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안녕하세요, 디지털 라이프를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고 싶은 모든 분들! 💡 여러분의 목소리만으로 집안의 불을 켜고, 날씨를 물어보고, 심지어 특정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마치 영화 속 아이언맨의 자비스처럼 말이죠! 🤖
오늘은 바로 그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줄 강력한 자동화 도구, n8n과 여러분의 음성을 연결하여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자동화 비서를 만드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복잡해 보인다고요? 걱정 마세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차근차근 안내해 드릴 테니, 이 글을 따라오시면 누구나 자신만의 음성 비서를 구축할 수 있을 거예요. 함께 시작해 볼까요? 🚀
1. n8n, 너 대체 누구니? 🤔 (자동화의 숨겨진 영웅)
음성 비서를 만들기 전에, 먼저 우리 프로젝트의 핵심 엔진인 n8n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어요. n8n은 ‘노드 기반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입니다. 쉽게 말해, 서로 다른 서비스(예: Slack, Telegram, Google Sheets, 각종 웹 API)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 특정 조건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하게 만드는 마법 같은 도구죠.
n8n의 핵심 매력 포인트는?
- 로우코드(Low-Code): 코드를 거의 또는 전혀 몰라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쉽게 워크플로우를 만들 수 있어요.
- 강력한 통합 능력: 수백 가지가 넘는 서비스들과 연동할 수 있어, 상상하는 거의 모든 자동화가 가능해요. 🌐
-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 나만의 서버에 설치하여 데이터 주권을 완벽하게 가질 수 있고, 원하는 대로 무한히 확장할 수 있어요.
- 유연한 워크플로우: 복잡한 로직도 If/Else, Loop, Try/Catch 등의 노드를 활용하여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n8n의 장점 덕분에, 우리는 음성 명령이라는 ‘트리거’를 통해 n8n 워크플로우를 실행시키고, 이 워크플로우가 원하는 ‘액션’을 수행하도록 만들 수 있는 거예요! 👍
2. 음성 인식과 n8n 연결의 큰 그림 🗺️ (어떻게 내 목소리가 n8n을 움직일까?)
자, 이제 어떻게 내 목소리가 n8n까지 전달되어 자동화가 시작되는지 큰 그림을 그려볼까요? 과정은 간단합니다.
- 음성 입력 (내 목소리) 🗣️: 여러분이 스마트폰(아이폰의 시리 단축어, 안드로이드의 Tasker 또는 Bixby 루틴 등)에 명령을 내립니다.
- 음성 인식 앱/서비스 📱: 스마트폰의 기본 음성 인식 기능(Siri, Google Assistant)이나 타사 앱(Tasker 등)이 여러분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합니다.
- 웹훅(Webhook) 발송 🔗: 이 앱/서비스는 n8n에 설정된 특정 URL(웹훅)로 여러분의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정보(텍스트, 명령어 등)를 전송합니다. 마치 “나 이거 시켰어!”라고 n8n에게 소리치는 것과 같죠.
- n8n 워크플로우 실행 ▶️: n8n은 이 웹훅을 받자마자, 해당 웹훅에 연결된 워크플로우를 즉시 실행합니다.
- 자동화 액션 수행 ✨: n8n 워크플로우는 웹훅으로 받은 정보(명령어)를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다양한 자동화 작업(예: 메시지 전송, 스마트 기기 제어, 데이터 기록 등)을 수행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순식간에 이루어지며, 여러분은 그저 목소리만 내면 되는 편리함을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죠! 😊
3.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 챙기기 🎒 (필수 준비물 리스트)
본격적인 구축에 앞서 몇 가지 준비물이 필요해요.
- 1. n8n 설치 또는 클라우드 계정 💻:
- 자체 호스팅 (추천): 도커(Docker)를 이용하여 개인 서버(NAS, VPS 등)에 n8n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자유롭고 강력합니다. 이때 n8n에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도메인과 SSL 인증서 설정(Let’s Encrypt 등)은 필수입니다. 웹훅은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해야 하니까요!
- n8n 클라우드: 자체 서버 구축이 어렵다면 n8n에서 제공하는 유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웹훅 URL은 자동으로 제공됩니다.
