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 8월 19th, 2025

기계 베어링의 원리, 분류 및 적용에 대한 종합 기술 보고서 제 1부: 베어링의 기본 원리 및 분류 이 기초적인 부분에서는 후속 분석의 기반이 되는 핵심 개념과 용어를 정립한다. 단순한 정의를 넘어 베어링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견고한 지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1 기계 시스템에서 베어링의 역할과 기능 베어링은 기계 요소로서 상대 운동을 원하는 방향으로 제한하고,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며, 움직이는 부품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고정된 부품과 회전(또는 직선) 운동을 하는 부품 사이의 중요한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베어링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지지 및 하중 분산: 베어링은 축을 지지하고 회전체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고정된 하우징으로 전달하여 부품 손상을 방지하고 구조적 무결성을 유지한다. 안내 및 위치 결정: 회전, 직선 또는 나선 운동과 같은 부품의 움직임을 안내하여 정밀한 정렬과 위치를 보장한다. 이 기능은 공작 기계 스핀들이나 자동차 변속기와 같은 기계의 작동 정확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마찰 감소: 가장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로, 마찰과 그로 인한 에너지 손실 및 발열을 최소화하여 기계 효율을 향상시키고 조기 마모를 방지한다. 구름 베어링의 경우, 일반적으로 내륜, 외륜, 전동체(볼 또는 롤러), 그리고 리테이너(케이지)의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테이너는 종종 간과되지만, 전동체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호 마찰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2 주요 분류 체계 베어링은 작동 원리와 설계 목적에 따라 여러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가장 근본적인 분류 기준은 마찰 메커니즘과 하중 방향이다. 1.2.1 마찰 메커니즘에 따른 분류 이 분류는 마찰 관리 방식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철학을 기반으로 전체 베어링 분야를 나눈다. 구름 베어링 (Rolling Bearings): 볼이나 롤러와 같은 전동체를 사용하여 미끄럼 마찰을 저항이 훨씬 낮은 구름 마찰로 변환한다. 높은 효율성과 표준화 덕분에 현대 기계 장치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이다. 미끄럼 베어링 (Sliding Bearings / Plain Bearings): 일반적으로 윤활막에 의해 분리된 두 표면 사이의 미끄럼 운동에 의존한다. 접촉 영역이 점이나 선이 아닌 면(面) 형태이므로, 구름 베어링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성능 특성을 나타낸다. 1.2.2 하중 방향에 따른 분류 이 분류는 베어링이 견디도록 설계된 주된 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 적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공학적 요소이다. 레이디얼 베어링 (Radial Bearings):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스러스트 베어링 (Thrust Bearings):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액시얼 하중 또는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복합 하중 베어링: 많은 베어링 유형은 실제 적용 환경에서 흔히 발생하는 레이디얼 하중과 액시얼 하중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접촉각(\alpha)’이라는 개념이 도입되는데, 이는 베어링이 복합 하중을 처리하는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기하학적 매개변수이다. 