정성보다는 엄청난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이 최우선 과제이다. 따라서 베어링의 직경이 수 미터에 달할 정도로 물리적으로 거대하다.45 시스템은 반경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가이드 베어링(Guide Bearings)과, 로터의 무게 및 수력 추력을 모두 감당하는 거대한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명확히 구분된다.43 특히 시동 및 정지 시에는 회전 속도가 부족하여 유체 동압막을 형성할 수 없으므로, 외부 고압 펌프를 이용해 강제로 로터를 들어 올리는정압 리프팅(Hydrostatic Lifting)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45
5.2. 터빈 윤활 시스템
저널 베어링은 그 자체로 완결된 부품이 아니라, ‘윤활 시스템’이라는 거대하고 복잡한 생명 유지 장치의 일부이다. 베어링의 성능과 수명은 이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청결하고 적절한 온도의 윤활유를 공급하는지에 달려있다. 시스템의 목적: 모든 운전 조건(시동, 정상 운전, 정지, 비상 상황) 하에서 각 베어링과 제어 장치에 깨끗한 윤활유를 정확한 온도와 압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47 주요 구성 요소 및 흐름도: 오일 저장조 (Oil Reservoir/Tank): 대용량의 윤활유를 저장하며, 오일 예열을 위한 히터, 유위계, 정화 장치 연결부 등을 갖추고 있다.48 펌프 (Pumps): 신뢰성 확보를 위해 다중화된 펌프 시스템을 사용한다. 주 오일 펌프 (Main Oil Pump, MOP): 터빈 주축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정상 운전 중에 윤활유를 공급한다.49 보조 오일 펌프 (Auxiliary Oil Pump, AOP): 별도의 AC 모터로 구동되며, 터빈의 시동 및 정지 시, 그리고 MOP 고장 시 백업용으로 사용된다.49 비상 오일 펌프 (Emergency Oil Pump, EOP): 발전소의 모든 AC 전원이 상실되는 비상 상황(blackout)에 대비하여, 배터리로 구동되는 DC 모터 펌프이다. 터빈이 관성으로 회전하는 동안 베어링의 소손을 막는 최소한의 윤활유를 공급한다.48 냉각기 및 필터 (Coolers and Filters): 베어링을 지나며 뜨거워진 오일은 열교환기(냉각기)를 통해 온도가 조절되고, 이중 필터를 거쳐 미세한 불순물이 제거된 후 다시 베어링으로 공급된다.48 운전 단계별 시스템 작동 로직: 시동: 터빈이 회전하기 전에, AOP가 먼저 기동하여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고 압력을 형성한다. 수력 터빈과 같은 초대형 기기에서는 고압의 재킹 오일 펌프(jacking oil pump)가 추가로 작동하여 로터를 정압으로 부상시킨다.51 정상 운전: 터빈 회전수가 일정 수준 이상에 도달하면, 주축 구동 MOP가 충분한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압력 스위치에 의해 AOP는 자동으로 정지하거나 대기 상태로 전환된다.50 정지: 터빈이 감속하면서 MOP의 토출 압력이 떨어지면, 압력 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AOP를 자동으로 기동시킨다. AOP는 터빈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윤활유를 계속 공급한다.48 비상 상황 (정전): 정전으로 MOP(회전 정지)와 AOP(AC 전원 상실)가 모두 작동 불능이 되면, DC 전원으로 작동하는 EOP가 즉시 자동으로 기동한다. EOP는 터빈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베어링 파손을 막는 최소한의 ‘생명선’ 역할을 수행한다.48 결론적으로, 터빈의 종류는 베어링 설계 철학을 지배하는 가장 강력한 변수이다. 가스 터빈의 설계 목표(고속, 고온, 안정성)와 수력 터빈의 설계 목표(고하중, 저속, 강성)는 거의 상호 배타적이어서, 거시적인 베어링 형태부터 미시적인 재료 선택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으로 다른 공학적 해법을 요구한다.15 ‘터빈 베어링’이라는 용어는 단일 범주로 묶일 수 없으며, 각 적용 분야는 고유한 기술적 과제와 최적화된 솔루션을 가진다. 또한, 베어링의 신뢰성은 윤활 시스템의 설계, 특히 그 다중화(redundancy)와 제어 로직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체 필름 베어링은 이론적으로 무한 수명을 가지지만, 이는 깨끗하고 냉각된 오일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는 전제 하에서만 유효하다.4 터빈 운전 중 가장 위험한 순간은 유체 동압막이 붕괴될 수 있는 시동, 정지, 그리고 비상 정지 상황이다.48 주 펌프, 보조 펌프, 비상 펌프로 이어지는 다층적이고 자동화된 윤활 시스템은 바로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안전 철학의 결정체이다.50 따라서 베어링 고장 원인을 분석할 때는 베어링 자체의 결함뿐만 아니라, 펌프, 냉각기, 필터 등 윤활 시스템 전반의 문제를 반드시 함께 조사해야 한다.