- 2. 스마트폰 및 음성 인식 앱 📱:
- 아이폰 사용자: ‘단축어’ 앱을 적극 활용할 거예요.
- 안드로이드 사용자: ‘Tasker’ 앱(유료), ‘Bixby 루틴’ 또는 ‘Google 어시스턴트 루틴’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3. 자동화할 서비스의 API 키 또는 웹훅 URL 🔑:
- 예시:
- 텔레그램(Telegram) 메시지 발송: 텔레그램 봇 토큰과 채팅 ID.
- 슬랙(Slack) 메시지 발송: 슬랙 앱 웹훅 URL.
- 스마트 홈 제어 (예: Home Assistant): Home Assistant Long-Lived Access Token과 API URL.
- 날씨 정보 얻기: OpenWeatherMap 등의 API 키.
- 구글 캘린더/시트 등: Google Cloud Platform API 키 및 서비스 계정 설정.
- 예시:
이 준비물들이 갖춰졌다면, 이제 마법을 부릴 준비가 완료된 거예요! ✨
4. 핵심 빌딩 블록: n8n 워크플로우 설계 🏗️ (가장 중요한 노드들)
n8n 워크플로우는 ‘노드’들을 연결하여 만듭니다. 음성 비서 워크플로우를 위해 주로 사용될 핵심 노드들을 소개할게요.
- 1. Webhook 노드 (시작점! 🚀):
- 워크플로우의 가장 첫 노드입니다. 특정 URL로 요청이 들어오면 워크플로우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해요.
GET
또는POST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음성 명령은 주로 URL 파라미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므로GET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핵심 설정:
Webhook URL
(이 주소가 여러분의 스마트폰에서 호출할 주소예요!) - 예시:
https://your-n8n-domain.com/webhook/voice-assistant?command=날씨&location=서울
- 2. If 노드 (조건에 따라 분기! 🚦):
- 들어오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조건(예:
command
값이 “날씨”인지?)에 따라 워크플로우의 흐름을 다르게 만들 때 사용합니다. - 예시: “만약
command
가 ‘날씨’라면 날씨 정보를 가져오는 노드로, ‘메모’라면 메모를 저장하는 노드로 가!”
- 들어오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조건(예:
- 3. Function 노드 (데이터 가공의 마법사! 🪄):
- JavaScript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는 노드입니다.
- 웹훅으로 받은 텍스트 명령어를 파싱(분석)하여 필요한 정보(예: ‘메모해줘 오늘 저녁 약속’ -> ‘오늘 저녁 약속’만 추출)를 추출할 때 유용해요.
- 예시:
return [{ json: { text: $json.query.command.replace("메모해줘 ", "") } }];
- 4. HTTP Request 노드 (외부 서비스와 대화! 💬):
- 이름 그대로 HTTP 요청(GET, POST, PUT 등)을 보내 외부 서비스의 API를 호출할 때 사용합니다.
- 스마트 홈 기기 제어(Home Assistant 등), 날씨 정보 API 호출 등 거의 모든 웹 기반 서비스와 연동할 때 필수적이에요.
- 5. 다양한 서비스 노드 (텔레그램, 슬랙, 캘린더 등 📧📅):
- 각 서비스에 특화된 노드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Telegram’ 노드를 사용하면 손쉽게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Google Calendar’ 노드를 사용하면 일정을 추가할 수 있죠.
이 노드들을 조합하여 여러분의 음성 비서가 수행할 작업을 설계하게 됩니다.
5. 실전 예제: 내 목소리로 작동하는 자동화 비서 만들기 💬 (단계별 따라하기!)
이제 세 가지 실제 예제를 통해 나만의 음성 비서를 만들어 볼까요?
📌 예제 1: “오늘 날씨 어때?” – 날씨 정보 브리핑 받기 ⛅
가장 기본적인 음성 명령입니다. 내 목소리로 오늘의 날씨 정보를 받아볼게요.
