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동화와 효율성을 사랑하는 여러분! 🚀 오늘은 n8n을 이제 막 시작하시거나, n8n 워크플로우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n8n 워크플로우의 ‘뼈대’이자 ‘핵심’이 되는 노드들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이 노드들만 잘 이해하고 활용해도 n8n의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십분 발휘할 수 있을 거예요!
n8n은 코딩 없이도 다양한 서비스들을 연결하여 복잡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툴입니다. 하지만 수백 가지의 노드들 중에서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죠? 걱정 마세요! 지금부터 핵심 중의 핵심만 쏙쏙 뽑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릴게요. 💡
🌟 왜 ‘핵심 노드’를 알아야 할까요?
n8n 워크플로우는 마치 건물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건물을 튼튼하게 지으려면 기초 공사가 중요하죠? n8n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화려하고 복잡한 워크플로우라도, 그 바탕이 되는 핵심 노드들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금방 무너지거나 비효율적으로 변하기 쉽습니다. 이 노드들은 거의 모든 워크플로우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 n8n 워크플로우의 뼈대가 되는 핵심 노드들!
자, 그럼 본격적으로 n8n 워크플로우를 단단하게 만들어줄 핵심 노드들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각 노드의 역할과 함께 유용한 예시도 많이 준비했으니, 실제 워크플로우를 구상하실 때 참고해 보세요!
1. 워크플로우의 시작점: 트리거 노드 (Trigger Nodes) 🚀
모든 n8n 워크플로우는 ‘트리거(Trigger)’ 노드에서 시작됩니다.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워크플로우가 실행될지 정의하는 노드들이죠.
-
Webhook (웹훅) 🔗
- 역할: 외부 시스템(웹사이트, 다른 자동화 툴, 모바일 앱 등)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n8n 워크플로우를 실행시키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고유한 URL을 제공하며, 이 URL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워크플로우가 시작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쇼핑몰에서 새로운 주문이 들어왔을 때 -> 주문 정보를 웹훅으로 받아 슬랙 알림 보내기 🔔
- 예시 2: 특정 양식(Form)이 제출되었을 때 -> 제출된 데이터를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기록하기 ✍️
- 예시 3: GitHub 리포지토리에 새로운 커밋이 발생했을 때 -> 개발팀에 알림 보내기 🧑💻
- 팁: Webhook 노드 설정 시 ‘Response Mode’를 ‘Respond to Webhook’으로 설정하면 워크플로우의 마지막에 Webhook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낼 수 있습니다.
-
Cron (크론) ⏰
- 역할: 특정 시간 간격으로 워크플로우를 주기적으로 실행시킬 때 사용합니다. ‘매일’, ‘매주 월요일’, ‘매시간 정각’ 등 원하는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매일 아침 9시, 전날 판매량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고서 생성 및 이메일 발송 📊
- 예시 2: 매주 월요일, 지난주 고객 문의 현황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와 분석하기 📈
- 예시 3: 매 시간 정각, 특정 웹사이트의 최신 뉴스 헤드라인 스크래핑 📰
-
Manual Trigger (수동 트리거) ✋
- 역할: 말 그대로 수동으로 워크플로우를 실행시킬 때 사용합니다. 주로 워크플로우를 개발하거나 테스트할 때 유용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개발 중인 워크플로우의 각 단계가 정상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때 🧪
- 예시 2: 일회성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해야 할 때 (예: 한번에 대량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2. 데이터의 마법사: 데이터 처리/조작 노드 (Data Processing/Manipulation Nodes) ⚙️
트리거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왔다면, 이제 이 데이터를 워크플로우의 목적에 맞게 가공해야겠죠?
-
Set (세트) 🛠️
- 역할: 워크플로우 아이템(데이터 덩어리)에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거나, 기존 필드의 값을 수정,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데이터를 정돈하고 필요한 정보만 남길 때 매우 유용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웹훅으로 받은 복잡한 데이터에서 필요한 이름, 이메일, 주문 번호만 추출하여 새로운 필드로 저장하기 🏷️
- 예시 2: 고객 이름 앞에 ‘고객님:’ 이라는 접두사를 붙여 메시지 형식 만들기 “고객님: [이름]님의 주문이 접수되었습니다.” ✉️
- 예시 3: 모든 아이템에 특정 고유 ID를 부여하기 🆔
- 팁: ‘Keep Only Set’ 옵션을 사용하면 설정한 필드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제거하여 데이터 용량을 줄이고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Code (코드) 🧑💻
- 역할: n8n의 기본 노드들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복잡한 로직이나 데이터 변환이 필요할 때 직접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하여 사용합니다. 워크플로우의 유연성을 극대화시켜주는 만능 노드입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여러 필드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복잡한 문자열 생성 (예: 주소 데이터를 통합하여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123-45’ 형식 만들기) 🗺️
- 예시 2: 특정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다르게 처리하거나, 배열 데이터를 필터링/정렬하기 📝
- 예시 3: 외부 API 호출 전에 데이터를 특정 형식으로 복잡하게 전처리해야 할 때 (예: 암호화/복호화) 🔐
- 팁: Code 노드 내에서
$json
객체를 통해 이전 노드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return items;
로 처리된 데이터를 다음 노드로 전달합니다.
3. 워크플로우의 길잡이: 흐름 제어 노드 (Flow Control Nodes) 🚦
데이터의 흐름을 원하는 대로 조절하고, 조건에 따라 분기하거나 반복 처리하는 노드들입니다.