표 5.1: 터빈 종류별 베어링 설계 고려사항
제 6장: 터빈 베어링 기술의 미래: 동향과 혁신
터빈 베어링 기술은 더 높은 효율, 더 긴 수명, 그리고 더 낮은 유지보수 비용을 목표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미래 기술의 방향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하나는 기존의 오일 윤활 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하는 혁신적인 접근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유체 필름 베어링에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그 성능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진화적인 접근이다.
6.1. 오일프리(Oil-Free) 터보 기계를 향한 움직임
복잡하고 잠재적인 고장 요소가 많은 오일 윤활 시스템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베어링 기술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이다. 에어 포일 베어링 (Air Foil Bearings): 이 베어링은 오일 대신 주변 공기를 윤활제로 사용하는 자력 부상형 유체 동압 베어링이다.53 얇고 유연한 금속 포일(foil) 구조가 축의 정렬 불량이나 열팽창을 수용하면서 안정적인 공기막을 형성한다.55 오일 시스템이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고온에서도 작동하며, 시스템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기술 수준에서는 오일 윤활 베어링에 비해 하중 지지 능력과 감쇠 성능이 낮아, 주로 경하중, 고속의 소형 터보 기계에 적용되고 있다.53 능동 자기 베어링 (Active Magnetic Bearings, AMBs): 강력한 전자석을 이용해 로터를 자기장 안에 공중 부상시키는 기술로, 물리적인 접촉과 윤활이 전혀 필요 없다.15 마찰 손실이 거의 없고, 초고속 회전이 가능하며, 제어 시스템을 통해 베어링의 강성과 감쇠를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능동적으로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혁신적인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시스템이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 정교한 제어 장치와 정전 시 로터를 보호하기 위한 백업 베어링 및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필수적이다.56
6.2. 스마트 베어링과 예지 보전
베어링에 센서와 데이터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베어링이 스스로의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게 하는 기술이다. 내장형 센서 (Embedded Sensors): 온도 센서(열전대, RTD), 변위 센서(근접 프로브), 진동 센서(가속도계) 등을 베어링 패드나 쉘 내부에 직접 매립하는 기술이다.58 유막이나 배빗 표면에 최대한 가깝게 센서를 위치시킴으로써, 유막 두께, 패드 온도, 진동 등 베어링의 상태를 가장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58 상태 감시 및 예지 보전 (PdM):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송되어 베어링의 건강 상태를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기존의 시간 기반 정비(TBM)와 달리, 예지 보전(Predictive Maintenance)은 데이터의 추세(예: 점진적인 온도 상승, 특정 주파수 진동의 증가)를 분석하여 마모, 피로 균열 등의 고장 징후를 사전에 예측한다. 이를 통해 치명적인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정비 계획을 수립하여 비계획적인 가동 중단을 막고, 유지보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58
6.3. 윤활 및 설계 분야의 혁신 기술
주요 베어링 제조사들은 기존 유체 필름 베어링의 성능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독자적인 혁신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Kingsbury LEG® 및 BPG®: 이 기술들은 ‘지향성 윤활(Directed Lubrication)’의 대표적인 예이다. 기존의 침수식(flooded) 윤활 방식이 베어링 전체를 오일로 채워 불필요한 마찰 손실(churning loss)과 뜨거워진 오일이 다음 패드로 유입되는 문제(hot oil carryover)를 유발하는 것과 달리, 이 기술들은 차가운 오일을 필요한 곳에만 정밀하게 분사한다. LEG (Leading Edge Groove): 패드의 전단(leading edge)에 가공된 홈을 통해 직접 오일을 공급한다.23 BPG (Between Pad Grooves): 패드와 패드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 공급 바를 통해 오일을 분사한다.23 이러한 방식들은 침수식 베어링 대비 작동 온도를 5-20°C 낮추고, 필요한 오일 유량을 최대 50%, 동력 손실을 최대 45%까지 줄이며, 하중 지지 능력은 15-20%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성능 개선을 이뤄냈다.23 Waukesha Bearings Maxalign® 및 Flexure Pivot®: Maxalign®: 특허받은 볼-소켓(ball-and-socket) 구조의 피봇을 사용하여, 대형 터빈 축에서 발생하는 정렬 오차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도 높은 강성을 유지하는 기술이다.15 Flexure Pivot®: 패드와 피봇을 별개의 부품으로 만들지 않고, 하나의 금속 덩어리를 정밀하게 가공하여 패드와 피봇이 일체화된 구조를 만든 혁신적인 설계이다. 기계적인 마찰과 마모가 발생하는 피봇 접촉부를 제거하고, 부품 간의 공차 누적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여 특히 소형 고속 터빈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15 미래 베어링 기술은 두 가지 상이한 경로로 발전하고 있다. 첫 번째는 LEG/BPG와 같은 초고효율 윤활 기술과 스마트 베어링과 같은 지능형 모니터링을 통해 기존의 오일 윤활 베어링을 완벽에 가깝게 만드는 ‘진화적’ 경로이다. 이는 검증된 기술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성능 향상을 추구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리스크의 접근법이다. 두 번째는 자기 베어링이나 에어 포일 베어링처럼 오일을 완전히 배제하는 ‘혁명적’ 경로이다.53 이는 오일 시스템 제거라는 막대한 잠재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새로운 기술과 알려지지 않은 고장 모드라는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앞으로 어떤 기술이 주류가 될지는 특정 터빈의 용도, 요구 성능, 그리고 경제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며, 두 경로의 기술은 당분간 공존하며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스마트 베어링’ 기술의 등장은 베어링 설계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단순히 고장을 견디는 ‘내구성’을 목표로 설계했다면, 이제는 고장을 정확히 예측하는 ‘진단 가능성’을 목표로 설계하게 된 것이다. 