목표: “오늘 날씨 어때?”라고 말하면, 현재 위치의 날씨 정보를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준비물: OpenWeatherMap API 키, 텔레그램 봇 토큰 및 채팅 ID
n8n 워크플로우 설계:
- Webhook 노드 추가:
- Mode:
GET
- Webhook URL을 복사해 둡니다. (예:
https://your-n8n.com/webhook/weather-check
) - 테스트를 위해 브라우저에서
https://your-n8n.com/webhook/weather-check?command=날씨
와 같이 입력하여 실행해 봅니다.
- Mode:
- HTTP Request 노드 추가 (OpenWeatherMap API 호출):
- Method:
GET
- URL:
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q=Seoul&appid=YOUR_OPENWEATHERMAP_API_KEY&units=metric&lang=kr
(서울 기준, 한국어, 섭씨) YOUR_OPENWEATHERMAP_API_KEY
부분에 본인의 키를 입력합니다.
- Method:
-
Function 노드 추가 (날씨 정보 가공):
- OpenWeatherMap에서 받은 JSON 데이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가공합니다.
-
코드 예시:
const weatherData = $json.data; // HTTP Request 노드에서 받은 데이터 const city = weatherData.name; const description = weatherData.weather[0].description; const temp = weatherData.main.temp; const feelsLike = weatherData.main.feels_like; const humidity = weatherData.main.humidity; const message = `✨ 현재 ${city}의 날씨는 ${description}입니다. 🌡️ 기온은 ${temp}°C, 체감 온도는 ${feelsLike}°C입니다. 💧 습도는 ${humidity}%입니다.`; return [{ json: { message: message } }];
- Telegram 노드 추가 (텔레그램으로 메시지 발송):
- Authentication:
Access Token
(미리 생성한 텔레그램 봇 토큰 입력) - Chat ID:
YOUR_CHAT_ID
(메시지를 받을 채팅 ID 입력) - Text:
{{ $json.message }}
(Function 노드에서 가공한 메시지 변수 연결) - Mode:
Send Text
- Authentication:
스마트폰 설정 (iOS 단축어 예시):
- 단축어 앱 실행 → 새 단축어 생성 (+ 버튼).
- ‘동작 추가’ → ‘웹’ → ‘URL 가져오기’.
- URL 필드에 위에서 복사한 Webhook URL을 붙여넣습니다:
https://your-n8n.com/webhook/weather-check?command=날씨
- ‘URL 콘텐츠 가져오기’ 동작 추가. (웹훅 실행)
- 단축어 이름 설정 (예: “오늘 날씨 어때?”), 시리 구문 설정.
-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라고 말해보세요! 🗣️
📌 예제 2: “불 꺼줘” – 스마트 홈 조명 제어하기 💡
스마트 홈 허브(예: Home Assistant)와 연동하여 음성으로 조명을 켜고 꺼볼게요.
목표: “거실 불 꺼줘”라고 말하면, Home Assistant에 연결된 거실 조명을 끄기.
준비물: Home Assistant 설치 및 Long-Lived Access Token, 조명 엔티티 ID (예: light.living_room_light
)
n8n 워크플로우 설계:
- Webhook 노드 추가:
- Mode:
GET
- Webhook URL 복사 (예:
https://your-n8n.com/webhook/smart-home
) - 테스트:
https://your-n8n.com/webhook/smart-home?command=거실불꺼줘
- Mode:
- If 노드 추가 (명령어 분기):
- Value 1:
{{ $json.query.command }}
(웹훅으로 들어온command
파라미터) - Operator:
is equal
- Value 2:
거실불꺼줘
- Value 1:
- HTTP Request 노드 추가 (Home Assistant API 호출 – IF 노드 ‘True’ 브랜치에 연결):
- Method:
POST
- URL:
http://YOUR_HOME_ASSISTANT_IP:8123/api/services/light/turn_off
(Home Assistant 주소에 맞게 변경) - Headers:
- Key:
Authorization
- Value:
Bearer YOUR_HOME_ASSISTANT_LONG_LIVED_ACCESS_TOKEN
(보안을 위해 꼭 본인의 토큰 사용) - Key:
Content-Type
- Value:
application/json
- Key:
- Body (JSON):
{ "entity_id": "light.living_room_light" }
(
light.living_room_light
를 실제 조명 엔티티 ID로 변경)
- Method:
스마트폰 설정 (안드로이드 Tasker 예시):
- Tasker 앱 실행 → ‘작업’ 탭 → ‘+’ 버튼 → 새 작업 생성 (예: “불끄기”).