이 두 가지 주요 분류 체계(마찰 메커니즘과 하중 방향)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깊이 연관되어 있다. 마찰 메커니즘(구름 대 미끄럼)과 전동체의 기하학적 형태(볼 대 롤러)의 선택은 베어링이 다양한 방향과 크기의 하중을 처리하는 고유한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볼의 ‘점 접촉’은 마찰이 적어 고속 회전에 유리하지만 하중 지지 능력은 제한적이다. 반면, 롤러의 ‘선 접촉’은 접촉 면적이 넓어 훨씬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지만 마찰이 크고 속도에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높은 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롤러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은 선 접촉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필연적인 귀결이다. 마찬가지로, 높은 복합 하중을 지지해야 할 필요성은 두 힘 벡터를 모두 효과적으로 분해하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테이퍼 롤러 베어링과 같은 형태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호 연관성은 베어링 설계 및 선정의 핵심 원리라 할 수 있다. 제 2부: 구름 베어링 심층 분석 이 부분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베어링 범주인 구름 베어링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각 설계에 내재된 공학적 장단점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2.1 볼 베어링 – 정밀도와 속도 구형의 전동체가 궤도륜과 ‘점 접촉(point contact)’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높은 회전 속도와 정밀도를 가능하게 하지만, 롤러 베어링에 비해 하중 지지 능력은 제한적이다. 2.1.1 깊은 홈 볼 베어링 (Deep Groove Ball Bearings) 구조: 내륜과 외륜 모두에 대칭적이고 깊은 궤도 홈이 있으며, 이 홈은 볼의 반경과 거의 일치하는 곡률을 가진다. 성능: 가장 다재다능하고 널리 사용되는 베어링 유형이다. 주로 레이디얼 하중을 위해 설계되었지만, 깊은 홈 구조 덕분에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중간 정도의 액시얼 하중도 감당할 수 있다. 마찰이 적어 매우 높은 속도에 적합하다. 적용 분야: 전동기, 자동차 부품(교류 발전기, 변속기), 가전제품 및 일반 산업 기계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2.1.2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 (Angular Contact Ball Bearings) 구조: 내륜과 외륜의 궤도면이 축 방향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있어, 미리 정의된 접촉각(일반적으로 15° ~ 40°)을 형성한다. 이 설계는 본질적으로 방향성을 가진다. 성능: 레이디얼 하중과 한쪽 방향의 액시얼 하중이 결합된 복합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접촉각이 클수록 액시얼 하중 지지 능력이 커지고, 작을수록 고속 회전에 유리하다. 높은 강성과 정밀도를 제공하며, 양방향 액시얼 하중을 처리하기 위해 종종 쌍(배면 조합, 대면 조합)으로 사용된다. 적용 분야: 공작 기계 스핀들, 고속 펌프, 자동차 클러치와 같이 높은 강성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분야에 주로 사용된다. 2.1.3 자동 조심 볼 베어링 (Self-Aligning Ball Bearings) 구조: 두 줄의 볼과 외륜에 공통된 구면 궤도를 특징으로 한다. 이 구면 궤도의 곡률 중심은 베어링의 중심과 일치한다. 성능: 이 독특한 구조는 내륜, 볼, 리테이너가 외륜에 대해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게 하여, 축과 하우징 사이의 각도 오정렬(최대 4~7도)을 자동으로 보상한다. 그러나 접촉각이 작기 때문에 액시얼 하중 지지 능력은 매우 제한적이다. 적용 분야: 축의 처짐이나 설치 오류가 예상되는 동력 전달축 등에 적합하다. 