-
IF (조건) 🚦
- 역할: 특정 조건이 참(True)일 때와 거짓(False)일 때 워크플로우의 흐름을 다르게 분기시킵니다. “만약 ~라면 ~하고, 아니라면 ~한다”는 논리를 구현할 때 사용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구매 금액이 10만원 이상이면 ‘VIP 고객’ 그룹에 추가하고, 아니면 ‘일반 고객’ 그룹에 추가하기 💸
- 예시 2: 고객 문의 내용에 ‘긴급’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슬랙으로 즉시 알림, 아니면 일반 문의로 처리 🚨
- 예시 3: 재고가 0인 상품 주문 시에는 ‘품절’ 알림, 재고가 있으면 정상 주문 처리 ✅❌
-
Loop Over Items (아이템 반복) 🔁
- 역할: 이전 노드에서 여러 개의 아이템(데이터 덩어리)을 받았을 때, 각 아이템에 대해 동일한 일련의 작업을 반복해서 실행하도록 합니다. 배열 형태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매우 강력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한 주문에 여러 상품이 있을 때, 각 상품에 대해 재고 확인 또는 배송 정보 업데이트 📦
- 예시 2: 여러 고객 목록이 있을 때, 각 고객에게 개인화된 이메일 발송 📧
- 예시 3: 특정 폴더의 모든 파일에 대해 이름 변경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업로드 📂
- 팁: Loop Over Items 안의 노드들은 각 아이템마다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루프가 끝나면 모든 결과가 다시 하나의 아이템으로 병합되어 다음 노드로 전달됩니다.
-
Wait (대기) ⏸️
- 역할: 워크플로우의 실행을 특정 시간(초, 분, 시간 등) 동안 지연시킵니다. API 호출 제한을 피하거나, 특정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때 유용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고객에게 환영 이메일 발송 후, 10분 뒤에 온보딩 자료가 포함된 두 번째 이메일 발송 ⏳
- 예시 2: API 호출 빈도 제한이 있는 서비스에 연속으로 요청을 보낼 때, 각 요청 사이에 텀 두기 ⏱️
- 예시 3: 특정 시스템의 데이터 동기화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다음 작업 진행 🔄
-
Merge (병합) 🤝
- 역할: 여러 개의 분기된 워크플로우 흐름을 하나로 다시 합칠 때 사용합니다. 주로 IF 노드 등으로 분기된 후, 공통된 다음 작업으로 이어질 때 사용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IF 노드로 성공/실패 흐름이 나뉜 후, 최종적으로 두 흐름 모두에서 로그를 기록하거나 알림을 보내는 노드로 연결할 때 ✅❌
- 예시 2: 여러 소스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한 곳으로 모아 다음 처리 과정으로 넘길 때 🗄️
- 예시 3: A, B 두 가지 경로를 통해 특정 결과값을 얻은 후, 그 결과들을 통합하여 최종 보고서를 만들 때 📊
4. 만능 연결고리: 외부 서비스 연동 노드 (External Service Integration Nodes) 🌐
수많은 n8n 통합 노드들이 있지만, 이 노드는 거의 모든 외부 서비스와 연결될 수 있는 ‘만능 열쇠’입니다.
- HTTP Request (HTTP 요청) 🌐
- 역할: 가장 범용적인 외부 서비스 연동 노드입니다. GET, POST, PUT, DELETE 등 다양한 HTTP 메서드를 사용하여 RESTful API를 호출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n8n에 기본적으로 통합되어 있지 않은 서비스와도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특정 웹사이트의 JSON API에서 실시간 환율 정보 가져오기 📈
- 예시 2: 사내에서 개발한 커스텀 API에 데이터 전송하거나 요청하기 🖥️
- 예시 3: 아직 n8n에 공식 노드가 없는 SaaS 서비스의 API 호출하여 기능 사용하기 🔑
- 팁: API 문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청 헤더(Headers), 쿼리 파라미터(Query Parameters), 바디(Body) 설정에 따라 성공적인 통신 여부가 결정됩니다.
5. 워크플로우의 마무리: 응답/종료 노드 (Response/Completion Nodes) ✅
워크플로우가 성공적으로 작업을 마쳤을 때, 외부 시스템에 결과를 알려주거나 마무리하는 노드들입니다.
- Respond to Webhook (웹훅 응답) 💬
- 역할: Webhook 트리거로 시작된 워크플로우가 끝난 후, 원래 Webhook 요청을 보낸 시스템에 응답 메시지나 데이터를 다시 보낼 때 사용합니다. API 응답과 유사합니다.
- 언제 쓸까요?:
- 예시 1: 웹사이트에서 회원가입 폼 제출 시, n8n이 데이터를 처리한 후 웹사이트에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메시지 전송 🚀
- 예시 2: 외부 시스템의 API 호출에 대해, 처리 결과(성공/실패 및 관련 데이터)를 JSON 형태로 반환 ↩️
- 예시 3: 챗봇에 질문을 보냈을 때, n8n이 답변을 생성하여 챗봇으로 다시 전송 🗣️
- 팁: Status Code(200 OK, 400 Bad Request 등)와 Body 데이터를 적절히 설정하여 요청 시스템이 워크플로우의 결과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이 노드들로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오늘 살펴본 노드들은 n8n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벽돌과 같습니다. 이 핵심 노드들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되면, 아무리 복잡한 아이디어라도 단계별로 나누어 자동화 워크플로우로 구현할 수 있는 자신감을 얻으실 겁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워크플로우를 만들려고 하지 마세요! 🙅♀️ 각 노드의 역할을 이해하고, 작은 기능부터 하나씩 조합해보면서 시행착오를 겪는 것이 중요합니다. n8n의 매력은 바로 이런 ‘조합의 재미’에 있습니다.
이 노드들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마음껏 펼쳐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n8n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고요. 여러분의 자동화 여정을 응원합니다! 🪄
“자동화, 어렵지 않아요! n8n과 함께라면 가능합니다!”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