이는 플랜트 운영 경제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베어링의 고장은 더 이상 예측 불가능한 비상사태가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 사전에 예측하고 계획할 수 있는 관리 대상이 된다.58 이러한 예지 보전으로의 전환은 값비싼 비계획 정지를 계획된 유지보수로 대체함으로써 발전소의 가용성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며, 스마트 베어링 기술에 대한 투자를 매우 가치 있는 것으로 만든다. 참고 자료 터빈 발전기 로터에서 베어링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블로그,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hd-forge.com/blog/what-is-the-role-of-the-bearing-in-a-turbine-generator-rotor-250748.html 발전소 터빈의 구조2 – 프로 사부작러의 모험,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ro-sabuzak.tistory.com/9 윤활(潤滑, lubrication),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rbe.jnu.ac.kr/bbs/mechauto/357/1777/download.do Journal Bearings | PDF | Technology & Engineering – Scrib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60182006/Journal-Bearings 유체 베어링 – 산업 알림판 – CENG 경남차세대기업인 – Daum 카페,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afe.daum.net/CENG/aEB9/26?svc=cafeapi 유막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분류하는 방법? – 지식,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zjwxbearing.com/info/what-are-oil-film-bearings-how-to-classify-88531223.html Effect of Aspect Ratio on the Performance of Hydrodynamic Journal Bearing Operating Under Wear – Research India Publication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ipublication.com/ijtam17/ijtamv12n3_12.pdf “증기 터빈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r.bhsbearings.com/news/what-is-steam-turbine-bearing.html
- 저널 베어링의 종류 및 특성,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incosys.co.kr/vibration-maintenance-handbook/part-3-maintenance/part-3-chapter-1-journal-thrust-bearing/part-3-chapter-1-section-2-type-of-journal-bearing/ Hydrodynamic Journal Bearings Type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 Dyrob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6/04/Hydrodynamic-Journal-Bearings-Types-Characteristics-and-Applications_linked.pdf JOURNAL BEARING DESIGN TYPES AND THEIR … – COR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ore.ac.uk/download/pdf/147259204.pdf Two-Fluid 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of a Four-pad Journal Bearing in a Two-phase Flui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journal.ksmte.kr/xml/27025/27025.pdf 틸팅패드 저널베어링의 패드 떨림 현상에 대한 … – DSpace at KOASA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asas.kaist.ac.kr/handle/10203/45710 유동 구조 연성해석을 이용한 저널 틸팅 패드 베어링의 변위예측 – – Korea Scienc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717054765349.pdf Gas & Steam Turbine Bearings from Waukesha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aukbearing.com/en/applications/gas-steam-turbines.html 틸팅패드 저널베어링의 패드 fluttering 메커니즘 및 예압 변경을 통한 패드 fluttering 방지에 관한 연 연구 – Korea Scienc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311922784399.pdf Preventing oil whirl for better bearing operation – Machine Design,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achinedesign.com/mechanical-motion-systems/bearings/article/21831950/preventing-oil-whirl-for-better-bearing-operation DyRoBeS©_BePerf Help Content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yrobes.com/help1800/BePerf_1800c.pdf 배빗메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B%B0%B0%EB%B9%97%EB%A9%94%ED%83%88 Babbitt Metal은 무엇입니까? | 세계 철강,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ko.worldironsteel.com/news/what-s-babbitt-metal-33154183.html 베어링 재료 (White metal) – 한국메탈기계(주),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www.hankookmetal.com/04_metal/metal_03.php 터빈 베어링의 특성과 개론 – Korea Scienc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0274057843714.pdf Gas and Steam Turbine Bearings for Thrust and Journal Use …,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ngsbury.com/turbine-bearings