경하중, 고속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정렬 문제에 대한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2.2 롤러 베어링 – 강도와 내구성 원통, 테이퍼 또는 구면 형태의 전동체가 궤도륜과 ‘선 접촉(line contact)’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하중을 더 넓은 면적에 분산시켜 볼 베어링보다 훨씬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하지만, 마찰이 더 크고 속도 한계는 낮다. 2.2.1 원통 롤러 베어링 (Cylindrical Roller Bearings) 구조: 롤러가 원통형이다. 롤러와 궤도면 사이의 선 접촉은 높은 레이디얼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한다. 성능: 높은 레이디얼 하중과 고속 회전에 탁월하다. 대부분의 설계는 액시얼 하중 지지 능력이 없거나 제한적이지만, 플랜지가 있는 일부 구성은 간헐적인 경미한 스러스트 하중을 처리할 수 있다. 높은 강성을 제공한다. 적용 분야: 높은 레이디얼 하중이 주된 관심사인 중공업 기계, 기어박스, 전동기 및 압연기 등에 사용된다. 2.2.2 니들 롤러 베어링 (Needle Roller Bearings) 구조: 롤러의 직경이 길이에 비해 작은(길이 > 3 x 직경) 원통 롤러 베어링의 한 종류이다. 성능: 최소한의 레이디얼 단면적 내에서 매우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한다. 공간이 제한된 응용 분야에 이상적이다. 주로 레이디얼 하중을 지지하며 액시얼 하중 지지 능력은 제한적이다. 적용 분야: 공간이 중요한 자동차 변속기, 엔진 부품(예: 로커 암 피벗), 유니버설 조인트 등에 사용된다. 2.2.3 테이퍼 롤러 베어링 (Tapered Roller Bearings) 구조: 원뿔형 롤러와 테이퍼진 내륜 및 외륜 궤도면을 가진다. 접촉선의 연장선이 베어링 축의 한 공통점에서 만나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되었다. 성능: 이 설계는 큰 레이디얼 하중과 액시얼 하중이 결합된 복합 하중을 동시에 처리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스러스트 하중을 처리하기 위해 쌍으로 장착되며, 높은 시스템 강성을 얻기 위해 정밀한 예압(preload) 설정이 가능하다. 적용 분야: 자동차 휠 허브, 철도 차축, 중장비 기어박스와 같이 복합 하중이 심한 까다로운 환경에서 사용된다. 2.2.4 구면 롤러 베어링 (Spherical Roller Bearings /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구조: 두 줄의 통 형상(구면) 롤러와 외륜의 공통된 구면 궤도로 구성되어, 원리상 자동 조심 볼 베어링과 유사하지만 훨씬 더 견고하다. 성능: 매우 높은 레이디얼 하중 지지 능력과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중간 정도의 액시얼 하중 지지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핵심적인 특징은 상당한 오정렬과 축의 처짐을 수용하는 능력으로, 중하중, 충격, 진동이 있는 가혹한 조건에서 극도의 내구성을 발휘한다. 적용 분야: 중공업의 핵심 부품으로, 광산 장비, 파쇄기, 진동 스크린, 제지 공장, 풍력 터빈 등 극한의 하중과 불가피한 오정렬이 특징인 응용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표 2: 구름 베어링 선정 매트릭스 제 3부: 미끄럼 베어링(플레인 베어링) 심층 분석 이 섹션에서는 구름 접촉의 대안인 미끄럼 접촉 방식에 대해 탐구하며, 유체 윤활막의 원리와 재료 과학의 중요한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3.1 윤활 및 작동 원리 미끄럼 베어링은 축(저널)과 베어링 표면 사이에 분리막을 형성하여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윤활제인 이 막은 하중을 지지하고 금속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3.1.1 유체 동압 윤활 (Hydrodynamic Lubrication / 동압 베어링) 원리: 윤활막 내의 압력이 축 자체의 상대 운동(회전)에 의해 생성된다. 축이 회전하면서 점성을 가진 윤활유를 쐐기 모양의 틈새로 끌어들여, 축을 들어 올리고 지지하는 고압 영역을 형성한다. 이는 최소 속도에 도달하면 자립적으로 유지되는 메커니즘이다. 특성: 구조는 간단하지만, 유체막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시동 및 정지 시에는 높은 마찰(경계 윤활)을 경험한다. 