- ‘+’ 버튼 → ‘Net’ → ‘HTTP 요청’.
- Method:
GET
(Webhook은 GET으로 설정했으므로) - URL:
https://your-n8n.com/webhook/smart-home?command=거실불꺼줘
- ‘프로필’ 탭 → ‘+’ 버튼 → ‘이벤트’ → ‘음성 명령’.
- ‘음성 명령’ 이벤트 설정 (예: “거실 불 꺼줘”).
- 방금 만든 ‘불끄기’ 작업을 이 이벤트에 연결합니다.
- “헤이 구글, Tasker 불끄기” 또는 “빅스비, 불 꺼줘” (루틴 설정에 따라) 라고 말해보세요! 🗣️
📌 예제 3: “메모해줘 오늘 저녁 약속” – 음성 메모 저장하기 📝
음성으로 말한 내용을 텍스트로 추출하여 텔레그램 나에게 보내는 방식으로 메모를 저장해 볼게요.
목표: “메모해줘 [내용]”이라고 말하면, [내용] 부분을 추출하여 텔레그램 ‘나에게’ 보내기.
준비물: 텔레그램 봇 토큰 및 ‘나에게’ 채팅 ID (봇에게 /start
명령어를 보내고, 봇이 보내는 메시지의 message.chat.id
를 확인)
n8n 워크플로우 설계:
- Webhook 노드 추가:
- Mode:
GET
- Webhook URL 복사 (예:
https://your-n8n.com/webhook/voice-memo
) - 테스트:
https://your-n8n.com/webhook/voice-memo?command=메모해줘 오늘저녁약속
(띄어쓰기 없이 붙여서 전달하도록 설정)
- Mode:
-
Function 노드 추가 (메모 내용 추출):
- Webhook으로 받은
command
파라미터에서 “메모해줘 ” 부분을 제거하고 실제 메모 내용만 추출합니다. -
코드 예시:
const fullCommand = $json.query.command; let memoContent = ""; // "메모해줘"로 시작하는지 확인하고 해당 부분을 제거 if (fullCommand.startsWith("메모해줘")) { memoContent = fullCommand.substring("메모해줘".length).trim(); } else { // 다른 명령어 형식도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 memoContent = fullCommand.trim(); } const currentDateTime = new Date().toLocaleString('ko-KR', { year: 'numeric', month: '2-digit', day: '2-digit', hour: '2-digit', minute: '2-digit', second: '2-digit' }); const telegramMessage = `📝 음성 메모 [${currentDateTime}]\n\n${memoContent}`; return [{ json: { memoText: telegramMessage } }];
- Webhook으로 받은
- Telegram 노드 추가 (메모 내용 나에게 발송):
- Authentication:
Access Token
- Chat ID:
YOUR_TELEGRAM_YOURSELF_CHAT_ID
- Text:
{{ $json.memoText }}
- Mode:
Send Text
- Authentication:
스마트폰 설정 (iOS 단축어 예시):
- 단축어 앱 실행 → 새 단축어 생성.
- ‘동작 추가’ → ‘스크립트’ → ‘음성 받아쓰기’.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 ‘동작 추가’ → ‘텍스트’. (변환된 텍스트 앞에 “메모해줘” 접두사 붙이기)
- 텍스트 필드에
메모해줘
를 입력한 후, 변수 선택기에서 ‘받아쓰기 텍스트’를 선택합니다. - 결과:
메모해줘[받아쓰기 텍스트]
- 텍스트 필드에
- ‘URL 가져오기’.
- URL 필드에
https://your-n8n.com/webhook/voice-memo?command=
를 입력한 후, 변수 선택기에서 위에서 만든 ‘텍스트’ 변수를 선택합니다. - 결과:
https://your-n8n.com/webhook/voice-memo?command=[텍스트변수]
- 💡 팁: 텍스트 변수 선택 시 ‘URL 인코딩’ 옵션을 켜면 한글이나 특수문자가 깨지지 않고 잘 전달됩니다.
- URL 필드에
- ‘URL 콘텐츠 가져오기’ 동작 추가.