Tribological Performance Study of Low-Friction PEEK Composites under Different Lubrication Conditions – MDPI,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6-3417/14/9/3723 VICTREX™ PAEK POLYMERS AND COMPOSITES FOR WIND TURBINE SLIDING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victrex.com/-/media/downloads/whitepapers/victrex-paek-polymers-and-composites-for-wind-turbine-sliding-bearings.pdf Like for like performance comparison of PEEK and PTFE thrust bearings for use in vertical pump and motor application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ichellbearings.com/wp-content/uploads/2021/10/37-Like-for-like-performance-comparison-of-PEEK-and-PTFE-thrust-bearings-for-use-in-vertical-pump-and-motor-applications-technical-paper.pdf Hard coating for heavy bearing duty – Evolution,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evolution.skf.com/hard-coating-for-heavy-bearing-duty/ The Essential Guide to Bearing Coatings – Kapoor Enterpris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apent.com/the-essential-guide-to-bearing-coatings/ [Solved] Journal bearing works satisfactorily with L/D ratio in the 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testbook.com/question-answer/journal-bearing-works-satisfactorily-with-ld-rati–5e7c9ea2f60d5d178e3938af Journal-bearing design as related to maximum loads, speeds, and …,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vlpubs.nist.gov/nistpubs/jres/19/jresv19n4p457_a1b.pdf notes 4 – static load performance of plain journal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rotorlab.tamu.edu/me626/Notes_pdf/Notes04%20Static%20Load%20JBs%2010.pdf Evaluation of Dynamic Coefficients of a Plain Journal Bearing,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oc.comsol.com/6.0/doc/com.comsol.help.models.rotor.journal_bearing_dynamic_coefficients/journal_bearing_dynamic_coefficients.html Understanding Oil Whirl and Oil Whip – CTC,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tconline.com/media/vyxjkhgk/mdi-tech-tip-oil-whirl.pdf Oil Whirl and Whip Instabilities – Within Journal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achinerylubrication.com/Read/754/oil-whirl-whip Vibration Analysis & Condition Monitoring Basics: Oil Whip & Whirl in Journal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Rotordynamic Modeling and Analysis 6 | Dyrob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dyrobes.com/wp-content/uploads/2012/12/book_pract_rdffbd_Chapter-6.pdf Rotordynamics Software for Predictive Analyses of Rotating Machines – COMSOL,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comsol.com/rotordynamics-module Testing, Analysis, and CFD modeling of a Profiled … – Kingsbury, Inc.,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ngsbury.com/pdf/Testing%20Analysis%20and%20CFD%20Modeling%20of%20LEG%20Journal%20Bearing.pdf CFD Analysis of a Journal Bearing with a Microgroove on the Shaft – DiVA portal,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017904/FULLTEXT01.pdf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Fluid Structure Interaction Techniques for Calculating the 3D Transient Flow of Journal Bearings Coupled with Rotor Systems | Request PDF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7917333_Application_of_Computational_Fluid_Dynamics_and_Fluid_Structure_Interaction_Techniques_for_Calculating_the_3D_Transient_Flow_of_Journal_Bearings_Coupled_with_Rotor_Systems Simulated Annealing법을 이용한 저널베어링의 최적설계,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311922783831.pdf Investigation of thurst bearing high temperature in gas turbine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3477061_Investigation_of_thurst_bearing_high_temperature_in_gas_turbine Thrust and guide bearings for the main shafts of … – ResearchGat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John_Gummer2/publication/291463201_Thrust_and_guide_bearings_for_the_main_shafts_of_hydro_units/links/59360104aca272fc556b5bd9/Thrust-and-guide-bearings-for-the-main-shafts-of-hydro-units.pdf