하중 지지 능력은 회전 속도에 따라 증가한다. 3.1.2 유체 정압 윤활 (Hydrostatic Lubrication / 정압 베어링) 원리: 외부 펌프를 통해 고압의 윤활유가 베어링에 공급된다. 이 가압된 유체는 축의 속도와 무관하게 하중을 지지하는 막을 형성한다. 특성: 정지 상태에서도 마찰이 극히 낮고, 높은 하중 지지 능력과 뛰어난 회전 정밀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외부 펌핑 및 여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적용 분야: 정밀 공작 기계 스핀들, 대형 망원경, 시동 마찰을 최소화해야 하는 중회전 기계 등에 사용된다. 3.2 미끄럼 베어링의 재료 과학 경도가 가장 중요한 구름 베어링과 달리, 미끄럼 베어링 재료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특성의 균형을 요구한다: 피로 강도, 이물질 매립성(Embeddability), 순응성(Conformability), 낮은 마찰 및 내마모성. 화이트 메탈 (배빗 메탈): 주석 또는 납 기반 합금. 이물질 매립성과 순응성이 뛰어나지만 피로 강도와 온도 한계가 낮다. 내연 기관에서 널리 사용된다. 청동 및 구리 합금 (예: 켈멧): 화이트 메탈보다 높은 강도, 피로 저항성, 열전도율을 제공하여 더 높은 하중과 온도에 적합하다. 오정렬과 오염에 대해서는 덜 관대하다. 폴리머 (예: PTFE, PEEK): 윤활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작동할 수 있고(자기 윤활성), 뛰어난 내화학성을 가지지만 하중 지지 능력과 온도에 의해 제한된다. 알루미늄 합금: 우수한 피로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며, 현대 엔진에 자주 사용된다.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의 설계 철학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구름 베어링은 주요 기계 부품(축/하우징)보다 먼저 고장 나도록 설계된, 표준화되고 교체 가능한 개별 ‘부품’이다. 반면, 미끄럼 베어링은 종종 기계 구조의 통합된, 비표준화된 일부로서, 더 가치 있는 축을 보호하기 위한 ‘희생적인 표면’으로 설계된다. 구름 베어링의 수명은 통계적으로 정의되지만(L{10} 수명) , 완벽하게 작동하는 유체 동압 미끄럼 베어링의 이론적 수명은 금속 간 접촉이 없으므로 무한하다. 따라서 구름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은 올바른 사양의 제품을 고르는 문제인 반면, 미끄럼 베어링을 선택하는 것은 베어링 재료, 윤활유, 윤활 공급 시스템 및 작동 조건을 포함하는 하나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과정에 가깝다. 제 4부: 첨단 및 특수 목적 베어링 기술 이 섹션에서는 기존 베어링으로는 불가능했던 응용 분야를 가능하게 하는, 성능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들을 다룬다. 4.1 자기 베어링 (Magnetic Bearings) 원리: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전체를 공중에 띄워 물리적 접촉을 완전히 제거한다. 센서와 전자석으로 구성된 제어 시스템이 실시간으로 회전체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유지한다. 장점: 마찰과 마모가 없어 매우 긴 수명과 높은 기계 효율을 자랑한다. 윤활이 필요 없어 진공, 클린룸 또는 극한 온도 환경에 이상적이다. 100,000 RPM 이상의 초고속 회전이 가능하다. 능동적인 진동 제어 및 시스템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베어링’이다. 단점: 초기 비용이 높고 제어 시스템이 복잡하며, 지속적인 전력 공급에 의존한다(정전 시를 대비한 보조 베어링 필요). 적용 분야: 고성능 터보 기계(압축기, 터빈), 에너지 저장 플라이휠, 진공 펌프, MRI와 같은 의료 장비에 사용된다. 4.2 유체 동압 베어링 (Fluid Dynamic Bearings, FDB) 원리: 베어링이나 축 표면에 정밀하게 가공된 홈(예: 헤링본 또는 스파이럴 패턴)이 윤활유를 능동적으로 펌핑하여 압력을 생성하는 특수한 형태의 유체 동압 미끄럼 베어링이다. 성능: 특정 분야에서 기존 볼 베어링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극도로 낮은 소음과 진동(음향 성능) 및 높은 충격 저항성이 특징이며, 유체막이 뛰어난 댐핑 효과를 제공한다. 