- 단축어 이름 설정 (예: “메모”), 시리 구문 설정.
- “시리야, 메모 오늘 저녁 약속이야” 라고 말해보세요! 🗣️
6. 음성 인식 연동 팁 💡 (더 스마트하게 활용하기)
- 명령어 디자인은 심플하게! 🎯: “오늘 날씨 어때?”처럼 명확하고 간결한 문구를 사용하는 것이 음성 인식률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거실 불 켜”와 “거실 불 꺼”처럼 유사한 명령은 n8n의
If
노드에서 정확히 분기될 수 있도록 명확하게 구분해 주세요. - iOS 단축어의 유연성 🍎: 단축어 앱은 음성 받아쓰기 외에도 다양한 입력(위치, 시간, NFC 태그 등)을 트리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장소에 도착하면 자동으로 “집에 도착했어” 음성 명령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어요.
- 안드로이드 Tasker의 강력함 💪: Tasker는 정말 강력한 자동화 앱입니다. 단순히 HTTP 요청을 보내는 것을 넘어, 특정 앱 실행, 화면 터치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스마트폰 내부 작업을 자동화한 후 n8n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보안! 보안! 🔒: n8n Webhook URL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반드시 n8n 설정에서
WEBHOOK_URL_AUTH
환경 변수를 설정하여 인증(Authentication)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누구나 여러분의 웹훅을 호출하여 자동화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Home Assistant나 다른 서비스의 API 키는Credentials
노드에 안전하게 저장하고, 절대 워크플로우 내에 하드코딩하지 마세요. - 오류 처리 (Try/Catch) 🚧: n8n 워크플로우에
Try/Catch
노드를 추가하여, 특정 노드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거나 (예: “죄송해요, 날씨 정보를 가져오는 데 실패했습니다”) 다른 작업을 시도하도록 설계하면 더욱 견고한 비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자연어 처리(NLP) 연동 (고급) 🧠: 더 나아가 ChatGPT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API를 n8n과 연동하면, 더욱 복잡하고 자연스러운 음성 명령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일 오후 3시에 회의 잡아줘”와 같은 명령에서 날짜와 시간,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여 캘린더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AI Text Processing
노드나HTTP Request
노드를 통해 OpenAI API 등을 호출하여 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7. 더 나아가기: 무한한 가능성 🚀 (상상력을 발휘해 보세요!)
이제 기본적인 음성 비서 구축 방법을 알았으니, 여러분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더욱 멋진 자동화 비서를 만들어 볼 수 있어요!
- 뉴스 브리핑 📰: “오늘 뉴스 읽어줘”라고 말하면 특정 언론사의 RSS 피드를 가져와 요약 후 텔레그램으로 보내주기.
- 일정 읽어주기 📅: “오늘 일정 뭐야?”라고 말하면 구글 캘린더에서 오늘 일정을 가져와 알려주기.
- 주가 확인 📈: “애플 주가 얼마야?”라고 물으면 실시간 주가 정보를 가져와 알려주기.
- 식사 메뉴 추천 🍜: “점심 뭐 먹지?”라고 물으면 주변 식당 정보나 레시피를 추천해주기.
- 특정 메시지 전송 💌: “엄마에게 잘 도착했다고 보내줘”라고 말하면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가족에게 보내기.
- 음성 피드백 🗣️: n8n 워크플로우의 결과(예: 날씨 정보)를 다시 스마트폰으로 보내 텍스트 음성 변환(TTS) 기능을 통해 비서가 직접 음성으로 알려주도록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스마트폰 단축어나 Tasker에서 n8n으로부터 응답을 받아 음성으로 재생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
어떠셨나요? n8n과 여러분의 목소리를 연결하여 나만의 자동화 비서를 만드는 과정이 조금은 쉬워지셨기를 바랍니다. 처음에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여러분의 일상에 마법 같은 편리함이 더해질 거예요. ✨
n8n은 정말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셨다면, 이제 여러분의 필요와 상상력에 맞춰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자동화를 시도해 보세요.
이제 여러분의 목소리로 세상을 움직일 시간입니다! 🗣️ 자동화의 즐거움을 만끽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Happy Automa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