Hydro Turbine Bearings for Vertical Thrust Apps in Power-Gen – Kingsbury, Inc.,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ngsbury.com/hydro-turbine-bearings Trouble-Shooting Bearing Problems In Large Hydroturbine Generators – HpAEC,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hpaec.com/Trouble-shooting%20Bearings%20-%20Abramovitz.pdf thrust and guide bearings – GM Hydro – Le Turbine Idraulich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mhydro.it/en/bearings/ 원자력계통기초Ⅱ(표준형),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m.korea.kr/expertWeb/resources/files/data/document_file/2009/%EC%9B%90%EC%9E%90%EB%A1%9C%EA%B3%84%ED%86%B5%EA%B8%B0%EC%B4%882(%ED%91%9C%EC%A4%80%ED%98%95).pdf Steam Turbine Lubricating Oil Systems – AXA XL,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axaxl.com/-/media/axaxl/files/pdfs/prc-guidelines/prc-6/prc61105steamturbinelubricatingoilsystemsv1.pdf?sc_lang=en&hash=D21CFD2373F83F766749F9995F70A276 Steam Turbine Lube Oil and Control Oil System | PDF | Viscosity | Lubricant – Scrib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presentation/269875814/Steam-Turbine-Lube-Oil-and-Control-Oil-System Westinghouse Technology Systems Manual Section 7.4 General Electric Turbine and Auxiliarie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nrc.gov/docs/ml1122/ml11223a249.pdf THE TURBINE LUBRICATING OIL SYSTEM – canteach candu,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canteach.candu.org/Content%20Library/20042410.pdf Steam Turbine Bearings | PDF | Bearing (Mechanical) | Lubricant – Scrib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presentation/158362484/Steam-Turbine-Bearings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oil-free turbomachinery – GtR,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gtr.ukri.org/projects?ref=EP%2FI029184%2F1 Load Capacity Estimation of Foil Air Journal Bearings for Oil-Free Turbomachinery Applications – GovInfo,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govinfo.gov/content/pkg/GOVPUB-D101-PURL-gpo6066/pdf/GOVPUB-D101-PURL-gpo6066.pdf Magnetic vs. air foil bearing – Finding the best bearing solution for water treatment blower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ulzer.com/en/shared/campaign/magnetic-vs-air-foil-bearings Demonstration, Testing and Qualification of a High Temperature, High Speed Magnetic Thrust Bearing,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ntrs.nasa.gov/citations/20050226994 Air Foil Bearing VS Maglev Bearing | PDF – Scribd,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scribd.com/document/847053080/Air-Foil-Bearing-VS-Maglev-Bearing How Bearing Sensors Prevent Equipment Failure in Industrial …,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temp-pro.com/2025/07/08/how-bearing-sensors-prevent-equipment-failure-in-industrial-machines/ Unsupervised Feature Learning Applied to Condition Monitoring – DiVA portal,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diva-portal.org/smash/get/diva2:1090081/FULLTEXT01.pdf Journal Bearings Tilt Pad/Fixed profile from Waukesha Bearings,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waukbearing.com/en/products/fluid-film-bearings/journal-bearings.html Condition Monitoring and Predictive Maintenance in Industrial Equipment: An NLP-Assisted Review of Signal Processing, Hybrid Model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s – MDPI,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6-3417/15/10/5465 Vibration-Based Wear Condition Estimation of Journal Bearings Using Convolutional Autoencoders – PMC,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675279/ Tilting Pad Bearing with LEG Design from Kingsbury,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kingsbury.com/Products/leg Bearings that combat pivot wear and vibrations – Turbomachinery Magazine, 8월 19, 2025에 액세스, https://www.turbomachinerymag.com/view/bearings-that-combat-pivot-wear-and-vib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