적용 분야: 2000년대 초부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스핀들 모터에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소음, 높은 회전 안정성, 신뢰성이 가장 중요한 분야에 적합하다. 고급 냉각 팬에도 사용된다. 4.3 보석 베어링 (Jewel Bearings) 원리: 합성 루비나 사파이어(커런덤)와 같이 매우 단단하고 마찰이 적은 재료로 만든 미끄럼 베어링의 일종이다. 성능: 매우 작고 가벼운 하중을 받는 회전 부품에 대해 탁월한 내마모성, 장기적인 치수 안정성, 그리고 낮고 일관된 마찰을 제공한다. 적용 분야: 정밀 기계 장비에 결정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기계식 시계의 무브먼트에서 밸런스 휠과 기어 트레인의 피벗을 지지하여 정확성과 수명을 보장하는 데 가장 유명하다. 제 5부: 비교 분석 및 공학적 선정 가이드 이 마지막 부분에서는 보고서의 기술적 세부 사항을 엔지니어를 위한 실용적인 프레임워크로 종합하여, 최적의 베어링 선정을 위한 방법론과 도구를 제공한다. 5.1 전략적 비교: 구름 베어링 vs. 미끄럼 베어링 주요 공학적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두 베어링 군을 직접 비교하여, 성능상의 장단점을 명확히 분석한다. 표 1: 구름 베어링과 미끄럼 베어링의 종합 비교 참고 자료: 5.2 전술적 비교: 볼 베어링 vs. 롤러 베어링 구름 베어링 군 내에서 점 접촉과 선 접촉의 근본적인 차이에 중점을 둔 분석이다. 하중 지지 능력: 롤러는 선 접촉으로 인해 훨씬 높은 하중 지지 능력을 제공한다. 속도: 볼은 마찰이 적고 접촉 면적이 작아 발열이 적기 때문에 고속 회전에 탁월하다. 정밀도: 일반적으로 볼 베어링이 기하학적 특성과 제조 공차 덕분에 더 높은 회전 정밀도를 제공한다. 마찰: 볼 베어링의 점 접촉은 더 낮은 구름 저항을 유발한다. 결론적으로, 어느 것이 ‘더 좋다’의 문제가 아니라 ‘목적에 더 적합하다’의 문제이다. 고속, 정밀도가 중요한 응용 분야(예: 스핀들)는 볼 베어링을 선호하며, 중하중, 내구성이 중요한 응용 분야(예: 건설 장비)는 롤러 베어링을 요구한다. 5.3 체계적인 베어링 선정 접근법 이 섹션은 보고서에서 논의된 모든 개념을 통합하여 엔지니어를 위한 단계별 방법론을 제공한다. 1단계: 운전 변수 정의 하중: 크기와 방향(레이디얼, 액시얼, 복합, 모멘트)을 분석하여 후보군을 좁힌다. 회전 속도: 요구되는 RPM을 결정하고 후보 베어링의 한계 속도와 비교한다. 작동 환경: 온도, 오염, 습도, 진동을 고려한다. 이는 실(seal)의 필요성, 특수 재질(예: 스테인리스강, 세라믹) 또는 구면 롤러 베어링과 같은 견고한 설계의 필요성을 결정한다. 2단계: 요구 수명 결정 L{10} 수명 계산: 정격 수명(L{10})의 개념을 도입한다. 이는 동일한 베어링 그룹 중 90%가 피로 파손 없이 도달할 수 있는 회전 수이다. 공식: L{10} = (C/P)^p 이며, 여기서 C는 동정격 하중, P는 등가 동하중, p는 수명 지수(볼: 3, 롤러: 10/3)이다. 이 공식은 하중과 수명 사이의 지수 관계를 명확히 보여준다. 하중이 약간만 증가해도 베어링 수명은 급격히 감소한다. 예를 들어, 볼 베어링에서 하중이 두 배가 되면 수명은 8분의 1(2^3)로 줄어든다. 이는 설계 단계에서 정확한 하중 계산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 3단계: 시스템 제약 조건 고려 강성 및 정밀도: 공작 기계와 같은 고정밀 응용 분야는 높은 강성과 엄격한 공차를 가진 베어링(예: 예압을 가한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을 요구한다. 오정렬: 축의 처짐이나 설치 부정확성이 불가피한 경우, 자동 조심 기능이 있는 베어링 유형이 필수적이다. 소음 및 진동: 저소음 요구사항은 미끄럼 베어링, FDB 또는 고정밀 깊은 홈 볼 베어링을 선호하게 할 수 있다. 설치 및 유지보수: 조립 용이성(분리형 대 비분리형)과 윤활 요구사항을 고려한다. 4단계: 최종 선정 및 검증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제조사 카탈로그(예: SKF, NSK)에서 가장 적합한 베어링 유형과 크기를 선택한다. 윤활 품질, 오염 및 기타 실제 요소를 고려한 수정 수명 방정식을 사용하여 선택을 검증한다. 참고 자료

  1. 베어링 핸드북 (기초편), http://www.dscon.co.kr/adm/data/product/1710240004_1.pdf 2. 베어링 유형별 용도와 설계에 대해 알아보자. – 프리즘, https://www.prism21.co.kr/blogPost/bearing_type 3. 베어링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2%A0%EC%96%B4%EB%A7%81 4. 0. 베어링의 기본 사항(역할, 유형 및 구성 요소) | 한국NSK, https://www.nsk.com/kr-ko/tools-resources/abc-bearings/bearing-basics/ 5. 1. 베어링의 종류, https://m.ohmye.co.kr/web/ohmye/ETC/bearing.pdf 6. 미끄럼 베어링 (Sliding Bearing) – KPAC 한국폴리아세탈(주), https://gpac-kpac.com/tech/tech01.php?Code=Tech7&SM=View&Seq=3 7. Chapter 06 베어링 6-1,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Chungbuk/JoHaeyong/13.pdf 8. 베어링에 대해 알려주세요 – 지식, https://ko.zjwxbearing.com/info/take-you-to-know-the-bearing-83406542.html 9. 베어링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B2%A0%EC%96%B4%EB%A7%81 10. 1.1 구름 베어링의 다양한 분류 | 한국NSK, https://www.nsk.com/kr-ko/tools-resources/abc-bearings/differentiating-rolling-bearings/ 11. 크로스 롤러 베어링과 다른 5가지 유형의 롤러 베어링 비교 – lkpb bearing, https://lkpbearing.com/ko/comparison-of-crossed-roller-bearings-with-other-5-types-of-roller-bearings/ 12. 롤러 베어링과 볼 베어링 비교: 성능, 응용 분야 및 전망 – lkpb bearing, https://lkpbearing.com/ko/roller-bearings-and-ball-bearings/ 13. 앵귤러 콘택트 볼 베어링과 깊은 홈 볼 베어링의 구체적인 차이점 – 지식, https://ko.hkbearingservice.com/info/the-specific-difference-between-angular-contac-84554905.html 14. 볼베어링의 종류- Cixi Yundie Bearing Co., Ltd, https://kr.ydbearing.net/news/industry-news/types-of-ball-bearings.html 15. 베어링의 종류와 적용 분야 | NYZ, https://nyzbearing.com/ko/types-of-bearings-and-their-applications/ 16. 구름 베어링의 형식별 종류, https://sulaim.tistory.com/14907767 17. 자동조심 볼베어링 | 한국NSK, https://www.nsk.com/kr-ko/products/ball-bearings/self-aligning-ball-bearings/ 18. 2.3 자동 조심 볼 베어링 | 한국NSK, https://www.nsk.com/kr-ko/tools-resources/abc-bearings/self-aligning-ball-bearings/ 19. 자동조심 볼 베어링, http://yesbrg.co.kr/pdf/new_gu2_auto.pdf 20. 원통형 롤러 베어링과 구면 롤러 베어링의 차이점 – LKPB 베어링, https://lkpbearing.com/ko/difference-between-cylindrical-and-spherical-roller-bearings/ 21. 베어링, 배워봅시다! – NTN코리아, https://www.ntnkorea.co.kr/product/03_01/ 22. 다양한 유형의 베어링: 종합 가이드-FHD, https://fhdbearings.com/ko/blog/types-of-bearings/ 23. 베어링 유형 및 식별 방법 – 업계 지식, https://ko.yujebearing-machining.com/info/bearing-type-and-identification-method-36596136.html 24. 테이퍼 베어링과 니들 베어링의 5가지 주요 차이점-LKPB BEARING, https://lkpbearing.com/ko/5-key-differences-between-tapered-bearings-and-needle-bearings/ 25. 베어링 유형은 무엇입니까?, https://ko.suvbearing.com/news/14-types-bearing-of-its-characteristics-diffe-53358060.html 26. Sliding Bearing, https://gpac-kpac.com/download.php?Lang=Kr&Code=Tech7&Seq=3 27. 베어링기초 | PDF – Scribd, https://www.scribd.com/document/780100842/%EB%B2%A0%EC%96%B4%EB%A7%81%EA%B8%B0%EC%B4%88 28. 구름 베어링과 미끄럼 베어링을 선택하는 방법- Jiaxing Wuzhou …, https://kr.jxwz-bearing.com/news/how-to-choose-rolling-bearings-and-sliding-bearings.html 29.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 [공학나라] 기계 공학 기술정보, https://mechengineering.tistory.com/317 30. 화이트 메탈 베어링 – 소결 필터, https://ko.pmbushing.com/sleeve-bearing/plain-bushing/white-metal-bearing.html 31. 플레인 베어링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https://kr.bhsbearings.com/news/what-are-the-types-of-plain-bearings.html 32. 구름 베어링-Ⅰ (Rolling Bearing-Ⅰ), https://www.gpac-kpac.com/download.php?Lang=Kr&Code=Tech7&Seq=4 33. 베어링 라이프에 관한 모든 것, https://nyzbearing.com/ko/everything-about-bearing-life/ 34. 베어링의 모든 것 – 재능넷, https://www.jaenung.net/tree/21739 35. 자기베어링 – TNE KOREA, https://www.tnekorea.com/magnetic-bearing 36. 베어링 기술,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019&atchFileId=a0ccb9da3a6c4dc785241d70fa47f2b8&fileSn=1&bbsId= 37. 자기 베어링이란 무엇입니까? – 지식, https://ko.sgsabearing.com/info/what-is-the-magnetic-bearing-90080809.html 38. 200 마력급 터보 블로워 적용을 위한 자기베어링 설계 – KoreaScience,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503340570919.pdf 39. 마그네틱 베어링이란 무엇인가요? 어떻게 작동하나요?, https://nyzbearing.com/ko/what-is-a-magnetic-bearing-how-does-it-work/ 40. KR100638667B1 – 유체동압 베어링을 갖는 스핀들 모터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le.com/patent/KR100638667B1/ko 41. [논문]증기압을 고려한 플레인 저널 베어링의 동특성 변화,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214338812012 42. 주얼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A3%BC%EC%96%BC 43. 시계 무브먼트에 주얼 베어링이 필요한 이유를 아십니까? – 뉴스, https://ko.suvbearing.com/news/do-you-know-why-a-watch-movement-needs-a-jewel-60913736.html 44. 코런덤 보석 베어링(411+), https://korean.alibaba.com/g/corundum-jewel-bearing.html 45. 베어링 의미와 역할 / SPM KOREA, https://spminstrumentkorea.tistory.com/entry/%EB%B2%A0%EC%96%B4%EB%A7%81-%EC%9D%98%EB%AF%B8%EC%99%80-%EC%97%AD%ED%95%A0-SPM-KOREA 46. 베어링의 장점과 단점 – 뉴스 – KISHO Corporation Co., Ltd, https://ko.kisho-nano-coating.com/news/advantages-and-disadvantages-of-rolling-bearin-25660990.html 47. 볼 베어링과 니들 베어링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 지식, https://ko.zwzmachinery.com/info/what-is-the-difference-between-a-ball-bearing–97765483.html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